목차
1. 서언
2.디지털 기술로 보다 즐겁고 안전한 운전을
3. 보급 초기 과정의 Car Infotainment
4. Car 오디오가 Car Infotainment로 진화
5. 5년 내에 450억 달러 시장으로 성장
6. 일본 기업이 지배하고 있는 시장
7. IT 기술이 한국 기업의 시장 침투 무기
8. 신시장 기회를 잡기 위한 구체적 전략이 필요
2.디지털 기술로 보다 즐겁고 안전한 운전을
3. 보급 초기 과정의 Car Infotainment
4. Car 오디오가 Car Infotainment로 진화
5. 5년 내에 450억 달러 시장으로 성장
6. 일본 기업이 지배하고 있는 시장
7. IT 기술이 한국 기업의 시장 침투 무기
8. 신시장 기회를 잡기 위한 구체적 전략이 필요
본문내용
게 단순 음향 기능이 아닌 Car Infotainment의 다양한 기능이 얼마나 유용한지를 알려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을 안정적으로 구현하는 국내 기업의 강점을 홍보해서, 오디오 전문 기업과의 차별점을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Car 오디오 전문 기업이 비교적 적은 지역에 있는 미국 및 유럽 자동차 Maker와의 제휴 관계 구축에 힘써야 할 것이다. 이때 자동차 Maker와의 합작법인 설립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2년이 넘는 신차 제작 과정에 함께 참가해 자동차와 보다 긴밀하게 작동하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금전적·시간적 투자가 필요하다. 이러한 투자 부담을 자동차 기업과 함께 부담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이는 좋은 방안이기 때문이다. 자동차 기업의 입장에서도 향후 더욱 커지는 차량 내 전자 제품 비중을 고려할 때, 핵심이 되는 고부가가치 영역을 다른 기업에게 넘겨줄 생각이 별로 없을 것이다.
Car Infotainment와 관련된 막대한 시장 기회가 점차 실체를 드러내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IT 시장에서의 기술 역량과 성공 체험을 Car Infotainment로 연결시켜, 차세대 성장 동력을 키우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셋째, Car 오디오 전문 기업이 비교적 적은 지역에 있는 미국 및 유럽 자동차 Maker와의 제휴 관계 구축에 힘써야 할 것이다. 이때 자동차 Maker와의 합작법인 설립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2년이 넘는 신차 제작 과정에 함께 참가해 자동차와 보다 긴밀하게 작동하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금전적·시간적 투자가 필요하다. 이러한 투자 부담을 자동차 기업과 함께 부담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이는 좋은 방안이기 때문이다. 자동차 기업의 입장에서도 향후 더욱 커지는 차량 내 전자 제품 비중을 고려할 때, 핵심이 되는 고부가가치 영역을 다른 기업에게 넘겨줄 생각이 별로 없을 것이다.
Car Infotainment와 관련된 막대한 시장 기회가 점차 실체를 드러내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IT 시장에서의 기술 역량과 성공 체험을 Car Infotainment로 연결시켜, 차세대 성장 동력을 키우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