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역사인식의 시대별 특징( 고대 - 중국 봉건시대 )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역사인식의 시대별 특징( 고대 - 중국 봉건시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INTRO

2.노예사회의 역사인식
(1)삼대시기



(2)춘추전국시대
정치
사회·경제
사상·문화
(3)역사서과 특징
춘추
좌전
국어

3.봉건사회의 역사인식
(1)초기시기
ⅰ.진-최초의 통일왕조
건국과 통일의 배경
행정체제의 변화
ⅱ.한-유교국교화
제도와 사상
대외정책
사회·경제
ⅲ. 초기시기 역사서와 특징
초한춘추
사기
한서
(2)남북조시대
남북조시대 역사서와 특징
삼국지
후한서
한기와 후한기
남북조시기의 민족문제

4.OUTRO

◆참고문헌◆

본문내용

(殷)나라 주왕(紂王)을 멸망시켜 천하를 평정하였으며, 그 공으로 제(齊)나라에 봉함을 받아 그 시조가 되었다.
동해(東海)에서 사는 가난한 사람이었으나, 위수[渭水]에서 낚시질을 하다가 문왕을 만나게 되었다는 등 그에 대한 전기는 대부분이 전설적이지만, 전국시대부터 한(漢)나라 시대에는 경제적 수완과 병법가(兵法家)로서의 그의 재주가 회자되기도 하였다. 병서(兵書) 《육도(六韜)》(6권)는 그의 저서라 하며, 뒷날 그의 고사를 바탕으로 하여 낚시질하는 사람을 태공망 혹은 태공이라 하는 속어가 생겼다.
을 사(師)로 삼고 주공 단(旦)이 보좌가 되어 소공(召公), 필공(畢公)의 무리가 무왕을 도와 주왕을 정벌하였다. 그러나 은에 아직 천명이 있다는 것을 알고 군사를 철수시켜 주로 돌아왔다. 2년후 주왕의 포학무도가 극에 달해 비간을 죽이고 기자를 감금하자 주왕의 토벌을 선언하고 목야(牧野)에서 주왕의 군대를 격파하고 천하를 손에 쥐었다.
통일후 무왕은 여러 공신들을 봉하였는데 태공망(太公望) 여상(呂尙)을 제(齊)에 봉하고 아우인 주공 단(旦)을 노(魯)에 소공(召公) 석(奭)을 연(燕)에 아우인 숙선(叔鮮)을 관(管)에 숙도(叔度)를 채(蔡)에 봉하는 등 각각 공로에 따라 봉읍을 수여했다. 이후 무왕이 서거하고 성왕(成王)이 즉위하였으나 연소하여 주공 단(旦)이 정치를 대행하여 아우인 관숙 무왕(武王)이 은(殷)을 멸하고 여러 아우를 각지에 봉(封)했을 때, 채(蔡)에 봉함받은 숙도(叔度)와 함께 관(管)에 봉해졌는데 주왕(紂王)의 아들 무경(武庚)을 보좌하여 허난[河南]을 다스렸다.
무왕이 죽은 후 무경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가 주공에 의해 죽음을 당하였다.
, 채숙의 반란을 토벌하고 미자의 후손을 송에 은의 유민을 위에 봉하여 나라를 세우게 하고 성왕이 장성하자 정권을 성왕에게 돌리고 북면하여 신하의 위치로 되돌아 갔다.
이후 10대 여왕대 이르자 왕이 사치스럽고 오만하여 간하는 말을 듣지 않자 백성들이 제후와 함께 배반하여 여왕을 습격하였다. 여왕은 체로 달아났으며 태자 정(靜)은 소공(召公) 이름 석(奭). 소공은 칭호(稱號). BC 11세기 때의 사람으로 주나라 무왕(武王)의 동생이다. 같은 형제인 주공(周公)과 함께 어린 성왕(成王: 무왕의 아들)을 보필하여 주나라 왕조의 기반을 확립시켰다. 주나라 초기의 금문(金文)이나 《상서(尙書)》 등에서 ‘대보(大保)’라고 일컫는 것은 왕의 후견역이라는 뜻이며, 또 ‘황천윤대보(皇天尹大保)’라고도 일컫는 것은 소공이 사관(史官)의 장관으로서 성직(聖職)에 있었기 때문이다.
무왕이 죽자 무왕에 의하여 멸망한 은(殷)나라 왕조의 후손 무경(武庚)이 동남방의 이민족인 이(夷) 등과 짜고 반란을 일으켜 은왕조를 부흥시키려고 하였다. 소공은 주공과 함께 젊은 성왕을 옹립하고 출정하여 반란을 진압하고 무경 등을 죽였으며, 다시 동쪽의 산둥반도[山東半島]에 있는 이족의 본거지까지 원정하여 동방경략의 대업을 완성시켰다. 주공은 성왕 초에 죽었으나 소공은 다음 왕인 강왕(康王) 때까지 생존하여 고령에도 불구하고 정치를 보살폈다.
의 집에 은신하였다. 이에 소공, 주공 두 재상이 대신 정사를 집행하였는데 이를 공화시대(共和時代)라 한다. 공화 14년에 여왕이 체에서 사거하자 태자 정이 즉위하니 이가 선왕(宣王)이다. 이후 선왕의 아들 유왕(幽王) 선왕(宣王)의 아들. 총희 포사(褒)를 웃기기 위하여, 가끔 거짓 봉화(烽火)를 올리게 하여 제후들을 모이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견융(犬戎)이 침공하였을 때 봉화를 올렸으나, 제후들이 응하지 않았으므로 리산산[驪山] 기슭에서 살해되었다. 선왕이 조부 여왕(?王) 때의 내란을 평정, 권위를 회복하였는데, 그가 살해됨으로써 아들 평왕(平王)은 수도를 낙양[洛陽]으로 옮기게 되었고, 결국 서주(西周)시대는 끝이 났다.
은 지난날의 걸주(桀紂)가 되살아난 듯 폭정을 일삼고 포사를 총애하여 제후를 우롱하니 전 태자 의구(宜臼)의 외조부가 되는 신백(申伯)이 서이(西夷), 견융(犬戎) 견융·견이(犬夷)·곤이(昆夷)라고도 하였다. 서융의 일족으로 《시경》 이나 《서경》 또는 금문(金文)에 나오는 염윤·험윤· 훈국과 동일한 부족이며, 또 은나라 때 세력을 떨친 귀방(鬼方)과도 같은 민족이라는 설이있다. 견융은 주나라와 관계가 깊었는데, 주나라 문왕(文王)은 서융(西戎)의 패자(覇者)로서 주나라 왕조의 기초를 쌓았다. 그러나 목왕(穆王)이 견융을 정벌하여 태원(太原)으로 쫓은 이래 주나라는 견융의 잦은 침략에 시달렸다. 주나라 말기에 유왕(幽王)이 즉위하여 정치가 문란해지자 BC 771년 견융은 신후(申侯)와 연합하여 주를 공격, 유왕을 살해하고 주나라의 수도를 동쪽으로 옮기게 하였다. 그 후 견융은 징수이[涇水]·웨이수이[渭水]에 진출하여 주를 위협하다가 진(秦)의 양공(襄公)·문공(文公)의 토벌을 받고 그 지배하에 들어갔다. 그러나 일부는 춘추시대에도 세력을 떨치다가 진과 흉노(匈奴)의 힘에 눌려 쇠퇴하였다. 견융을 흉노의 조상이라고 하는 설도 있다.
을 끌어들여 유왕을 참살하고 의구를 왕위에 세우니 이가 평왕(平王) 성명 희의구(姬宜臼). 유왕(幽王)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신후(申侯)의 딸인 신후(申后)이다. 유왕이 왕비 신후와 태자 의구를 폐한 뒤, 총애하던 포사(褒)를 왕비로 삼고 아들 백복(伯服)을 태자로 책봉하였다. 그러자 격분한 신후(申侯)가 증(繒) ·서이(西夷) ·견융(犬戎) 등을 유인하여 유왕을 죽이고 의구를 세워 왕으로 삼았다.
이때 신후를 도왔던 서방의 이민족이 강성하여져서 주나라 영토를 침공하였으므로, 평왕은 마침내 호경(鎬京:西安 부근)을 버리고 동쪽의 낙읍(洛邑:洛陽)으로 도읍을 옮겼다(BC 770년). 그러므로 이전을 서주(西周)라 하고, 그 이후를 동주(東周)라 부른다. 이 무렵부터 제후(諸侯)들의 세력이 점차로 강대해졌고, BC 8세기 말에는 주나라 왕의 명령에 복종하지 않는 자가 나타나 약 550년간에 걸친 춘추전국시대가 되었다.
이다. 평왕시대 도읍인 호경이 피폐하여 낙읍으로 천도하니 이후를 동주시대라 부르며 곧 춘추전국시대의 서막이 열린 것이다. 이
  • 가격3,0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05.09.29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0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