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COUPLING CAPACITANCE와 겸용으로 1상에만 설치
한다
○ 2차전압은 재폐로 계전기의 동기검정용으로 사용
3) 66kV 모선PT 회로
○ 66kV 송전선 보호방식이 154kV 송전선 보호방식과 유사한 경우에는 66kV 모선PT
회로 결선 방식은 154kV 모선PT회로 결선 방식에 준한다
○ 66kV 이하 송전선에는 원칙적으로 선로PT를 설치하지 않는다
다. 변압기 PT회로
○ 345kV 변압기의 1차측에는 변압기 보호 및 동기검정용으로 단상×3대의 PT를 설
치한다
NO1 2차권선 : Y결선
NO2 2차권선 : OPEN DELTA 결선
○ 345kV 변압기 3차측에는 3상 GPT를 1대 설치하여 3차권선 지락보호, SHUNT
REACTOR 보호용 등으로 사용한다
○ 154kV이하급 변압기에는 1차측에 별도의 PT를 설치하지 않으며 154kV 변압기로
3차측이 △권선인 경우는 3차측에 GPT를 설치한다
라. PT (CPD) 설치위치 및 결선방식
전압별
설 치 위 치
용 도
결선
비 고
345kV
모선(#1,2)=11/2CB방식만
1상*3대(각모선)
(BUS PT)
A.NO.1 2차권선(X권선)
=115/ 및 115V
▷ 1SET 모선보호용
▷ 재폐로용(BUS전압)
▷ 동기검정용
▷ 계기용
▷ 1SET 모선보호용
B.NO.2 2차권선(Y권선)
=115/
▷ 2ND모선보호용
Y결선
Y결선시 중성점 접
지는 배전반에서 접
지
각송전선로
1상×3대(각모선)
(LINE PT)
A.115/ 및 115V
▷ 전압선택
▷ 재폐로용(LINE전압)
▷ 동기검정용
▷ 계기용
B.115/(66.4)
▷ 각T/L 1ST 보호계전기용
Y결선
345kV 변압기
1차측
1상×3대
A. NO.1 2차권선
▷ 변압기 후비보호용=EHV
▷ PANEL 동기검정용
B. NO.2 2차권선(3차권선)
Y결선
OPEN
△결선
345kV 변압기3차측
3상GPT×1대
3차권선 지락보호
SHUNT REACTOR 보호용
OPEN
△결선
154kV
각모선(종합PT)
1상×3대
각 송전선로
1상×1대(A상)
154kV 변압기 1차측
154kV이하 M.TR로 3차측이 △결선인 경우
3상GPT×1대
A. NO.1 2차권선=115/V
▷ 보호계전기용(거리계전기)
B.NO.2 2차권선=115/V 및115V
3차권선=보호계전기용
(방향성 지락계전기)
▷ C/R 송출용 ▷ 재폐로
▷ 동기검정
별도 PT 설치하지 않음
비접지계통 지락보호
Y결선
OPEN
△결선
66kV이하
66kV이하 모선:
154kV모선 PT에준함
3상GPT×1대
1상×3대
66kV 송전선로:
LOOP계통인 경우
154kV LOOP계통과 유사한 경우
66kV이하 송전선에는 원칙적으로 선로
PT를 설치하지 않음
NO.1 2차권선=단락방향
▷ 계전기,계기용
NO.2 2차권선(3차권선)
=지락과전압계전기
154kV 송전선로 PT 설치에
준함
Y결선
OPEN
△결선
※ 변성기의 접지
변성기 관련 접지공사로 다음 3가지가 있다.
1. 변성기의 외함 접지 : 외함은 평상시 비통전부이지만 고장상태에서는 통전부로 될
우려가 있어 위험하므로 규정된 접지를 시행하여 일정 전위이하로 유지 - 1종접지
2. 변성기의 2차 회로 접지 : 1차권선과 2차 권선이 혼촉시 저압측인 2차 권선의 대지간
전위를 낮추기 위하여 중성선 또는 잔류회로 한곳을 접지 - 2종접지
시행방법 : 배전반측 계전기의 보호를 위하여 배전반 첫번째 단자에서 한곳 접지
3. CABLE의 차폐층 접지 : 154kV, 345kV 계통의 2차 회로는 유도성 서어지의 침입이
크므로 차폐선 CABLE을 사용
시행방법 : CABLE의 차폐층 양단에 접지망에 시행
10. 변성기 시험 일반
가. PT 시험시기
1) 전력설비 준공시험시(준공시험시 정확한 PT특성 시험이 요구됨)
2) 임시시험 (관련보호설비 오동작에 의한 원인 규명)
3) 기타 필요시
나. 변류기 시험시 유의사항
1) 준공시험시는 관련설비가 무압상태라 별 문제가 없지만 임시 시험시등에는 전력 1
차 설비에 대한 특별한 안전조치가 요망됨
2) 먼져 변류기 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관련기기 PT명판을 참고하여 PT설치의 위치, 극성, 사용용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시험에 임한다
3)
다.PT 시험시 필요한 장비
1) Megger(1000V 2000MΩ, 500V 1000MΩ) 각 1대
2) 전압조정장치, 건전지
3) Analog Tester (극성 확인용), Digital Testar (전압, 전류 확인용)
4) 각종 시험용 Lead 1식
5) 소요인원 : 2 -3명
라. PT 시험 항목
1) 절연저항 측정
2) 극성시험
4) 전압비 시험
마.CT 시험 방법
1) PT 절연저항 측정
○ 목적 : 각권선 및 연결회로의 절연상태 확인
○ PT는 권선형 변압기, 콘덴서형 계기용 변압기( CCPD)로 나누어지나 시험방법은 거의 유사하다
○ 절연저항은 PT의 1차와 대지, 2차와 대지, 1차와 2차, 3차측이 있는 GPT의 경 우에는 3차와 대지, 1차와 3차, 2차와 3차간의 절연상태를 측정하여 아래와 같은 양식에 의하여 기록한다
[ 계기용변압기 절연저항 측정 ]
구분
P-E
S-E
T-E
P-S
P-T
S-T
비고
A상
1000
1000
1000
1500
1500
1500
B상
1000
1000
1000
1500
1500
1500
C상
1000
1000
1000
1500
1500
1500
○ 판 정 : 아래 판정표의 허용치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판정한다
▷ 일반계측용 PT(CPD) 절연저항 허용치
기기명
측정대상
허용치
기기명
측정대상
허용치
일반계기
고압-저압
30이상
유 입 형
콘서베이터형
권선-대지
50이상
고압-대지
30이상
권선상호
2이상
저압-대지
5이상
▷ 계전기용 PT(CPD) 절연저항 허용치
기기명
측정대상
허용치
계전기용
2차 - 대지
10이상
3차 - 대지
10이상
2차 - 3차
5이상
계전기용
1차 - 대지
수100 -수10
1차 - 2/3차
수100 -수10
○ 판정 결과 불량 원인
- 절연유의 열화
- 권선의 절연 열화
- 내부 권선의 오결선
- PT 단자대와 단자대사이의 절연 불량
2) PT 극성 시험
○ 목적 : PT가 표준규
한다
○ 2차전압은 재폐로 계전기의 동기검정용으로 사용
3) 66kV 모선PT 회로
○ 66kV 송전선 보호방식이 154kV 송전선 보호방식과 유사한 경우에는 66kV 모선PT
회로 결선 방식은 154kV 모선PT회로 결선 방식에 준한다
○ 66kV 이하 송전선에는 원칙적으로 선로PT를 설치하지 않는다
다. 변압기 PT회로
○ 345kV 변압기의 1차측에는 변압기 보호 및 동기검정용으로 단상×3대의 PT를 설
치한다
NO1 2차권선 : Y결선
NO2 2차권선 : OPEN DELTA 결선
○ 345kV 변압기 3차측에는 3상 GPT를 1대 설치하여 3차권선 지락보호, SHUNT
REACTOR 보호용 등으로 사용한다
○ 154kV이하급 변압기에는 1차측에 별도의 PT를 설치하지 않으며 154kV 변압기로
3차측이 △권선인 경우는 3차측에 GPT를 설치한다
라. PT (CPD) 설치위치 및 결선방식
전압별
설 치 위 치
용 도
결선
비 고
345kV
모선(#1,2)=11/2CB방식만
1상*3대(각모선)
(BUS PT)
A.NO.1 2차권선(X권선)
=115/ 및 115V
▷ 1SET 모선보호용
▷ 재폐로용(BUS전압)
▷ 동기검정용
▷ 계기용
▷ 1SET 모선보호용
B.NO.2 2차권선(Y권선)
=115/
▷ 2ND모선보호용
Y결선
Y결선시 중성점 접
지는 배전반에서 접
지
각송전선로
1상×3대(각모선)
(LINE PT)
A.115/ 및 115V
▷ 전압선택
▷ 재폐로용(LINE전압)
▷ 동기검정용
▷ 계기용
B.115/(66.4)
▷ 각T/L 1ST 보호계전기용
Y결선
345kV 변압기
1차측
1상×3대
A. NO.1 2차권선
▷ 변압기 후비보호용=EHV
▷ PANEL 동기검정용
B. NO.2 2차권선(3차권선)
Y결선
OPEN
△결선
345kV 변압기3차측
3상GPT×1대
3차권선 지락보호
SHUNT REACTOR 보호용
OPEN
△결선
154kV
각모선(종합PT)
1상×3대
각 송전선로
1상×1대(A상)
154kV 변압기 1차측
154kV이하 M.TR로 3차측이 △결선인 경우
3상GPT×1대
A. NO.1 2차권선=115/V
▷ 보호계전기용(거리계전기)
B.NO.2 2차권선=115/V 및115V
3차권선=보호계전기용
(방향성 지락계전기)
▷ C/R 송출용 ▷ 재폐로
▷ 동기검정
별도 PT 설치하지 않음
비접지계통 지락보호
Y결선
OPEN
△결선
66kV이하
66kV이하 모선:
154kV모선 PT에준함
3상GPT×1대
1상×3대
66kV 송전선로:
LOOP계통인 경우
154kV LOOP계통과 유사한 경우
66kV이하 송전선에는 원칙적으로 선로
PT를 설치하지 않음
NO.1 2차권선=단락방향
▷ 계전기,계기용
NO.2 2차권선(3차권선)
=지락과전압계전기
154kV 송전선로 PT 설치에
준함
Y결선
OPEN
△결선
※ 변성기의 접지
변성기 관련 접지공사로 다음 3가지가 있다.
1. 변성기의 외함 접지 : 외함은 평상시 비통전부이지만 고장상태에서는 통전부로 될
우려가 있어 위험하므로 규정된 접지를 시행하여 일정 전위이하로 유지 - 1종접지
2. 변성기의 2차 회로 접지 : 1차권선과 2차 권선이 혼촉시 저압측인 2차 권선의 대지간
전위를 낮추기 위하여 중성선 또는 잔류회로 한곳을 접지 - 2종접지
시행방법 : 배전반측 계전기의 보호를 위하여 배전반 첫번째 단자에서 한곳 접지
3. CABLE의 차폐층 접지 : 154kV, 345kV 계통의 2차 회로는 유도성 서어지의 침입이
크므로 차폐선 CABLE을 사용
시행방법 : CABLE의 차폐층 양단에 접지망에 시행
10. 변성기 시험 일반
가. PT 시험시기
1) 전력설비 준공시험시(준공시험시 정확한 PT특성 시험이 요구됨)
2) 임시시험 (관련보호설비 오동작에 의한 원인 규명)
3) 기타 필요시
나. 변류기 시험시 유의사항
1) 준공시험시는 관련설비가 무압상태라 별 문제가 없지만 임시 시험시등에는 전력 1
차 설비에 대한 특별한 안전조치가 요망됨
2) 먼져 변류기 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관련기기 PT명판을 참고하여 PT설치의 위치, 극성, 사용용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시험에 임한다
3)
다.PT 시험시 필요한 장비
1) Megger(1000V 2000MΩ, 500V 1000MΩ) 각 1대
2) 전압조정장치, 건전지
3) Analog Tester (극성 확인용), Digital Testar (전압, 전류 확인용)
4) 각종 시험용 Lead 1식
5) 소요인원 : 2 -3명
라. PT 시험 항목
1) 절연저항 측정
2) 극성시험
4) 전압비 시험
마.CT 시험 방법
1) PT 절연저항 측정
○ 목적 : 각권선 및 연결회로의 절연상태 확인
○ PT는 권선형 변압기, 콘덴서형 계기용 변압기( CCPD)로 나누어지나 시험방법은 거의 유사하다
○ 절연저항은 PT의 1차와 대지, 2차와 대지, 1차와 2차, 3차측이 있는 GPT의 경 우에는 3차와 대지, 1차와 3차, 2차와 3차간의 절연상태를 측정하여 아래와 같은 양식에 의하여 기록한다
[ 계기용변압기 절연저항 측정 ]
구분
P-E
S-E
T-E
P-S
P-T
S-T
비고
A상
1000
1000
1000
1500
1500
1500
B상
1000
1000
1000
1500
1500
1500
C상
1000
1000
1000
1500
1500
1500
○ 판 정 : 아래 판정표의 허용치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판정한다
▷ 일반계측용 PT(CPD) 절연저항 허용치
기기명
측정대상
허용치
기기명
측정대상
허용치
일반계기
고압-저압
30이상
유 입 형
콘서베이터형
권선-대지
50이상
고압-대지
30이상
권선상호
2이상
저압-대지
5이상
▷ 계전기용 PT(CPD) 절연저항 허용치
기기명
측정대상
허용치
계전기용
2차 - 대지
10이상
3차 - 대지
10이상
2차 - 3차
5이상
계전기용
1차 - 대지
수100 -수10
1차 - 2/3차
수100 -수10
○ 판정 결과 불량 원인
- 절연유의 열화
- 권선의 절연 열화
- 내부 권선의 오결선
- PT 단자대와 단자대사이의 절연 불량
2) PT 극성 시험
○ 목적 : PT가 표준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