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iamterene)
아밀로라이드 (Amiloride)
Ⅱ 이뇨제의 작용부위
Ⅲ 임상적 적용
A. 부종
울혈성 심부전
신장 질환
간경변
특발성 부종
B. 기타
고혈압
고칼슘혈증
신결석
요붕증
Ⅳ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A. 작용기전
1) 탄산탈수효소는 근위세뇨관의 중탄산이온 재흡수의 중요 단계인 탄산염의 탈수를 촉매함.
2) 탄산탈수효소 억제는 중탄산소디움(NaHCO3) 재흡수를 차단하여 중탄산소디움 이뇨와 총체 중탄산이온 저장량을 감소시킴.
3) 그림
The enzyme carbonic anhydrase helps to make H+ ions available for exchange with sodium and water in the proximal tubules.
CAIs block the action of carbonic anhydrase, thus preventing the exchange of H+ ions with sodium and water.
Inhibition of carbonic anhydrase reduces H+ ion concentration in renal tubules.
As a result, there is increased excretion of bicarbonate, sodium, water, and potassium.
Resorption of water is decreased and urine volume is increased.
Ⅴ 루우프 이뇨제
A.작용기전
1) 헨레고리의 후상행각에서 염화나트륨의 재흠수를 선택적으로 억제함.
2) 그림
Ⅵ 티아자이드
A.작용기전
1) 원위곡세뇨관에서 NaCl의 이동을 억제함.
2) 그림
Ⅶ 칼륨보존 이뇨제
작용기전
1) 피질집합관과 후기 원위세뇨관에서 알도스테론 효과를 길항함.
*고혈압약의 작용점
2. 베타 차단제
종류: 선택적 베타 차단제- 아테놀롤(테놀민),아세부톨롤(쌕트랄),
비선택적 베타 차단제- 나돌롤(코가드), 푸로프라놀롤(인데랄),
기전: 베타 수용체에서 노르에피네프린(교감신경 흥분 물질)이 결합 되는 것을 방해하여,
교감신경 흥분 작용이 차단 되어, 혈압이 떨어 진다.
협심증이나 빈맥이 동반된 고혈압에 효과가 좋다.
부작용: 서맥, 무기력증, 발기부전, 수족냉감, 천식 악화, 혈당 조절 장애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이나 간부전 환자 등 저혈당이 발생하기 쉬운 환자에서는 비 선택 베타 차단제 사용에 주의)
3. 알파 베타 차단제
종류: 프라조신,독사조신(카두라),테라조신(하이트린)
*테라조신, 독사조신- 반감기가 10~12시간으로 일일 1회 복용으로 충분
*프라조신- 반감기가 2~3시간으로 짧기 때문에 일일 2회 복용
기전: 말초 교감신경의 알파 수용체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의 작용을 차단하여 혈압을
강하시킨다.
*갈색 세포종과 같이 혈중 카테콜라민의 양이 증가한 경우, 혈관 수축성 교감 신경 유사 약물에 의해 혈압이 상승된 경우 유사하게 사용
전립선 비대증을 동반한 고혈압에 특히 효과적이며,지질 대사의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부작용: 무기력증,어지럼증, 두통, 설사, 오심, 피로감, 심계 항진
4. 혈관 확장제
종류: 하이드랄라진(아프레소린), 미녹시딜
sodium nitroprusside, hydralazine, diazoxide-정주용 약물로 응급 치료에 유용
기전: 말초 혈관의 평활근을 직접 이완시켜 혈압을 내린다.
주로 본태성 고혈압 환자들에게 혈관 확장제는 이상적인 약물로 여겨짐
부작용: 두통,심계항진(가슴 두근거림), 메스꺼움, 부종, 수분 저류
미녹시딜- ‘다모’가 대표적 부작용
5. 칼슘 통로 차단제
종류: 1형 칼슘 차단제- 베라파밀(이
아밀로라이드 (Amiloride)
Ⅱ 이뇨제의 작용부위
Ⅲ 임상적 적용
A. 부종
울혈성 심부전
신장 질환
간경변
특발성 부종
B. 기타
고혈압
고칼슘혈증
신결석
요붕증
Ⅳ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A. 작용기전
1) 탄산탈수효소는 근위세뇨관의 중탄산이온 재흡수의 중요 단계인 탄산염의 탈수를 촉매함.
2) 탄산탈수효소 억제는 중탄산소디움(NaHCO3) 재흡수를 차단하여 중탄산소디움 이뇨와 총체 중탄산이온 저장량을 감소시킴.
3) 그림
The enzyme carbonic anhydrase helps to make H+ ions available for exchange with sodium and water in the proximal tubules.
CAIs block the action of carbonic anhydrase, thus preventing the exchange of H+ ions with sodium and water.
Inhibition of carbonic anhydrase reduces H+ ion concentration in renal tubules.
As a result, there is increased excretion of bicarbonate, sodium, water, and potassium.
Resorption of water is decreased and urine volume is increased.
Ⅴ 루우프 이뇨제
A.작용기전
1) 헨레고리의 후상행각에서 염화나트륨의 재흠수를 선택적으로 억제함.
2) 그림
Ⅵ 티아자이드
A.작용기전
1) 원위곡세뇨관에서 NaCl의 이동을 억제함.
2) 그림
Ⅶ 칼륨보존 이뇨제
작용기전
1) 피질집합관과 후기 원위세뇨관에서 알도스테론 효과를 길항함.
*고혈압약의 작용점
2. 베타 차단제
종류: 선택적 베타 차단제- 아테놀롤(테놀민),아세부톨롤(쌕트랄),
비선택적 베타 차단제- 나돌롤(코가드), 푸로프라놀롤(인데랄),
기전: 베타 수용체에서 노르에피네프린(교감신경 흥분 물질)이 결합 되는 것을 방해하여,
교감신경 흥분 작용이 차단 되어, 혈압이 떨어 진다.
협심증이나 빈맥이 동반된 고혈압에 효과가 좋다.
부작용: 서맥, 무기력증, 발기부전, 수족냉감, 천식 악화, 혈당 조절 장애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이나 간부전 환자 등 저혈당이 발생하기 쉬운 환자에서는 비 선택 베타 차단제 사용에 주의)
3. 알파 베타 차단제
종류: 프라조신,독사조신(카두라),테라조신(하이트린)
*테라조신, 독사조신- 반감기가 10~12시간으로 일일 1회 복용으로 충분
*프라조신- 반감기가 2~3시간으로 짧기 때문에 일일 2회 복용
기전: 말초 교감신경의 알파 수용체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의 작용을 차단하여 혈압을
강하시킨다.
*갈색 세포종과 같이 혈중 카테콜라민의 양이 증가한 경우, 혈관 수축성 교감 신경 유사 약물에 의해 혈압이 상승된 경우 유사하게 사용
전립선 비대증을 동반한 고혈압에 특히 효과적이며,지질 대사의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부작용: 무기력증,어지럼증, 두통, 설사, 오심, 피로감, 심계 항진
4. 혈관 확장제
종류: 하이드랄라진(아프레소린), 미녹시딜
sodium nitroprusside, hydralazine, diazoxide-정주용 약물로 응급 치료에 유용
기전: 말초 혈관의 평활근을 직접 이완시켜 혈압을 내린다.
주로 본태성 고혈압 환자들에게 혈관 확장제는 이상적인 약물로 여겨짐
부작용: 두통,심계항진(가슴 두근거림), 메스꺼움, 부종, 수분 저류
미녹시딜- ‘다모’가 대표적 부작용
5. 칼슘 통로 차단제
종류: 1형 칼슘 차단제- 베라파밀(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