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에너지 부문 현황
2. 에너지 부문 전망
2. 에너지 부문 전망
본문내용
%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전력 수요의 지속적 증가로 인하여 발전용 연료인 원자력과 유연탄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석탄은 수요증가로 2020년까지 20%내외의 비중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원별 최종 에너지 수요구조를 보면, 석탄 및 석유의 비중은 계속 감소하는 반면 고급에너지인 도시가스 및 전력의 비중은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나. 이산화탄소 배출 전망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10년까지는 연평균 4.0% 증가하며, 이후 2020년까지 연평균 1.9% 증가하여 2020년에 205.3백만 탄소톤에 이를 전망이다. 2010년까지는 유연탄 발전량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탄소집약도(CO2/에너지)는 더 높아지나, 그 이후 2020년까지는 점차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나. 이산화탄소 배출 전망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10년까지는 연평균 4.0% 증가하며, 이후 2020년까지 연평균 1.9% 증가하여 2020년에 205.3백만 탄소톤에 이를 전망이다. 2010년까지는 유연탄 발전량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탄소집약도(CO2/에너지)는 더 높아지나, 그 이후 2020년까지는 점차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