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중국진출을위한 이해와 접근방법
1.중국인의 이해
2.중국인과의 대면방법
II.중국진출의 어려움과 문제점및 해결방안
1.중국진출시 한국기업의 포지셔닝의 어려움
1)문제점의 해결방안
2)해결방안의 가능성
2.중국시장에서 도매유통의 어려움
3.중국에 범람하는 모조품에따른 문제점
4. 중국지방보호주의의 문제점
1)지방보호주의의 생성원인
2)지방보호주의의 유형
3)지방주의의 극복
5.중국진출의 필요한요소와 그 중요성
1)중국진출의 브랜드관리의 중요성
2)COMMUNICATION – MIX의 필요성
3)Brand 관리를 잘하기 위한 조건
4)브랜드 관리 수행 능력의 강화
5)중국 특성에 맞는 브랜드 리더쉽의 확보
III. 맺음말
1.중국인의 이해
2.중국인과의 대면방법
II.중국진출의 어려움과 문제점및 해결방안
1.중국진출시 한국기업의 포지셔닝의 어려움
1)문제점의 해결방안
2)해결방안의 가능성
2.중국시장에서 도매유통의 어려움
3.중국에 범람하는 모조품에따른 문제점
4. 중국지방보호주의의 문제점
1)지방보호주의의 생성원인
2)지방보호주의의 유형
3)지방주의의 극복
5.중국진출의 필요한요소와 그 중요성
1)중국진출의 브랜드관리의 중요성
2)COMMUNICATION – MIX의 필요성
3)Brand 관리를 잘하기 위한 조건
4)브랜드 관리 수행 능력의 강화
5)중국 특성에 맞는 브랜드 리더쉽의 확보
III. 맺음말
본문내용
사 대접을 받았을 경우에는 다음에는 식사 초대하겠다고 말하고 식사는 식사로 갚는 것이 좋다.
중국인들은 여간해서 자기 집에 친구를 招待해서 식사 대접을 하지 않는다. 식사에 초대되어 가족을 소개 받는다면 진짜 친구가 되었음을 확신해도 좋다. 중국인들은 상대방을 자기 집에 초대하는 것에 대해 상당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반대로 우리가 중국인을 집으로 초대하여 접대하면 상당히 좋아하고 오랫동안 잊지 못할 것이다.
중국인들은 술을 마실 때 우리와 같이 자리를 옮겨 다니며 2차, 3차 하는 식으로 술 마시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취중 무례에 대해서는 상당히 좋지 않게 본다. 술좌석에서 우리와 같이 잔을 돌리는 문화가 없으니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금 마셔 잔이 조금만 비워도 첨잔한다. 술을 따를 때 손가락으로 잔 주위 식탁을 두세 번 두드려 고마움을 표시한다. 잔을 부딪칠 때는 연장자나 직위가 높은 사람이나 주빈의 잔 높이보다 낮추어 부딪친다. 그들의 乾杯는 우리의 원샷과 같은 뜻이므로 반드시 한 번에 다 마셔야 한다.
그리고 술을 마시면서 상담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중국인들은 술좌석에서 공적인 일을 논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리고 술좌석에서 협상을 진행하면 신뢰할 수 없는 사람으로 여긴다. 그러나 예외도 있어서 내몽고 지역의 유목민들은 만나자마자 술을 권하고 권하는 술을 마시지 않으면 집안 출입조차 금하고 믿을 수 없는 사람으로 여긴다. 그리고 술좌석에서 만취하여 쓰러지는 사람을 신용한다.
왜냐하면 유목민들은 다른 유목민들과의 끊임없는 약탈과 피 약탈 관계에 있었기에 타인의 出現에 대한 敵對感이 강하다. 집안에 들어서는 외지인에게 독주를 한숨에 들이키게 하여 취하게 함으로써 상대를 武裝解除 시킴으로써 안심하는 것이다. 술자리에서 취하여 쓰러지면 이 사람은 나를 완전히 믿고 있다는 생각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무실이나 술좌석에서 담배를 잘 돌리는데 권할 때 받아 피우는 것이 예의에 어긋나지 않는다. 담배를 권할 때 자기의 담배를 꺼내면서 자기 것을 피우겠다는 식의 거절은 예의를 무시하는 행위로 받아들일 소지가 많다.
세계의 어느 국가 어느 민족과의 만남에서라도 딱 들어맞는 코드는 겸손함과 친절 그리고 정직한 마음가짐이다. 중국은 국토가 넓고 인구가 많아 우리와 같이 단숨에 마음을 내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일단 친구가 되면 오래간다.
II.중국진출의 어려움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1.중국 진출의 한국 기업 포지셔닝(positioning)의 어려움
중국은 이제 전 세계의 프로 장사꾼들이 몰려와 한판 승부(勝負)를 벌이는 전쟁터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중국은 진정한 내공을 쌓은 자만이 생존 가능한 지역이다.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대기업 몇몇을 제외하고는 한정된 경영자원으로 무한경쟁(無限競爭)에 노출되어 있다. 즉, 다국적 기업들은 기술적 역량과 브랜드 그리고 자금을 바탕으로 중국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데 혈안이 되어 있고, 중국 국내 기업들은 자본주의적인 경영 기법들을 재빨리 습득하여 이제 외자 기업들과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어, 우리 기업들이 끼어들 여지가 거의 없는 어려움에 처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브랜드는 고가 정책으로 하이 앤드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중국 내수 기업들은 제조업에서의 엄청난 원가절감 역량을 바탕으로 중저가(中低價)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중국에 이미 진출하여 현지 생산 공장을 가진 우리 기업이나 무역으로 중국시장 진입을 계획하는 업체들은 마케팅 전략으로 자사 제품을 어디에다가 포지셔닝(positioning) 하여야 할지 어려운 문제에 봉착(逢着)해 있다.
우리 기업들은 다국적 기업이 가진 고급 브랜드 이미지도 없고 그렇다고 하여 중국 로컬 기업과 제살 깍아먹기식의 가격경쟁에 나설 수도 없는 난감함에 처해 있다. 또한 제품에 대한 차별화도 어렵거니와 신제품이 출시되고 나면 유사품(類似品)들이 여기저기서 쏟아져 나온다. 마케팅 교과서에 나오는 4P 전략이나 STP 전략은 중국에서는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
1)문제점의 해결방안
첫째, 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대체품(代替品) 시장을 공략한다.
수입되는 상품 대부분이 다국적 기업의 중국에 있는 현지 기업에서 만들어지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여지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점을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 제품의 질은 수입품과 거의 유사하게 가고 가격은 비교적 낮게 책정함으로써 일정한 시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지역적 틈새시장(niche market)에서 승부를 걸어 본다.
중국은 지역적으로 상당히 다른 문화와 구매패턴을 가지고 있다. 먼저, 한 도시 전역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여 성공을 이끌어내는 전략이다. 중국은 넓어 중국 전역을 목표시장으로 했다가는 실패할 가능성이 많다. 한 지역에서의 성공을 이어가는 과정에서 중국시장 공략에 관한 상당히 유용한 기본기를 익힐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셋째, 신기술에 바탕하면서 디자인에서 차별화된 신제품을 내놓는다.
상당히 어렵고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영역이고, 기업의 핵심 역량이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지만 이것 아니고는 생존할 수가 없다는 생각이다. 신기술에 대한 끊임없는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상당한 경쟁력을 확보했다고 보아도 무리가 아니고 long-run 할 수 있다.
넷째, 한류(韓流)의 효율적인 활용으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천하고 싶다.
널리 알려진 대로 한국의 가수나 영화배우 그리고 탤런트들은 중국의 젊은이들에게 우상으로 대접받는다. 사업을 하는 사람들은 이런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자금적 여유가 없어 직접 섭외가 어려운 경우에는 현지의 우리 기업들이 뭉쳐 공동으로 한류 주역들을 활용한다거나, 한정된 기간 동안 초상권을 빌려 사업에 적용시켜보는 것도 시도해 봄직한 전략으로 추천하고 싶다.
다섯째, 국가나 지방정부의 조달시장(調達市場)을 노크해본다.
2)중국의 가능성
중국의 예산은 상상을 초월하는 규모의 시장이다. 우리는 세계에서 중국과 가장 오랫동안 교역을 해온 국가이다. 우리만큼 중국인의 내면을 잘 알고 있는 사람들도 없을 것이다. 중국의 사업은
중국인들은 여간해서 자기 집에 친구를 招待해서 식사 대접을 하지 않는다. 식사에 초대되어 가족을 소개 받는다면 진짜 친구가 되었음을 확신해도 좋다. 중국인들은 상대방을 자기 집에 초대하는 것에 대해 상당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반대로 우리가 중국인을 집으로 초대하여 접대하면 상당히 좋아하고 오랫동안 잊지 못할 것이다.
중국인들은 술을 마실 때 우리와 같이 자리를 옮겨 다니며 2차, 3차 하는 식으로 술 마시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취중 무례에 대해서는 상당히 좋지 않게 본다. 술좌석에서 우리와 같이 잔을 돌리는 문화가 없으니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금 마셔 잔이 조금만 비워도 첨잔한다. 술을 따를 때 손가락으로 잔 주위 식탁을 두세 번 두드려 고마움을 표시한다. 잔을 부딪칠 때는 연장자나 직위가 높은 사람이나 주빈의 잔 높이보다 낮추어 부딪친다. 그들의 乾杯는 우리의 원샷과 같은 뜻이므로 반드시 한 번에 다 마셔야 한다.
그리고 술을 마시면서 상담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중국인들은 술좌석에서 공적인 일을 논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리고 술좌석에서 협상을 진행하면 신뢰할 수 없는 사람으로 여긴다. 그러나 예외도 있어서 내몽고 지역의 유목민들은 만나자마자 술을 권하고 권하는 술을 마시지 않으면 집안 출입조차 금하고 믿을 수 없는 사람으로 여긴다. 그리고 술좌석에서 만취하여 쓰러지는 사람을 신용한다.
왜냐하면 유목민들은 다른 유목민들과의 끊임없는 약탈과 피 약탈 관계에 있었기에 타인의 出現에 대한 敵對感이 강하다. 집안에 들어서는 외지인에게 독주를 한숨에 들이키게 하여 취하게 함으로써 상대를 武裝解除 시킴으로써 안심하는 것이다. 술자리에서 취하여 쓰러지면 이 사람은 나를 완전히 믿고 있다는 생각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무실이나 술좌석에서 담배를 잘 돌리는데 권할 때 받아 피우는 것이 예의에 어긋나지 않는다. 담배를 권할 때 자기의 담배를 꺼내면서 자기 것을 피우겠다는 식의 거절은 예의를 무시하는 행위로 받아들일 소지가 많다.
세계의 어느 국가 어느 민족과의 만남에서라도 딱 들어맞는 코드는 겸손함과 친절 그리고 정직한 마음가짐이다. 중국은 국토가 넓고 인구가 많아 우리와 같이 단숨에 마음을 내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일단 친구가 되면 오래간다.
II.중국진출의 어려움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1.중국 진출의 한국 기업 포지셔닝(positioning)의 어려움
중국은 이제 전 세계의 프로 장사꾼들이 몰려와 한판 승부(勝負)를 벌이는 전쟁터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중국은 진정한 내공을 쌓은 자만이 생존 가능한 지역이다.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대기업 몇몇을 제외하고는 한정된 경영자원으로 무한경쟁(無限競爭)에 노출되어 있다. 즉, 다국적 기업들은 기술적 역량과 브랜드 그리고 자금을 바탕으로 중국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데 혈안이 되어 있고, 중국 국내 기업들은 자본주의적인 경영 기법들을 재빨리 습득하여 이제 외자 기업들과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어, 우리 기업들이 끼어들 여지가 거의 없는 어려움에 처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브랜드는 고가 정책으로 하이 앤드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중국 내수 기업들은 제조업에서의 엄청난 원가절감 역량을 바탕으로 중저가(中低價)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중국에 이미 진출하여 현지 생산 공장을 가진 우리 기업이나 무역으로 중국시장 진입을 계획하는 업체들은 마케팅 전략으로 자사 제품을 어디에다가 포지셔닝(positioning) 하여야 할지 어려운 문제에 봉착(逢着)해 있다.
우리 기업들은 다국적 기업이 가진 고급 브랜드 이미지도 없고 그렇다고 하여 중국 로컬 기업과 제살 깍아먹기식의 가격경쟁에 나설 수도 없는 난감함에 처해 있다. 또한 제품에 대한 차별화도 어렵거니와 신제품이 출시되고 나면 유사품(類似品)들이 여기저기서 쏟아져 나온다. 마케팅 교과서에 나오는 4P 전략이나 STP 전략은 중국에서는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
1)문제점의 해결방안
첫째, 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대체품(代替品) 시장을 공략한다.
수입되는 상품 대부분이 다국적 기업의 중국에 있는 현지 기업에서 만들어지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여지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점을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 제품의 질은 수입품과 거의 유사하게 가고 가격은 비교적 낮게 책정함으로써 일정한 시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지역적 틈새시장(niche market)에서 승부를 걸어 본다.
중국은 지역적으로 상당히 다른 문화와 구매패턴을 가지고 있다. 먼저, 한 도시 전역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여 성공을 이끌어내는 전략이다. 중국은 넓어 중국 전역을 목표시장으로 했다가는 실패할 가능성이 많다. 한 지역에서의 성공을 이어가는 과정에서 중국시장 공략에 관한 상당히 유용한 기본기를 익힐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셋째, 신기술에 바탕하면서 디자인에서 차별화된 신제품을 내놓는다.
상당히 어렵고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영역이고, 기업의 핵심 역량이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지만 이것 아니고는 생존할 수가 없다는 생각이다. 신기술에 대한 끊임없는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상당한 경쟁력을 확보했다고 보아도 무리가 아니고 long-run 할 수 있다.
넷째, 한류(韓流)의 효율적인 활용으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천하고 싶다.
널리 알려진 대로 한국의 가수나 영화배우 그리고 탤런트들은 중국의 젊은이들에게 우상으로 대접받는다. 사업을 하는 사람들은 이런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자금적 여유가 없어 직접 섭외가 어려운 경우에는 현지의 우리 기업들이 뭉쳐 공동으로 한류 주역들을 활용한다거나, 한정된 기간 동안 초상권을 빌려 사업에 적용시켜보는 것도 시도해 봄직한 전략으로 추천하고 싶다.
다섯째, 국가나 지방정부의 조달시장(調達市場)을 노크해본다.
2)중국의 가능성
중국의 예산은 상상을 초월하는 규모의 시장이다. 우리는 세계에서 중국과 가장 오랫동안 교역을 해온 국가이다. 우리만큼 중국인의 내면을 잘 알고 있는 사람들도 없을 것이다. 중국의 사업은
추천자료
중국시장과 한류열풍(한국 기업의 중국진출 방안모색 )
한국기업의 중국진출 - 중국 산둥성의 지역경제
현대자동차 중국진출 인도진출 ppt
다국적기업의 해외진출 - 오리온의 중국진출
[A+] SM엔터테인먼트 경영전략분석 - 기업분석, 마케팅분석, 시장환경분석, 해외진출 배경, ...
농심,농심신라면,신라면,신라면마케팅,농심신라면마케팅,신라면분석,신라면중국진출,신라면중...
농심신라면중국시장진출사례,농심마케팅,해외시장진출,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아모레퍼시픽_중국진출전략,중국 화장품시장의 성장,라네즈의 성공요인 분석
한국타이어 중국진출,한국타이어중국마케팅전략,한국타이어마케팅전략,타이어시장,중국해외진...
[화장품산업][화장품산업 역사][화장품산업 현황][화장품산업 중국진출][화장품산업의 사례]...
오리온 초코파이 중국시장진출 성공사례분석과 초코파이 문제점분석과 향후전략 제안 - 오리...
[이랜드중국시장진출]중국시장성공사례,이랜드경영,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
이랜드중국 시장진출-중국시장성공사례,이랜드경영전략,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빙그레 바나나맛우유 중국시장진출 마케팅레포트_ 바나나맛우유 중국 마케팅 SWOT,STP,4P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