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무엇이 문제인가?
3. 동아시아 교육의 위기
4. 교육정책의 과제
5. 나가며
2. 무엇이 문제인가?
3. 동아시아 교육의 위기
4. 교육정책의 과제
5. 나가며
본문내용
배움에 대한 평가는 배움의 경험 자체에 대한 충실감과 배움의 희로애락을 공유하는 친구, 교사와 부모의 승인과 격려로 충분할 것이다. 아이들의 배움을 더욱 풍성하게 하기 위해서는 교실에서의 아이들 상호의 배움을 보다 풍부하게 할 필요가 있다.
문부과학성에서도 할 일이 있다. 우선은 입시 경쟁을 없애는 것이다. 입시 경쟁은 동아시아형 교육의 특수한 산물이다. 동아시아형 교육으로부터의 탈피가 요구되고 있는 지금 입시경쟁의 폐지는 그 첫걸음이 될 것이다.
대학에서는 교양교육의 충실을 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문부과학성과 연대하여 학교 교사가 대학원에서 공부 할 기회를 대폭적으로 확충해 주고 모든 사람들이 고등학교 졸업 후에도 평생에 걸쳐 몇 번이라도 재출발 할 수 있는 배움의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
5. 나가며
이 책을 읽으면서 새삼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에 가슴을 쳤다. 우리의 교육은 일본의 교육을 답습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시기적으로 일본이 조금 빠르게 문제점이 드러나면 얼마 후 우리나라도 똑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또한 그 해결책도 조금씩 비슷한 것 같다. 이런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이 우리나라가 일제치하에 있었던 역사적 사실 때문일지 모른다는 생각도 했지만 그렇게만 생각하기에는 그 이유가 부족하다. 물론 동아시아형 나라들의 특징일 수도 있다. 하지만 내 생각에는 우리나라 교육정책을 추진하고 확정하는 사람들의 안일함이 모든 상황이 비슷한 일본의 정책을 모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본의 교육정책 역시 그리 훌륭해 보이지는 않는다. 책에 있는 내용을 정리하며 특히 동아시아형 교육의 특징이 가장 인상 깊었다. 이 책의 저자는 마지막에 아이들이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현상이나 학력 저하 현상의 실태보다 그 현상을 둘러싼 정책이 매우 잘못되었다고 말한다. 물론 정책의 잘못이 크다. 그러나 순서가 어찌되었든 모든 현상들은 서로 원인과 결과가 되고 그 밑바탕에는 동아시아형 교육의 특징이 있다. 우리나라의 인적자원부나 일본의 문부과학성은 이 동아시아형 교육의 특징을 인식하고 그 사회적 특징을 깨달아 그 근원부터 변화를 꾀해야 한다. 즉 교육 정책이라고 교육의 일부 문제를 개선하려 하지 말고 다른 부서들과 협력하여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의 변화와 함께 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생각이 매우 이상주의적인 것은 알지만 사회의 분위기나 흐름과는 상관없는 교육정책은 또 다른 큰 문제점을 낳을 뿐이다.
문부과학성에서도 할 일이 있다. 우선은 입시 경쟁을 없애는 것이다. 입시 경쟁은 동아시아형 교육의 특수한 산물이다. 동아시아형 교육으로부터의 탈피가 요구되고 있는 지금 입시경쟁의 폐지는 그 첫걸음이 될 것이다.
대학에서는 교양교육의 충실을 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문부과학성과 연대하여 학교 교사가 대학원에서 공부 할 기회를 대폭적으로 확충해 주고 모든 사람들이 고등학교 졸업 후에도 평생에 걸쳐 몇 번이라도 재출발 할 수 있는 배움의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
5. 나가며
이 책을 읽으면서 새삼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에 가슴을 쳤다. 우리의 교육은 일본의 교육을 답습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시기적으로 일본이 조금 빠르게 문제점이 드러나면 얼마 후 우리나라도 똑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또한 그 해결책도 조금씩 비슷한 것 같다. 이런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이 우리나라가 일제치하에 있었던 역사적 사실 때문일지 모른다는 생각도 했지만 그렇게만 생각하기에는 그 이유가 부족하다. 물론 동아시아형 나라들의 특징일 수도 있다. 하지만 내 생각에는 우리나라 교육정책을 추진하고 확정하는 사람들의 안일함이 모든 상황이 비슷한 일본의 정책을 모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본의 교육정책 역시 그리 훌륭해 보이지는 않는다. 책에 있는 내용을 정리하며 특히 동아시아형 교육의 특징이 가장 인상 깊었다. 이 책의 저자는 마지막에 아이들이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현상이나 학력 저하 현상의 실태보다 그 현상을 둘러싼 정책이 매우 잘못되었다고 말한다. 물론 정책의 잘못이 크다. 그러나 순서가 어찌되었든 모든 현상들은 서로 원인과 결과가 되고 그 밑바탕에는 동아시아형 교육의 특징이 있다. 우리나라의 인적자원부나 일본의 문부과학성은 이 동아시아형 교육의 특징을 인식하고 그 사회적 특징을 깨달아 그 근원부터 변화를 꾀해야 한다. 즉 교육 정책이라고 교육의 일부 문제를 개선하려 하지 말고 다른 부서들과 협력하여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의 변화와 함께 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생각이 매우 이상주의적인 것은 알지만 사회의 분위기나 흐름과는 상관없는 교육정책은 또 다른 큰 문제점을 낳을 뿐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문제연구론E형)학교교육의 문제를 다룬 문헌을 하나 선택하여 교육중심적 교육관에 비추...
[공교육문제]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한 공교육 문제의 원인과 해결과제, 공교육 붕괴와 사교육...
[사교육문제]사교육(과외, 학원)의 개념, 사교육(과외, 학원)을 보는 시각과 사교육(과외, 학...
[사교육문제]사교육(과외, 학원)의 의미와 특성, 사교육(과외, 학원)과열의 제 관점, 사교육(...
사토마나부 저서를 읽고
문제중심교육(PBL, 문제기반학습) 의미와 특징, 문제중심교육(PBL, 문제기반학습) 필요성과 ...
[교육개혁][교육혁신][교육][교육문제][교육정책]교육개혁의 역사, 교육개혁의 의의, 교육개...
[교육문제][집단따돌림][학력주의][비평준화지역][교육문제 해결방안]교육문제의 원인, 교육...
교육문제연구론4공통) 학교교육과 관련된 문제를 교육관의 개념으로 분석
[교육문제연구론] 학교교육과 관련된 문제를 교육관의 개념으로 분석적으로 논의하시오-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