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언어, 그 문제점과 개선 방안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통신언어, 그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통신언어를 살펴보는 목적과 필요성

2. 인터넷 댓글 어휘구조에 따라 분류하기

3. 통신언어로 인한 문제점

4. 통신언어 남용의 개선방안

5. 부록(인터넷 댓글)

본문내용


부끌-업다
‘-업’이라는 파생 형용사 형성 접미사가 붙어서 형용사가 되었다. 뜻으로는 1.(자기의 잘못˙결점 따위를 강하게 의식하여) 남을 대하기가 떳떳하지 못하다. 대할 낯이 없다. 2.스스럼을 느껴서 수줍다. 등이 있다.
예)남자 앞에서는 부끄러워 고개도 못 든다.
자연스러운
자연-스러운
‘자연’이라는 명사에 ‘-스럽-’과 비슷한 꼴인 ‘-스러운’이라는 접미사가 붙어서 형용사가 되었다.
많이
많-이
‘많다’에 파생 부사 형성 접미사 ‘-이’가 붙어서 형용사가 되었다. 뜻은 1.수효나 분량이 어떤 기준을 넘다. 2. 정도가 일정한 수준을 넘다. 등이 있다.
예)인원이 많다.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너무
넘-우
‘넘’에 파생 부사 형성 접미사인 ‘-우’가 붙어서 부사가 되었다.
솔직히
솔직-히
‘솔직’이라는 형용사의 어근에 ‘-히’가 붙어서 부사가 되었다. 여기서 ‘-히’는 파생 부사 형성 접미사이다.
개판
개-판
‘개-’라는 접두사와 ‘판’이 결합하였다.
빗대다
빗-대다
‘빗-’이라는 접두사에 ‘대다’가 결합하였다.
기자답게
기자-답게
‘기자’라는 명사 뒤에 ‘답게’라는 접미사가 붙어서, ‘기자’가 지니는 성질이나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뜻의 형용사를 만들었다. 여기서 ‘-답다’는 파생 형용사 형성접미사이다.
㉣ 신조어
외계어(3)
우리말이 아닌 통신상에서 새로 생긴 말로서 알아듣기 어려운 말이다. 우리말이 아닌 새로 생긴 말로 외계에서 온 말이다 하여 ‘외계어’라 불린다. 외계어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서 흔히 생성된다.
1. 극도로 축약한다.
2. 한자와 숫자, 영어, 특수문자 등 컴퓨터에서 구현할 수 있는 것은 다 쓴다.
3. 표준어는 완전 무시하고 이리저리 뒤틀어서 쓴다.
하오체(2)
우리나라의 고유의 ‘하오체’ 이외에도 인터넷에서는 ‘하오체’가 새롭게 거듭났다. 한동안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드라마 ‘다모’를 통해서 ‘~하오’가 유행하면서 인터넷 어투로 널리 사용하다가, 최근 들어 그 쓰임이 많이 줄었다.
예)쥑자 공부하오.
하삼체(7)
-모르겠삼. 지우삼., 그러삼. 웃기삼. 뭐삼. 얘기하삼. 느끼삼.
문장의 미를 \'삼\'으로 장식하여 글로 쓴 문장양식이다. 웃긴대학교와 디씨인사이드에 이러한 문체가 많고, 지금 한창 유행중인 문체 중 하나이다.
예문)최수범은 삼테란 이삼. 왜 그러삼? 자꾸 그러시면 미워할꺼삼. 잘했으삼
프로게이머
축구에서는 축구선수가 있듯이 게임에서도 전문적으로 게임을 하는 직업군이 있다. 이렇게 게임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들을 프로게이머라고 한다. 아무나 프로게이머가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자격조건 가운데서도 가장 기초적이라 할 수 있는 게임실력이 뒷받침 되어야한다. 공인게임대회에서 연(年) 2회 이상 입상한 후 소양교육을 이수하면 프로게이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문화관광부 산하 단체인 한국프로게임협회에 정식 등록을 마쳐야 한다.
네티즌
네트워크 network+시민 citizen.이 결합한 것으로 인터넷을 하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요즘 들어 네티즌들의 도덕성에 대하여 크게 문제시되고 있기도 하다.
예)요즘 연예인들 네티즌을 가장 무서워한다.
ㅋㅋㅋㅋ
‘크크크크’하고 웃는 소리를 가리킨다. 의성어
ㅉㅉ
‘쯧쯧’ 이라는 소리를 나타낸다. 의성어
뉴스
1.새로운 일이나 아직 일반에 알려지지 않은 일, 또는 그 소식.
2.(신문·방송 등에서의) 시사성이 있는 보도, 또는 그 내용.
예)톱 뉴스, 지방 뉴스
캬캬
웃는 소리, 의성어
요한체
프로게이머 임요한의 이름을 이용한 어투
예)반가워요환. 사랑해요환
오나전(2)
\'완전\'의 오타로 인해 만들어진 단어로 뉴스와 같은 대중매체에도 가끔씩 오타가 발견된다.
예)이거 오나전 짜증난다.
오타
타자를 잘못 쳐서 글자가 틀렸을 경우 쓰임
예)보고서에 오타가 있어서 다시 해야겠다.
-,.- -..- ㅡㅇㅡ ㅍ.ㅍ
사람의 표정
인터넷
예)인터넷 연결이 잘 안되는구나.
붐다운
네이버 붐에서 쓰이는 용어로 게시판에 글에 공감이 가지 않거나 비난할 때 쓰는 것이다.
싱하형(5)
디시인사이드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에서 악플러로 활동하던 사람의 닉네임이다. \"한강굴다리로 십초 안에 뛰어와라. 애정이 있어서 때리는거다\" 등의 많은 유행어를 남겼다. 싱하라는 사람의 이미지가 이소룡과 매치가 되어, 여러 사진에 이소룡 얼굴을 합성해 싱하의 어록을 만든 재미있는 작품들이 많이 있다. 그의 유행어는 대부분 욕설이지만 자세히 읽어보면 요즘 10대를 걱정하는 따뜻한 마음이 담겨 있어 디시인사이드 사람들은 싱하에 열광한다.
드라군 놀이
일부 네티즌의 장난으로 시작됐던 `드라군 놀이`가 온라인상의 화제다. 이 드라군 놀이를 즐기는 네티즌들도 있지만 \"이게 무슨 소리인가\" 하며 고개를 설레설레 젓는 이들도 많다. 일견 유치해 보이는 이 놀이를 하는 네티즌들이 적지 않다. 대체 드라군은 뭐고 드라군 놀이는 또 뭘까.
드라군 놀이의 탄생
김성모 화백의 만화 `스타크래프트`에서 유래했다. 실제 게임을 토대로 쓰여진 이 작품에서 프로토스 종족은 전투 초반 위기를 겪게 된다. 기본 유닛인 질럿만으로 전투를 벌였지만 수세에 몰리고 만 것이다. 프로토스의 한 장군은 \"질럿들이 고전하는 건 나 또한 가슴이 아프지만 이제 겨우 초반일 뿐이다. 성급해 하지 마라\"고 부하들을 격려한다. 그는 뒤이어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라고 말한다. 드라군이 질럿을 도와 협공을 펼치면 전세를 역전시킬 수 있다는 말이다.
여기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네티즌들은 뉴스 댓글이나 커뮤니티·클럽 게시판 글에 `드` `라` `군`이라는 리플을 차례대로 달며 `장난`을 치고 있다. 어떤 종류의 글이든 상관없이 누군가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라고 운을 떼면 다른 네티즌들이 곧바로 `드`, `라`, `군`을 댓글로 달면 이 놀이는 성공으로 끝나게 된다. 만약 `드, 라, 군` 중간에 \"이거 지금 뭐하는 거야\" 등의 다른 댓글이 달릴 경우 놀이는 실패로 끝난다. 특별한 의미는 없고 단지 재미삼아 댓글을 다는 것이다.
디씨, DC
인터넷에 열광하는 네티즌들이 주로 활동하는 사이트이다. 아쥑쥑, 수쥑, 본좌와 하오체, 방법,
  • 가격1,8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5.10.16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6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