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역사적 배경
2. 영화줄거리
3. 영화에 투영된 역사적 실체
4. 영화 감상과 비평
2. 영화줄거리
3. 영화에 투영된 역사적 실체
4. 영화 감상과 비평
본문내용
2차 세계대전 당시 오스트리아의 유명한 산악인으로 티벳에서 달라이 라마와 7년간의 교분을 나눈 하인리히 하러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실제 달라이 라마를 만나고, 격변기 티벳 역사의 산 증인들과의 인터뷰를 하는 등 18개월간의 철저한 사전 준비를 거쳐 제작되었다. 한편 이 영화는 오리엔탈리즘의 망령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혹평도 있다.‘오리엔탈리즘\' 이란 미국의 문학비평가 에드워드 사이드의 저서 《오리엔탈리즘》에서 유래한 용어이다. 사이드는 자신의 출세작이기도 한 이 1978년도 저작에서 서구의 담론에 나타난 왜곡된 동양의 이미지로서 오리엔탈리즘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서구에서 말하는 동양 또는 동양적인 것이란 실제의 동양(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서구인들의 편견과 왜곡이 빚어낸 허상에 지나지 않는다.“그들(=동양인)은 스스로를 표현할 수가 없다. 다른 누군가가 표현해 주어야만 한다”는 마르크스의 말은 “동양을 지배하고 재구성하며 그에 대해 권위를 지니는 서구의 스타일\"이라는,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사이드의 정의와 정확히 일치한다. 사이드가 ‘동양(=실제의 동양)의 동양화(=이념적 허상으로서의 동양 만들기)\'라 부른 이 서구적 담론체계는 당연히 동양의 살아 있는 현실과는 무관하다. 후진성, 기괴성, 관능성, 정체성, 수동성처럼 동양적 특징으로 거론되는 것들은 순전히 서구인의 상상력이 만들어낸 소설일 따름이다. 그러나 그 소설은 어느새 권위 있는 학문적 진리이자 건전한 상식으로서 권위를 지니고 통용되기에 이른다. 더 중요한 것은 그것이 동양에 대한 서양의 식민 지배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