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용어설명
1) 시각표시단말기(Video Display Terminals/Unit, VDT 혹은 VDU)
2) VDT증후군(VDT Syndrome)
근골격계 증상
눈의피로
피부증상
정신신경계 증상
전자파장해
반복성긴장장애(RSI, Repetition Strain Injuries)
(2) 관련된 증상
(3) 주요 관리 대상
(4) VDT 증후군의 원인
(5) VDT 증후군 예방을 위한 대책
① 올바른 자세
② 눈에 나타나는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들
③ 그 외 예방 조치
(6) VDT 증후군 발병시 치료방법
1) 시각표시단말기(Video Display Terminals/Unit, VDT 혹은 VDU)
2) VDT증후군(VDT Syndrome)
근골격계 증상
눈의피로
피부증상
정신신경계 증상
전자파장해
반복성긴장장애(RSI, Repetition Strain Injuries)
(2) 관련된 증상
(3) 주요 관리 대상
(4) VDT 증후군의 원인
(5) VDT 증후군 예방을 위한 대책
① 올바른 자세
② 눈에 나타나는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들
③ 그 외 예방 조치
(6) VDT 증후군 발병시 치료방법
본문내용
성, 팔걸이 유무 등이 작업 특성에 따라 주의깊게 검토되어야 하며 의자 앉은면의 선단부위는 둥글고 수평위 4-5도 정도의 경사로 전면이 높아야 안정적인 작업자세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지침 6. 화면의 위치는 화면의 최 상단 높이와 작업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의 눈높이와 수평을 이루거나 약간 아래에 있어야 합니다.
☞ 그래야만 아무런 불편없이 안구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시계의 범위(중심시선이 수평아래 10-15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만약 책상과 의자의 높이는 적당하지만 주로 관찰해야 하는 제품의 눈 높이가 너무 높거나 낮게 되면 목부위에 대한 통증과 불편이 커지게 됩니다.
지침 7. 키보드의 경사각도는 보통 15도 이내, 중간점 두께(Home키 높이)는 30mm 이내의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 만약 키보드가 너무 두껍거나 경사 각도가 크게 되면 손목의 전완 각도(손목이 굽어지는 각도)가 커져 손목부위 통증이 증가하게 됩니다.
지침 8. 개인의 작업자세는 가장 무리없는 편안한 자세를 취해야 합니다.
☞ 작업자세의 불량은 인체공학적으로 부적합한 작업대와 의자 등을 쓰는데서 생긴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주변 작업조건들이 인체공학적으로 적합하다고 할지라도 작업자 개인의 자세가 불량하면 건강장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작업면을 바라보는 몸통의 각도는 90 0를 약간 상회 하는 자세로 등받이에 상체를 자연스럽게 기댄 자세가 좋습니다. 앉은 상태에서 작업면(컴퓨터 작업은 키보드 중간점)위에 손을 얹었을 때는 팔굼치의 각도는 90 0 이상 되고 팔꿈치의 높이는 키보드와 높이와 비슷해야 합니다.
지침 9. 책상에 앉은 상태에서 컴퓨터 화면과의 거리는 최소한 50 cm 이상 확보되어야 합니다(손끝을 쭉 뻗어 화면에 닿을 정도의 거리).
☞ 화면과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시각적 피로가 증가하고 또한 키보드와 문서를 바라볼 때 목의 기울기가 커져 목부위에 통증이 증가하게 되며 멀리 떨어질 수록 모니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지침 10. 작업장의 전체적인 조명은 밝아야 하며(최소 300Lux 이상)화면에 나타나는 눈부심이나 반사현상이 있을 경우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주어야 합니다.
☞ 가능하면 조명등은 작업자의 양 측면에서 작업자와 화면축과 평행하게 설치해야 합니다.
☞ 조명갓이나 종이 등과 같은 적절한 조치를 이용해서 작업면에 도달되는 빛의 각도가 수직으로 부터 45도 이상 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간접조명 방법을 채택하는 것입니다.
☞ 가능하면 창을 등지거나 마주하는 자세에서 작업을 하지 않도록 VDT를 배치해야 합니다.
☞ 근본적으로 반사휘광을 차단할 수 있는 보안경 등을 화면에 설치합시다.
지침 11. 컴퓨터를 배열할 때는 전후, 좌우 충분한 공간을 두고 배치해야 하며 특히 화면을 서로 등지고 배치해서는 안됩니다.
☞ 컴퓨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양은 화면 정면보다 측면에서 가장 많이 발생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침 12. 평소에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합시다.
☞ 동일한 작업을 하더라도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에 증상 호소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침 13. 업무중에 신체적 피로를 풀어줄 수 있도록 의자에 않아서 손쉽게 할 수 있는 스트레칭 체조를 보급하여 실용화합시다.
지침 14. 정기적인 건강진단을 통해 질병 이환 여부를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6) VDT 증후군 발병시 치료방법
일단 VDT 증후군이 의심되는 증상이 생기면 병원을 찾아 의사의 진찰을 통해 정확히 VDT 증후군을 진단받아야 한다. 다른 질병으로 인한 증상을 자가 진단을 통해 VDT 증후군이라고만 생각하여 방치하면 다른 질병의 조기진단의 기회를 잃어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VDT 증후군이 발생하면 가능한 한 VDT 작업을 줄이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우선 VDT 증후군이 발생한 원인을 찾아내어 그 원인을 교정해야 한다. 예를 들면 작업환경의 개선이나 적절한 체조 등을 시행해야 한다. 다음으로 각 증상에 따른 정확한 진단과 거기에 알맞은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근골격계 증상이라면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등을 시행해야 하고, 눈의 증상이면 안과적 치료가 필요하다. 다시 한번 말하면 VDT 증후군은 예방이 가장 중요한 치료이다. 일단 증상을 치료하더라도 잘못된 습관이나 작업환경 등으로 재발하여 병원을 다시 찾아오는 환자가 많기 때문이다.
지침 6. 화면의 위치는 화면의 최 상단 높이와 작업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의 눈높이와 수평을 이루거나 약간 아래에 있어야 합니다.
☞ 그래야만 아무런 불편없이 안구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시계의 범위(중심시선이 수평아래 10-15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만약 책상과 의자의 높이는 적당하지만 주로 관찰해야 하는 제품의 눈 높이가 너무 높거나 낮게 되면 목부위에 대한 통증과 불편이 커지게 됩니다.
지침 7. 키보드의 경사각도는 보통 15도 이내, 중간점 두께(Home키 높이)는 30mm 이내의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 만약 키보드가 너무 두껍거나 경사 각도가 크게 되면 손목의 전완 각도(손목이 굽어지는 각도)가 커져 손목부위 통증이 증가하게 됩니다.
지침 8. 개인의 작업자세는 가장 무리없는 편안한 자세를 취해야 합니다.
☞ 작업자세의 불량은 인체공학적으로 부적합한 작업대와 의자 등을 쓰는데서 생긴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주변 작업조건들이 인체공학적으로 적합하다고 할지라도 작업자 개인의 자세가 불량하면 건강장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작업면을 바라보는 몸통의 각도는 90 0를 약간 상회 하는 자세로 등받이에 상체를 자연스럽게 기댄 자세가 좋습니다. 앉은 상태에서 작업면(컴퓨터 작업은 키보드 중간점)위에 손을 얹었을 때는 팔굼치의 각도는 90 0 이상 되고 팔꿈치의 높이는 키보드와 높이와 비슷해야 합니다.
지침 9. 책상에 앉은 상태에서 컴퓨터 화면과의 거리는 최소한 50 cm 이상 확보되어야 합니다(손끝을 쭉 뻗어 화면에 닿을 정도의 거리).
☞ 화면과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시각적 피로가 증가하고 또한 키보드와 문서를 바라볼 때 목의 기울기가 커져 목부위에 통증이 증가하게 되며 멀리 떨어질 수록 모니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지침 10. 작업장의 전체적인 조명은 밝아야 하며(최소 300Lux 이상)화면에 나타나는 눈부심이나 반사현상이 있을 경우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주어야 합니다.
☞ 가능하면 조명등은 작업자의 양 측면에서 작업자와 화면축과 평행하게 설치해야 합니다.
☞ 조명갓이나 종이 등과 같은 적절한 조치를 이용해서 작업면에 도달되는 빛의 각도가 수직으로 부터 45도 이상 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간접조명 방법을 채택하는 것입니다.
☞ 가능하면 창을 등지거나 마주하는 자세에서 작업을 하지 않도록 VDT를 배치해야 합니다.
☞ 근본적으로 반사휘광을 차단할 수 있는 보안경 등을 화면에 설치합시다.
지침 11. 컴퓨터를 배열할 때는 전후, 좌우 충분한 공간을 두고 배치해야 하며 특히 화면을 서로 등지고 배치해서는 안됩니다.
☞ 컴퓨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양은 화면 정면보다 측면에서 가장 많이 발생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침 12. 평소에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합시다.
☞ 동일한 작업을 하더라도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에 증상 호소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침 13. 업무중에 신체적 피로를 풀어줄 수 있도록 의자에 않아서 손쉽게 할 수 있는 스트레칭 체조를 보급하여 실용화합시다.
지침 14. 정기적인 건강진단을 통해 질병 이환 여부를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6) VDT 증후군 발병시 치료방법
일단 VDT 증후군이 의심되는 증상이 생기면 병원을 찾아 의사의 진찰을 통해 정확히 VDT 증후군을 진단받아야 한다. 다른 질병으로 인한 증상을 자가 진단을 통해 VDT 증후군이라고만 생각하여 방치하면 다른 질병의 조기진단의 기회를 잃어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VDT 증후군이 발생하면 가능한 한 VDT 작업을 줄이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우선 VDT 증후군이 발생한 원인을 찾아내어 그 원인을 교정해야 한다. 예를 들면 작업환경의 개선이나 적절한 체조 등을 시행해야 한다. 다음으로 각 증상에 따른 정확한 진단과 거기에 알맞은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근골격계 증상이라면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등을 시행해야 하고, 눈의 증상이면 안과적 치료가 필요하다. 다시 한번 말하면 VDT 증후군은 예방이 가장 중요한 치료이다. 일단 증상을 치료하더라도 잘못된 습관이나 작업환경 등으로 재발하여 병원을 다시 찾아오는 환자가 많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