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 론 --- 아동학대 인식의 필요성
Ⅱ.본 론 --- 1.아동학대 정의
2.아동학대의 원인 분류
3.-1)아동학대의 유형
-2)아동학대 영향
-3)아동학대 징후 ,후유증
4.학대행위자의 분석
5.아동학대에 관한대응책과 법률
6.아동학대 시설현황
Ⅲ.결 론 --- 1.아동학대 대책
2. 아동학대에 따른 사회복지사 역할
Ⅳ.느낀점 및 역할 분담
Ⅴ.참고 자료
Ⅱ.본 론 --- 1.아동학대 정의
2.아동학대의 원인 분류
3.-1)아동학대의 유형
-2)아동학대 영향
-3)아동학대 징후 ,후유증
4.학대행위자의 분석
5.아동학대에 관한대응책과 법률
6.아동학대 시설현황
Ⅲ.결 론 --- 1.아동학대 대책
2. 아동학대에 따른 사회복지사 역할
Ⅳ.느낀점 및 역할 분담
Ⅴ.참고 자료
본문내용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양육에 대한 지식의 부족, 높은 스트레스, 가족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의 결여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2) 사회적 원인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거나 사회적 지지체계가 결여되어 있을 때 아동학대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주로 신체적인 체벌에 대해 허용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는 사회에서 아동학대의 가능성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아동을 존중하지 않는 문화, 자녀에 대한 소유의식을 가진 전통 가부장적 사회에서도 아동 학대의 가능성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폭력에 대한 가치와 규범이 체벌이나 훈육의 의미가 포함된 폭력은 필요하고 정당하다는 관념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아동의 학대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3. -1) 아동학대의 유형
1)신체적 학대
용어 설명 : 신체적 손상을 입힌 경우와 신체적 손상을 입도록 허용한 경우를 말한다
보통 사람들이 학대라고 말하는 것은 주로 이 신체적 학대를 일컫는 경우가 많다. 이는 신체적 학대가 가장 눈에 두드러지는 손상을 가져오며 발견하기도 쉽기 때문이기도 하다. 보통 신문이나 TV에서 많이 다뤄지는, 보호자나 양육 자에게 체벌이란 이름으로 가해지는 신체적 손상행위를 통틀어 신체적 학대라 고 하는데, 심한 구타나 발길 질 뿐만이 아니라 불로 지지거나, 가위 따위의 흉기로 찌르거나, 높은 곳에서 밀어서 떨어뜨리는 행위들도 포함 된다. 보호 자나 양육자들은 아이를 다치게 할 목적은 아니었을지 모르나 그것은 전혀 우 발적인 것이 아니며 단지 아이가 감당하기에 걸맞지 않는 과도한 징계나 체벌 의 결과로 일어나게 되는 것뿐이다.
<표 1-1> 신체학대 유형
(단위 : 건, %)
내
용
외
상
없
음
멍
듦
긁
힘
꼬
집
힘
찢
김
골
절
찔
림
물
어
뜯
김
목
조
름
삠
접
질
림
아
동
던
짐
고
막
파
열
화
상
복
부
출
혈
호
흡
곤
란
두
개
골
골
절
경
뇌
막
혈
종
뇌
손
상
기
타
전
체
계
501
(35.8)
447
(32.0)
126
(9.0)
40
(2.9)
66
(4.7)
37
(2.6)
11
(0.8)
8
(0.6)
16
(1.1)
12
(0.9)
19
(1.4)
6
(0.4)
23
(1.7)
0
(0.0)
3
(0.2)
8
(0.5)
4
(0.3)
11
(0.8)
60
(4.3)
1,398
(100.0)
<표 1-1>는 신체학대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신체학대 유형임에도 불구하고 외상없음이 501건(38.8%)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거나, 이는 현장조사 당시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미 상처가 아물어 외견상으로는 상처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 다음으로는 멍듦이 447건(32%)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긁힘 126건(9%), 찢김 66건(4.7%), 꼬집힘 40건(2.9%), 골절 37건 (2.6%)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화상 23건(1.7%), 아동 던짐 19건(1.4%), 목조름 16건(1.1%), 뇌손상 11건(0.8%), 두개골 골절 8건(0.5%), 경뇌막 혈종 4건(0.3%)등은 아동의 생명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만큼 비록 미미한 수치이기는 하나 더욱 주의 깊은 관찰이 요구된다.
사 례 :
<전처 자식 학대로 격리조치 계모, 돌아온 남매 또 폭행 >
8세, 6세 된 의붓자식들을 때려 아동복지법 위반 혐의로 입건됐던 20대 주부가 또 폭력을 휘둘러 한 아이는 숨지고 다른 아이는 중태에 빠졌다. 아이들은 지난해 이 주부에게서 폭행당해 30여 일간 \'일시보호\'(부모에게서 격리)를 받았으나 집에 돌아가 또 폭행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경기 군포경찰서는 3일 이 같은 혐의(폭행치사 등)로 장모(29여)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경찰에 따르면 장씨는 지난달 31일 오후 3시쯤 동거남 신모(29노동)씨의 딸(8)과 아들(6) 을 \"집에 늦게 돌아오고 말을 듣지 않는다\"며 플라스틱 파리채로 마구 때리고 머리채를 잡 고 벽에 부딪치는 등 30여분간 폭행했다. 머리를 크게 다친 딸은 이틀 후인 지난 2일 오 후 8시30분쯤 호흡 곤란을 호소해 아버지가 병원으로 옮기던 중 숨졌으며 아들은 내출혈 과 간조직 손상으로 치료를 받고 있으나 중태다.
신씨는 아이들이 고통을 호소하며 앓아 누웠지만 돈이 없다면서 병원에 데려가지 않은 것 으로 경찰 조사 결과 밝혀졌다.
장씨는 지난해 5월 말에도 아이들을 때려 아동복지법 위반으로 입건됐다. 당시 중앙아동학 대예방센터는 부모의 동의를 얻어 아이들을 \'쉼터\'에서 30여일간 보호하면서 장씨에게 \'소 아 청소년 클리닉\'을 세 차례 받게 했다. 하지만 아이들이 집으로 돌아온 뒤에도 장씨의 폭행은 계속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2)정서적 학대(=언어적, 정신적, 심리학적 학대)
용어 설명 : 언어적, 정서적 위협, 억제, 감금, 기타 가학적 행위를 포함.
이는 보호자나 양육자가 아동을 대할 때 부정적인 태도로 임하며, 아동의 정서발달이나 사회성 발달에 심각한, 경우에 따라서는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올 수 있을 정도로 언어적으로 혹은 정서적으로 공격하는 것이다. 아동이 공포를 느낄 정도로 고립시켜 두거나( 예를 들 어 다락방에 감금 시켜 두거나 장시간 의자에 묶어 놓는 것을 주는 것) 아이가 감당할 수 없는 모욕을 주는 것 등이 포함된다 할 수 있겠는데, 이는 눈에 보이는 것도 아니고, 당장 그 결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일반 사람들이 그 심각성을 잘 모르는 채 지나칠 수도 있 다는 점에서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고 하겠다.
정서적 학대의 신체적학대는 위와 같은 방임인데 적절한 보호를 받지 못하거나, 위험한 환경에 처하거나, 또는 아동이 충분한 영양을 공급받지 못하며 일반적으로 홀로 방치된 다. 이의 현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발육부진(failure to thrive)인데 이러한 아동들은 그들이 늦은 발육의 이유가 될 명백한 질병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동일 연령중의 가장 작은 아동 1/3을 구성하고있으며 건전한 정신과 감정 표현을 발달시키는데 실패하고 있다. 이들은 부모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 그리고 위탁부모 밑에서 자랐을 때보다 빠른 성장률을 보여준다.
<표1-2> 정서학대 유형
(단위 : 건, %)
내
용
소리
지름
무시
심한
욕설
내
(2) 사회적 원인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거나 사회적 지지체계가 결여되어 있을 때 아동학대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주로 신체적인 체벌에 대해 허용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는 사회에서 아동학대의 가능성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아동을 존중하지 않는 문화, 자녀에 대한 소유의식을 가진 전통 가부장적 사회에서도 아동 학대의 가능성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폭력에 대한 가치와 규범이 체벌이나 훈육의 의미가 포함된 폭력은 필요하고 정당하다는 관념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아동의 학대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3. -1) 아동학대의 유형
1)신체적 학대
용어 설명 : 신체적 손상을 입힌 경우와 신체적 손상을 입도록 허용한 경우를 말한다
보통 사람들이 학대라고 말하는 것은 주로 이 신체적 학대를 일컫는 경우가 많다. 이는 신체적 학대가 가장 눈에 두드러지는 손상을 가져오며 발견하기도 쉽기 때문이기도 하다. 보통 신문이나 TV에서 많이 다뤄지는, 보호자나 양육 자에게 체벌이란 이름으로 가해지는 신체적 손상행위를 통틀어 신체적 학대라 고 하는데, 심한 구타나 발길 질 뿐만이 아니라 불로 지지거나, 가위 따위의 흉기로 찌르거나, 높은 곳에서 밀어서 떨어뜨리는 행위들도 포함 된다. 보호 자나 양육자들은 아이를 다치게 할 목적은 아니었을지 모르나 그것은 전혀 우 발적인 것이 아니며 단지 아이가 감당하기에 걸맞지 않는 과도한 징계나 체벌 의 결과로 일어나게 되는 것뿐이다.
<표 1-1> 신체학대 유형
(단위 : 건, %)
내
용
외
상
없
음
멍
듦
긁
힘
꼬
집
힘
찢
김
골
절
찔
림
물
어
뜯
김
목
조
름
삠
접
질
림
아
동
던
짐
고
막
파
열
화
상
복
부
출
혈
호
흡
곤
란
두
개
골
골
절
경
뇌
막
혈
종
뇌
손
상
기
타
전
체
계
501
(35.8)
447
(32.0)
126
(9.0)
40
(2.9)
66
(4.7)
37
(2.6)
11
(0.8)
8
(0.6)
16
(1.1)
12
(0.9)
19
(1.4)
6
(0.4)
23
(1.7)
0
(0.0)
3
(0.2)
8
(0.5)
4
(0.3)
11
(0.8)
60
(4.3)
1,398
(100.0)
<표 1-1>는 신체학대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신체학대 유형임에도 불구하고 외상없음이 501건(38.8%)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거나, 이는 현장조사 당시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미 상처가 아물어 외견상으로는 상처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 다음으로는 멍듦이 447건(32%)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긁힘 126건(9%), 찢김 66건(4.7%), 꼬집힘 40건(2.9%), 골절 37건 (2.6%)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화상 23건(1.7%), 아동 던짐 19건(1.4%), 목조름 16건(1.1%), 뇌손상 11건(0.8%), 두개골 골절 8건(0.5%), 경뇌막 혈종 4건(0.3%)등은 아동의 생명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만큼 비록 미미한 수치이기는 하나 더욱 주의 깊은 관찰이 요구된다.
사 례 :
<전처 자식 학대로 격리조치 계모, 돌아온 남매 또 폭행 >
8세, 6세 된 의붓자식들을 때려 아동복지법 위반 혐의로 입건됐던 20대 주부가 또 폭력을 휘둘러 한 아이는 숨지고 다른 아이는 중태에 빠졌다. 아이들은 지난해 이 주부에게서 폭행당해 30여 일간 \'일시보호\'(부모에게서 격리)를 받았으나 집에 돌아가 또 폭행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경기 군포경찰서는 3일 이 같은 혐의(폭행치사 등)로 장모(29여)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경찰에 따르면 장씨는 지난달 31일 오후 3시쯤 동거남 신모(29노동)씨의 딸(8)과 아들(6) 을 \"집에 늦게 돌아오고 말을 듣지 않는다\"며 플라스틱 파리채로 마구 때리고 머리채를 잡 고 벽에 부딪치는 등 30여분간 폭행했다. 머리를 크게 다친 딸은 이틀 후인 지난 2일 오 후 8시30분쯤 호흡 곤란을 호소해 아버지가 병원으로 옮기던 중 숨졌으며 아들은 내출혈 과 간조직 손상으로 치료를 받고 있으나 중태다.
신씨는 아이들이 고통을 호소하며 앓아 누웠지만 돈이 없다면서 병원에 데려가지 않은 것 으로 경찰 조사 결과 밝혀졌다.
장씨는 지난해 5월 말에도 아이들을 때려 아동복지법 위반으로 입건됐다. 당시 중앙아동학 대예방센터는 부모의 동의를 얻어 아이들을 \'쉼터\'에서 30여일간 보호하면서 장씨에게 \'소 아 청소년 클리닉\'을 세 차례 받게 했다. 하지만 아이들이 집으로 돌아온 뒤에도 장씨의 폭행은 계속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2)정서적 학대(=언어적, 정신적, 심리학적 학대)
용어 설명 : 언어적, 정서적 위협, 억제, 감금, 기타 가학적 행위를 포함.
이는 보호자나 양육자가 아동을 대할 때 부정적인 태도로 임하며, 아동의 정서발달이나 사회성 발달에 심각한, 경우에 따라서는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올 수 있을 정도로 언어적으로 혹은 정서적으로 공격하는 것이다. 아동이 공포를 느낄 정도로 고립시켜 두거나( 예를 들 어 다락방에 감금 시켜 두거나 장시간 의자에 묶어 놓는 것을 주는 것) 아이가 감당할 수 없는 모욕을 주는 것 등이 포함된다 할 수 있겠는데, 이는 눈에 보이는 것도 아니고, 당장 그 결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일반 사람들이 그 심각성을 잘 모르는 채 지나칠 수도 있 다는 점에서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고 하겠다.
정서적 학대의 신체적학대는 위와 같은 방임인데 적절한 보호를 받지 못하거나, 위험한 환경에 처하거나, 또는 아동이 충분한 영양을 공급받지 못하며 일반적으로 홀로 방치된 다. 이의 현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발육부진(failure to thrive)인데 이러한 아동들은 그들이 늦은 발육의 이유가 될 명백한 질병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동일 연령중의 가장 작은 아동 1/3을 구성하고있으며 건전한 정신과 감정 표현을 발달시키는데 실패하고 있다. 이들은 부모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 그리고 위탁부모 밑에서 자랐을 때보다 빠른 성장률을 보여준다.
<표1-2> 정서학대 유형
(단위 : 건, %)
내
용
소리
지름
무시
심한
욕설
내
추천자료
[아동복지]아동학대의 심각성과 실태 및 문제점에 관한 아동복지 대책
아동학대의 개념 유형 원인
[아동복지론] 아동학대의 개념과 개념변화, 아동학대의 유형, 아동학대발생의 원인, 생태학적...
아동복지론 - 아동 학대의 개념 정의와 유형 및 결과, 아동학대의 원인과 실태, 아동학대에 ...
[아동건강교육] 아동학대 - 아동학대의 실태와 유형 및 아동 학대의 영향
[사회복지 정책론] 학대아동 보호정책 (아동학대 정의 및 유형, 정책의 필요성, 학대아동 보...
[아동복지론] 학대아동(child abuse)을 위한 아동복지실천 - 아동학대의 개념과 유형, 아동학...
≪아동 성학대(child sexual molestation)≫ [개념, 발생원인, 성교육, 예방, 대처, 해결방안, ...
아동복지 서비스 {아동복지 서비스의 유형, 지지적 서비스, 보충적 서비스, 대리적 서비스, ...
아동복지론 - 아동학대 ( 아동학대 개념, 아동학대 원인, 아동학대 유형 , 아동학대 실태 및...
성인간호학 - 아동 학대 및 방임에 대한 간호사의 역할 ( 아동학대, 방임, 정의 및 유형, 원...
[아동兒童복지론] 학대받은 아동에게 제공할 수 있는 아동복지서비스 - 아동학대의 개념과 아...
아동학대의 정의와 원인(아동학대의 개념과 유형, 아동학대요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