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 인간, 이상은 이렇게 말했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멀티미디어 인간, 이상은 이렇게 말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Ⅰ장 이미지 시대, 학문의 道

­제Ⅱ장 전자적 가상 공간의 문화적 정체성과 디자인의 미래

­제Ⅲ장 사이버커뮤니케이션의 삶과 죽음

­제Ⅳ장 디지털 주사위 던지기 : 하이퍼미디어와 시각 문화

­제Ⅴ장 시각 예술의 관점에서 본 李箱 詩의 혁명성

­제Ⅵ장 멀티미디어 인간, 이상은 이렇게 말했다

본문내용

수로부터 흘러나온 여러 갈래의 지류들이었다. 따라서 다다의 산물은 서로 다른 예술 영역에서 별개로 분리되어 설명될 수 없으며, 바로 이 점이 다다와 관련된 이사의 시가 시각 예술의 차원에서 함께 논의되어야 하는 명백한 이유인 것이다.
대부분 한국의 현대 문학사가들은 특히 이상을 논할 때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의 중간에 위치된 특이한 존재로서, 그를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의 관점에서 규명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이러한 시각들은 통사적인 관점에서 다다이즘이라는 한국 현대 문학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유파를 위치시키는 데는 많은 공헌을 했지만, 유형학적 산물로서 스타일 분석의 태도가 갖는 한계점 때문에 이상의 작시(作詩) 행위와 관련된 ‘생성 논리’ 와 다다적인 스타일 내에서 그의 시가 갖는 특수한 차이점을 규명하는 데는 다소 미흡한 면이 없지 않다. 따라서 그동안 이념적 관점에서 비교되었던 ‘다다이즘과 이상’의 차원이 아닌 구체적인 예술적 감수성과 작업 논리라는 관점에서 이상 시에 대한 철저한 규명이 요구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다다의 작업 논리에 근거하여 다다의 최고 경지인 ‘부정의 변증법’ 이 어떻게 이상의 시에서 통합되고 있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먼저 이상의 초기 시에서 부정의 변증법은 시의 구조에서 그가 사용한 몇 가지 대립과 통합 방식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는 시각적 이미지와 문자적 어휘 사이의 상호 대립과 재통합, 두 번째는 시각적 기호 또한 도상적 문자 언어 내의 상호 대립과 통합, 세 번째는 순수 시각 이미지의 구조 내에서 발생한 추상서의 대립과 이에 대한 반전을 통한 통합 양상이 바로 그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0.28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75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