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수화
1. 수화의 정의
2. 수화의 발생과 기원
3. 수화의 기호 구성 원리 7 가지
4. 수화의 유형 및 특징
5. 수화의 필요성
6. 수화할 때의 주의사항
Ⅱ. 지화
1. 한글 지문자(Korea finger spelling)
2. 지화 배우기 ① - 모음
② - 자음
③ - 숫자표현
1. 수화의 정의
2. 수화의 발생과 기원
3. 수화의 기호 구성 원리 7 가지
4. 수화의 유형 및 특징
5. 수화의 필요성
6. 수화할 때의 주의사항
Ⅱ. 지화
1. 한글 지문자(Korea finger spelling)
2. 지화 배우기 ① - 모음
② - 자음
③ - 숫자표현
본문내용
존대어가 되도록 해야 한다.
⑤ 어순이 도치되는 경우, 같은 의미의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을 품사에 관여치 않고 동일하게 사용한다는 점 등을 알아 두어야 한다.
예) 안 간다. = 가지 않는다. / 안 한다. = 하지 않는다.
예) 감사(명사) = 감사하다(동사) = 감사한(형용사)
⑥ 긴 문장일 경우에는 불필요한 말을 빼고, 간단히 줄여서 이야기해야 한다.
⑦ 알맞은 수화 표현이 없을 때에는, 적절한 의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⑧ 과거형인 "했다", "먹었다" 등은 "끝, 마지막"의 수화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과거형이 된다.
⑨ 구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을 만났을 경우에는 입 모양도 병행한다.
*** 과거에는 여러 가지 의사소통 방법 중 어느 한 가지 방법만을 배타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최근에는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각의 방법을 결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1. 동 시 법 : 구화, 수화, 지문자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
2. 수 지 법 : 수화와 지문자가 결합된 의사소통 방법
3. 로체스터법 : 구화와 지문자가 결합된 의사소통 방법
Ⅱ. 지화
1. 한글 지문자(Korea finger spelling)
1947년 국립 맹아학교에 초대 교장이었던 윤백원 선생님이 고안한 한 손으로 된 지문자로서 모음 17개, 자음 15개, 아라비아 숫자 등의 한글 지문자를 제정한 이래 오늘날까지 활용되고 있다.
2. 지화 배우기 ① - 모음
아 야 어 여 오 요 우
유 으 이 애 에 와
외 위 워 예 얘 의
② -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ㅆ
③ - 숫자표현
⑤ 어순이 도치되는 경우, 같은 의미의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을 품사에 관여치 않고 동일하게 사용한다는 점 등을 알아 두어야 한다.
예) 안 간다. = 가지 않는다. / 안 한다. = 하지 않는다.
예) 감사(명사) = 감사하다(동사) = 감사한(형용사)
⑥ 긴 문장일 경우에는 불필요한 말을 빼고, 간단히 줄여서 이야기해야 한다.
⑦ 알맞은 수화 표현이 없을 때에는, 적절한 의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⑧ 과거형인 "했다", "먹었다" 등은 "끝, 마지막"의 수화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과거형이 된다.
⑨ 구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을 만났을 경우에는 입 모양도 병행한다.
*** 과거에는 여러 가지 의사소통 방법 중 어느 한 가지 방법만을 배타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최근에는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각의 방법을 결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1. 동 시 법 : 구화, 수화, 지문자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
2. 수 지 법 : 수화와 지문자가 결합된 의사소통 방법
3. 로체스터법 : 구화와 지문자가 결합된 의사소통 방법
Ⅱ. 지화
1. 한글 지문자(Korea finger spelling)
1947년 국립 맹아학교에 초대 교장이었던 윤백원 선생님이 고안한 한 손으로 된 지문자로서 모음 17개, 자음 15개, 아라비아 숫자 등의 한글 지문자를 제정한 이래 오늘날까지 활용되고 있다.
2. 지화 배우기 ① - 모음
아 야 어 여 오 요 우
유 으 이 애 에 와
외 위 워 예 얘 의
② -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ㅆ
③ - 숫자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