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주제 선정 배경 및 목적
Ⅱ. 외국인 투자자의 정의
1. 외국인 투자자
2. 기관 투자자
3. 개인 투자자
Ⅲ. 시장 개방이후 외국인투자자의 현황
1. 한국의 자본시장 개방추이
2. 외국인 투자자의 한국증시 참여현황
Ⅳ. 외국인 투자 자본 확대에 따른 영향
1. 증시에 미치는 영향
Ⅴ. 대응방안
1. 정책차원의 대응방안
2. 투자자들의 대응방안
Ⅱ. 외국인 투자자의 정의
1. 외국인 투자자
2. 기관 투자자
3. 개인 투자자
Ⅲ. 시장 개방이후 외국인투자자의 현황
1. 한국의 자본시장 개방추이
2. 외국인 투자자의 한국증시 참여현황
Ⅳ. 외국인 투자 자본 확대에 따른 영향
1. 증시에 미치는 영향
Ⅴ. 대응방안
1. 정책차원의 대응방안
2. 투자자들의 대응방안
본문내용
3%
독 일
216
557
1.5%
버 진 아 일 랜 드
793
425
1.2%
케 이 만 아 일 랜 드
784
1,334
3.7%
기 타
1,486
2,518
7.0%
총 계
20,073
36,098
100.0%
Ⅳ. 외국인 투자 자본 확대에 따른 영향
지난 수십 년 간, 국제금융투자에 대한 많은 장벽들이 제거되어 왔다. 물론 모든 장벽들이 제거된 것은 아니며, 아직 극소수의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장벽들이 남아있으나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추세에 따라 1992년 증권시장을 외국인투자자들에게 부분적으로 개방하였고 1998년 5월 외국인에 대한 투자한도를 폐지함으로써 완전 경쟁시대에 돌입하게 되었다.
현재 외국인 투자자들의 증시참여는 국내증시에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여 증권시장을 더욱 활성화 시키고 제도와 조직을 국제적인 수준으로 개선시켰다. 또한 외국인들의 국내증권투자는 주식의 수급관계에 구조적인 변화를 가져와 시장규모를 확대시켰으며,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투자기법은 국내투자자들을 고무시켜 국내증시의 선진화를 촉진시켰다. 그러나 국제적으로 자금이 유출입 될 때, 그 자금의 성격이 투자목적이 아닌 단기적 투기의 성격을 띠면 시장거래질서가 교란되거나 주가가 불안정하게 변동되어 증권시장을 교란 시킬수도 있다. 우리나라는 1997년말 찾아온 금융위기로 많은 시련을 겪었으며, 취약해진 국내 경제를 살리기 위해 경제 전반에 걸쳐 많은 개혁을 단행하였다. 이러한 일환으로 98년 2월 ‘외국인 투자촉진법’이 시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국내 증권시장에 대한 외국인투자자들의 영향력은 더욱 증대되었다.
외국인 투자가 과도하게 증가할 경우 국내 증시가 외국인에 의해 움직임으로써 외환 및 금융 위 기간에서 볼수 있듯이 급격한 외국인 매도로 인해 국내 증시가 다시 한번 위기를 맞을수 있다는 개연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긍정적인 것 만은 아니다.
자본시장의 세계화와 금융개방으로 인해 여러모로 우리증시와 금융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외국인투자는 자금이 국내에 유출입 되면 금융시장, 주식시장, 그리고 외환 시장에 영향을 주게 된다. 금융시장에서는 통화량 및 시장 금리, 그리고 물가상승에 영향을 주게 되고 주식시장에서는 주식투자수요의 변화를 통해 주가수준 및 주가 변동성 등에 영향을 주게 된다. 한편, 외환시장에서는 외환공급물량을 통해 환율에 영향을 주게 된다.
1. 증시에 미치는 영향
가. 증권시장의 활성화
외국인에 대한 주식시장의 개방은 증시규모의 확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 3년간(99년~2002년 10월)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액은 총 1088억 4300만 달러에서 유출액 877억 8800만 달러를 제외하면 순유입액의 규모는 210억 5500만 달러에 이른다. 이는 주식시장 개방이후 한국증시의 규모가 얼마나 확대되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외국인의 주식투자자금이 증시에 유입됨으로써 증시규모가 확대되고 증권시장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주가상승효과에 크게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외화자금 유출입 현황>
(단위: 백만불, %)
구 분
유 입
(a)
유 출
(b)
순유입
(a-b)
일평균 순유입
유출비중
(b/a)
\'92년계
2,735
662
2,073
7.0
24.2
\'93년계
7,635
1,936
5,699
19.3
25.4
\'94년계
8,596
6,686
1,910
6.5
77.8
\'95년계
10,184
7,754
2,430
8.2
76.1
\'96년계
12,464
7,977
4,487
15.0
64.0
\'97년계
12,631
11,763
868
22.7
93.1
\'98년계
16,480
11,698
4,782
16.0
71.0
\'99년계
41,743
36,247
5,496
18.5
86.8
2000년계
60,150
48,841
11,309
38.2
81.2
2001년계
43,944
36,416
7,528
25.2
82.9
소 계
216,562
169,980
46,582
15.5
78.5
나. 증권시장의 안정성
외국인 투자자의 증가는 직접적으로 주식시장의 수요기반을 확대시킬 뿐만 아니라 투자자를 다양화하여 증권시장의 안정성을 제고 시킬 수 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 중에서 장기투자를 목적으로 하고 있는 투자회사나 기금 등 기관투자자의 비중이 클수록 증시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그러나, 1997년 말 외환위기가 닥치면서 외국인 투자자가 3개월 동안 1조 9천억원이나 순매수 하게 되면서 단기적인 투자 위주의 투자자가 증가하였다. 또한 국제 핫머니가 빈번히 유출입하게 되어 우리 증시를 혼란시키고 주가 불안을 초래하였다. 이처럼 외국인 매매비중이 비교적 적더라도 외국인의 거래상황에 대한 정보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증가하고 있다.
다. 국내주가에의 영향
국내 주식시장 개방 후의 여러 가지 변화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는 주가의 상승을 들 수 있다. 외국인의 직접적인 주식투자 직전인 1991년 말 에 610.9였던 종합주가지수가 1992년 말에는 678.4, 1993년 말에는 866.2, 1994년 말에는 1.027.37을 기록했다. 증시개방 후 3년 만에 무려 68%의 주가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외국투자자금이 유출될 경우에는 주가의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 실제 1997년말에는 IMF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으면서 우리 주식시장 및 금융시장이 매우 불안정해져 외국인 투자자금이 한꺼번에 빠져나가 주가가 폭락하는 사태를 경험했다.
최근 들어 외국인투자자들의 매매상황에 따른 주가 영향력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이는 외국인투자자들의 거래규모가 급격히 증가한 반면, 국내투자자들은 주식 평가손 증가와 자금난 등으로 시장개입 능력이 크게 감소한 것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또한 국내투자자들이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매형태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점도 외국인들의 주가영향력을 증대 시키고 있다.
라. 국내 투자자에의 영향
증시개방 후의 왹구인 투자자들의 투자패턴을 보면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다. 개방 초기인 1992년초에는 기업의 PER(Price-Earning Ratio)에 근거한 내재가치를 기준으로 저평가된 주식을 매입하여 한국증시에 내재가치를 중시하는 투자기법이 소개
독 일
216
557
1.5%
버 진 아 일 랜 드
793
425
1.2%
케 이 만 아 일 랜 드
784
1,334
3.7%
기 타
1,486
2,518
7.0%
총 계
20,073
36,098
100.0%
Ⅳ. 외국인 투자 자본 확대에 따른 영향
지난 수십 년 간, 국제금융투자에 대한 많은 장벽들이 제거되어 왔다. 물론 모든 장벽들이 제거된 것은 아니며, 아직 극소수의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장벽들이 남아있으나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추세에 따라 1992년 증권시장을 외국인투자자들에게 부분적으로 개방하였고 1998년 5월 외국인에 대한 투자한도를 폐지함으로써 완전 경쟁시대에 돌입하게 되었다.
현재 외국인 투자자들의 증시참여는 국내증시에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여 증권시장을 더욱 활성화 시키고 제도와 조직을 국제적인 수준으로 개선시켰다. 또한 외국인들의 국내증권투자는 주식의 수급관계에 구조적인 변화를 가져와 시장규모를 확대시켰으며,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투자기법은 국내투자자들을 고무시켜 국내증시의 선진화를 촉진시켰다. 그러나 국제적으로 자금이 유출입 될 때, 그 자금의 성격이 투자목적이 아닌 단기적 투기의 성격을 띠면 시장거래질서가 교란되거나 주가가 불안정하게 변동되어 증권시장을 교란 시킬수도 있다. 우리나라는 1997년말 찾아온 금융위기로 많은 시련을 겪었으며, 취약해진 국내 경제를 살리기 위해 경제 전반에 걸쳐 많은 개혁을 단행하였다. 이러한 일환으로 98년 2월 ‘외국인 투자촉진법’이 시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국내 증권시장에 대한 외국인투자자들의 영향력은 더욱 증대되었다.
외국인 투자가 과도하게 증가할 경우 국내 증시가 외국인에 의해 움직임으로써 외환 및 금융 위 기간에서 볼수 있듯이 급격한 외국인 매도로 인해 국내 증시가 다시 한번 위기를 맞을수 있다는 개연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긍정적인 것 만은 아니다.
자본시장의 세계화와 금융개방으로 인해 여러모로 우리증시와 금융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외국인투자는 자금이 국내에 유출입 되면 금융시장, 주식시장, 그리고 외환 시장에 영향을 주게 된다. 금융시장에서는 통화량 및 시장 금리, 그리고 물가상승에 영향을 주게 되고 주식시장에서는 주식투자수요의 변화를 통해 주가수준 및 주가 변동성 등에 영향을 주게 된다. 한편, 외환시장에서는 외환공급물량을 통해 환율에 영향을 주게 된다.
1. 증시에 미치는 영향
가. 증권시장의 활성화
외국인에 대한 주식시장의 개방은 증시규모의 확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 3년간(99년~2002년 10월)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액은 총 1088억 4300만 달러에서 유출액 877억 8800만 달러를 제외하면 순유입액의 규모는 210억 5500만 달러에 이른다. 이는 주식시장 개방이후 한국증시의 규모가 얼마나 확대되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외국인의 주식투자자금이 증시에 유입됨으로써 증시규모가 확대되고 증권시장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주가상승효과에 크게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외화자금 유출입 현황>
(단위: 백만불, %)
구 분
유 입
(a)
유 출
(b)
순유입
(a-b)
일평균 순유입
유출비중
(b/a)
\'92년계
2,735
662
2,073
7.0
24.2
\'93년계
7,635
1,936
5,699
19.3
25.4
\'94년계
8,596
6,686
1,910
6.5
77.8
\'95년계
10,184
7,754
2,430
8.2
76.1
\'96년계
12,464
7,977
4,487
15.0
64.0
\'97년계
12,631
11,763
868
22.7
93.1
\'98년계
16,480
11,698
4,782
16.0
71.0
\'99년계
41,743
36,247
5,496
18.5
86.8
2000년계
60,150
48,841
11,309
38.2
81.2
2001년계
43,944
36,416
7,528
25.2
82.9
소 계
216,562
169,980
46,582
15.5
78.5
나. 증권시장의 안정성
외국인 투자자의 증가는 직접적으로 주식시장의 수요기반을 확대시킬 뿐만 아니라 투자자를 다양화하여 증권시장의 안정성을 제고 시킬 수 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 중에서 장기투자를 목적으로 하고 있는 투자회사나 기금 등 기관투자자의 비중이 클수록 증시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그러나, 1997년 말 외환위기가 닥치면서 외국인 투자자가 3개월 동안 1조 9천억원이나 순매수 하게 되면서 단기적인 투자 위주의 투자자가 증가하였다. 또한 국제 핫머니가 빈번히 유출입하게 되어 우리 증시를 혼란시키고 주가 불안을 초래하였다. 이처럼 외국인 매매비중이 비교적 적더라도 외국인의 거래상황에 대한 정보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증가하고 있다.
다. 국내주가에의 영향
국내 주식시장 개방 후의 여러 가지 변화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는 주가의 상승을 들 수 있다. 외국인의 직접적인 주식투자 직전인 1991년 말 에 610.9였던 종합주가지수가 1992년 말에는 678.4, 1993년 말에는 866.2, 1994년 말에는 1.027.37을 기록했다. 증시개방 후 3년 만에 무려 68%의 주가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외국투자자금이 유출될 경우에는 주가의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 실제 1997년말에는 IMF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으면서 우리 주식시장 및 금융시장이 매우 불안정해져 외국인 투자자금이 한꺼번에 빠져나가 주가가 폭락하는 사태를 경험했다.
최근 들어 외국인투자자들의 매매상황에 따른 주가 영향력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이는 외국인투자자들의 거래규모가 급격히 증가한 반면, 국내투자자들은 주식 평가손 증가와 자금난 등으로 시장개입 능력이 크게 감소한 것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또한 국내투자자들이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매형태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점도 외국인들의 주가영향력을 증대 시키고 있다.
라. 국내 투자자에의 영향
증시개방 후의 왹구인 투자자들의 투자패턴을 보면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다. 개방 초기인 1992년초에는 기업의 PER(Price-Earning Ratio)에 근거한 내재가치를 기준으로 저평가된 주식을 매입하여 한국증시에 내재가치를 중시하는 투자기법이 소개
키워드
추천자료
인도네시아 경제 위기의 원인과 영향 및 전망
외국인 투자정책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문제가 한국 증시에 미치는 파급효과
중국 가공무역 현황과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에 대한 연구
외국인 투자자유화와 노동정책에 대한 검토
경제학개론(서브프라임 모기지가 한국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미투자협정]한미투자협정의 추진배경과 특징, 한미투자협정이 노동분야와 환경분야에 미치...
외국인 직접투자
해외 환경규제가 한국 제조업 분야 FDI에 미치는 영향 - 환경민감산업과 비민감산업 비교
[한일투자협정, 한국일본투자협정]한일투자협정(한국일본투자협정)의 배경, 한일투자협정(한...
외국인 직접투자의 현황과 효율적 유치방안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 유치방안,외국인 직접투자,해외직접투자 유치(신용도,자본이동성,기술...
해외직접투자,외국인 직접투자,해외직접투자 유치방안,신용도,자본이동성,투자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