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시 험 목 적
2. 시 험 기 구
3. 시 험 방 법
4. 결과산출방법
5. 시 험 결 과
6. 분석및고찰
1. 시 험 목 적
2. 시 험 기 구
3. 시 험 방 법
4. 결과산출방법
5. 시 험 결 과
6. 분석및고찰
본문내용
% 또는 90%까지 일어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추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계산은 성토의 높이를 결정하거나 공사기간을 정하는 경우에 반드시 필요하다. 흙의 압밀특성을 응용한 프리로딩(preloading)공법, 샌드 드레인(sand drain)공법 또는 페이퍼 드레인(paper drain)공법 등을 적용하여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다.
2. 시 험 기 구
2. 1 압밀시험기
다음과 같은 압밀상자와 재하용장치로 된 것이어야 한다.
2. 1. 1 압밀상자
고정링형 또는 부동링형을 사용한다.
▶ 고정링형 압밀상자 : 다음과 같은 성능의 장치와 기구를 갖추어야 한다.
압밀링 : 시료를 넣는 금속제 링으로서 안지름 60mm ,높이 20mm,두께2.5mm를 원칙으로 한다. 링내면은 연마 가공해야 한다.
가압판 : 시료의 하중을 가하는 판으로서 압밀링의 내면에 따라 원활하게 경사지지 않고 움직이며, 시료에서 나오는 물을 다공판을 통하여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다공판은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밑 판 : 압밀링을 고정하는 장치로서, 시료에서 나오는 물을 다공석판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 다공석판은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수침상자 : 압밀링, 가압판, 밑판을 넣는 용기로서 그 안에 물을 넣어 가압판의 다공석판까지 침수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변형 측정 장치 : 시료의 변형량을 0.01mm의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 부동링형 압밀상자 : 다음과 같은 성능의 장치를 갖춘 것이어야 한다.
압밀링 및 칼라 : 시료를 넣는 포금제 링으로서, 안지름 60mm, 높이 20mm, 두께 2.5mm를 원칙으로 하고, 그 양 끝에는 가압판 및 밑판을 유도하게하며, 이 유도하는 분의 높이는 약 2mm로서 링과 같은 안지름의 칼라를 붙인다. 링 및 칼라의 내면은 연마 가공하여야 한다.
가압판 : 시료의 하중을 가하는 판으로서 압밀링의 내면에 따라 원활하게 경사하지 않고 움직이며, 시료에서 나오는 물을 다공판을 통하여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다공판은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밑판 : 압밀링을 고정하는 장치로서 , 시료에서 나오는 물을 다공석판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 다공석판은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수침상자 : 압밀링, 가압판, 밑판을 넣는 용기로서 그 안에 물을 넣어 가압판의 다공석판까지 침수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변형량 측정 장치 : 시료의 변형량을 0.01mm의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2. 1. 2 재하장치
▶ 공시체에 하중을 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성능의 장치와 기구를 갖추어야 한다.
압밀상자 지지대 : 주변 영향없이 압밀시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안정된 것이어야 한다.
재하장치 : 공시체에 편심이 일어나지 않고 0.05~15kgf/cm2의 압축압력을 가할 수 있는 장치로 안정된 것이어야 한다.
시험추 : 0.05~12.8kgf/cm2의 평균압축압력을 가할 수 있는 크기의 추(0.05, 0.1, 0.2, 0.4, 0.8, 1.6, 3.2, 6.4, 12.8)
2. 1. 3 시료 제조용 기구
트리밍링 KS F2314(흙의 일축압축 시험방식)에 따른다.
줄톱 , 스패츌러
시료칼 및 주걱
비닐 시이트, 젖은 수건
스톱워치 또는 시계
저울 : 감도 0.1gf의 저울이어야 한다.
시료를 밀어넣은 용구
거름종이
증발접시
데시케이터
함수량 측정용 기구
흙입자의 비중 측정기구
3. 시 험 방 법
3. 1 공시체의 조제
공시체는 될 수 있는 대로 흙의 함수량이 변화되지 않도록 습도가 높고 일정한 실내에서 제작한다.(*실험시 인천에서 추출한 공시체로 직접 사용 함.)
3. 1. 1 비교란시료
① 시료 추출기에서 시료를 꺼내어서 압밀링의 안지름 및 높이보다 각각 10mm정도 크게 절단한 후에 이것을 트리머에 올려놓고, 지름이 압밀링의 안지름보다 2~3mm 큰 원판형으로 깍는다. 깍아낸 시료는 함수비 w와 흙입자의 비중 Gs를 측정하기 위하여 별도로 보존한다.
② 압밀링의 무게 W와 높이 Hc 및 안지름 D를 측정한다. 링의 안쪽벽에는 마찰을 없애기 위하여 실리콘그리스 등을 얇게 바른다.
③ 압밀링을 성형한 시료위에 올려놓고 줄톱이나 곧은 날로 그 주변을 깎으면서 조심해서 링을 밀어 넣는다. 이때, 링과 시료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④ 시료를 완정히 밀어 넣은 다음에 줄톱이나 시료칼로 압밀링 위아래면에 나와 있는 부분의 시료를 링의 끝면에 따라 조금씩 잘라낸다.
⑤ 성형이 완료된 (공시체+압밀링)의 무게 Ws를 측정한다. 부동링인 경우에는 무게를 측정한 후 칼라를 붙인다.
⑥ 별도로 보존한 시료로 흙의 함수비 w와 흙입자의 비중 Gs를 구한다.
3. 1. 2 교란시료
① 흐트러진 시료를 비닐 쉬트로 싸서 시험대 위에 놓고 조금씩 굴리면서 손으로 눌러 이긴다. 시료의 일부분은 함수비 w 및 흙입자의 비중 Gs를 측정하기 위하여 보존한다.
② 압밀링의 무게 W와 높이 Hc 및 안지름 D를 측정한다. 링의 안쪽벽에는 마찰을 없애기 위하여 실리콘그리스 등을 얇게 바른다.
③ 다시 이긴 시료를 적당한 크기의 덩어리로 만든 후에 압밀링을 밀어 넣고, 링 위아래면으로 나온 부분을 줄톱이나 시료칼로 링의 끝면을 따라 조금씩 자른다. 이때에 링과 시료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④ 시료를 완전히 밀어 넣은 후에 줄톱이나 시료칼로 압밀링 위아래면에 나와있는 부분을 링의 끝면을 따라 조금씩 잘라낸다.
⑤ 성형이 완료되면 (공시체+링)의 무게 Ws를 측정한다. 부동링인 경우는 무게를 측정한 후 칼라를 붙인다.
⑥ 별도로 보존한 시료로 흙의 함수비 w와 흙 입자의 비중 Gs를 구한다.
3. 2 시험준비
3. 2. 1 압밀상자의 조립
① 가압판과 밑판의 다공석판은 기포를 제거하고 미리 물 속에 수침시켜 두었다가 사용해야 한다.
② 포화된 시료일 때는 압밀상자는 내부에 공기가 남지 않도록 주의하여 조립하며, 필요하다면 수중에서 조립한다. 불포화 시료일 때에는 공기중에서 압밀상자를 조립한다. 이때에 가압판과 밑판의 다공석판은 시료의 함수비에
2. 시 험 기 구
2. 1 압밀시험기
다음과 같은 압밀상자와 재하용장치로 된 것이어야 한다.
2. 1. 1 압밀상자
고정링형 또는 부동링형을 사용한다.
▶ 고정링형 압밀상자 : 다음과 같은 성능의 장치와 기구를 갖추어야 한다.
압밀링 : 시료를 넣는 금속제 링으로서 안지름 60mm ,높이 20mm,두께2.5mm를 원칙으로 한다. 링내면은 연마 가공해야 한다.
가압판 : 시료의 하중을 가하는 판으로서 압밀링의 내면에 따라 원활하게 경사지지 않고 움직이며, 시료에서 나오는 물을 다공판을 통하여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다공판은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밑 판 : 압밀링을 고정하는 장치로서, 시료에서 나오는 물을 다공석판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 다공석판은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수침상자 : 압밀링, 가압판, 밑판을 넣는 용기로서 그 안에 물을 넣어 가압판의 다공석판까지 침수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변형 측정 장치 : 시료의 변형량을 0.01mm의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 부동링형 압밀상자 : 다음과 같은 성능의 장치를 갖춘 것이어야 한다.
압밀링 및 칼라 : 시료를 넣는 포금제 링으로서, 안지름 60mm, 높이 20mm, 두께 2.5mm를 원칙으로 하고, 그 양 끝에는 가압판 및 밑판을 유도하게하며, 이 유도하는 분의 높이는 약 2mm로서 링과 같은 안지름의 칼라를 붙인다. 링 및 칼라의 내면은 연마 가공하여야 한다.
가압판 : 시료의 하중을 가하는 판으로서 압밀링의 내면에 따라 원활하게 경사하지 않고 움직이며, 시료에서 나오는 물을 다공판을 통하여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다공판은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밑판 : 압밀링을 고정하는 장치로서 , 시료에서 나오는 물을 다공석판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 다공석판은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수침상자 : 압밀링, 가압판, 밑판을 넣는 용기로서 그 안에 물을 넣어 가압판의 다공석판까지 침수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변형량 측정 장치 : 시료의 변형량을 0.01mm의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2. 1. 2 재하장치
▶ 공시체에 하중을 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성능의 장치와 기구를 갖추어야 한다.
압밀상자 지지대 : 주변 영향없이 압밀시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안정된 것이어야 한다.
재하장치 : 공시체에 편심이 일어나지 않고 0.05~15kgf/cm2의 압축압력을 가할 수 있는 장치로 안정된 것이어야 한다.
시험추 : 0.05~12.8kgf/cm2의 평균압축압력을 가할 수 있는 크기의 추(0.05, 0.1, 0.2, 0.4, 0.8, 1.6, 3.2, 6.4, 12.8)
2. 1. 3 시료 제조용 기구
트리밍링 KS F2314(흙의 일축압축 시험방식)에 따른다.
줄톱 , 스패츌러
시료칼 및 주걱
비닐 시이트, 젖은 수건
스톱워치 또는 시계
저울 : 감도 0.1gf의 저울이어야 한다.
시료를 밀어넣은 용구
거름종이
증발접시
데시케이터
함수량 측정용 기구
흙입자의 비중 측정기구
3. 시 험 방 법
3. 1 공시체의 조제
공시체는 될 수 있는 대로 흙의 함수량이 변화되지 않도록 습도가 높고 일정한 실내에서 제작한다.(*실험시 인천에서 추출한 공시체로 직접 사용 함.)
3. 1. 1 비교란시료
① 시료 추출기에서 시료를 꺼내어서 압밀링의 안지름 및 높이보다 각각 10mm정도 크게 절단한 후에 이것을 트리머에 올려놓고, 지름이 압밀링의 안지름보다 2~3mm 큰 원판형으로 깍는다. 깍아낸 시료는 함수비 w와 흙입자의 비중 Gs를 측정하기 위하여 별도로 보존한다.
② 압밀링의 무게 W와 높이 Hc 및 안지름 D를 측정한다. 링의 안쪽벽에는 마찰을 없애기 위하여 실리콘그리스 등을 얇게 바른다.
③ 압밀링을 성형한 시료위에 올려놓고 줄톱이나 곧은 날로 그 주변을 깎으면서 조심해서 링을 밀어 넣는다. 이때, 링과 시료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④ 시료를 완정히 밀어 넣은 다음에 줄톱이나 시료칼로 압밀링 위아래면에 나와 있는 부분의 시료를 링의 끝면에 따라 조금씩 잘라낸다.
⑤ 성형이 완료된 (공시체+압밀링)의 무게 Ws를 측정한다. 부동링인 경우에는 무게를 측정한 후 칼라를 붙인다.
⑥ 별도로 보존한 시료로 흙의 함수비 w와 흙입자의 비중 Gs를 구한다.
3. 1. 2 교란시료
① 흐트러진 시료를 비닐 쉬트로 싸서 시험대 위에 놓고 조금씩 굴리면서 손으로 눌러 이긴다. 시료의 일부분은 함수비 w 및 흙입자의 비중 Gs를 측정하기 위하여 보존한다.
② 압밀링의 무게 W와 높이 Hc 및 안지름 D를 측정한다. 링의 안쪽벽에는 마찰을 없애기 위하여 실리콘그리스 등을 얇게 바른다.
③ 다시 이긴 시료를 적당한 크기의 덩어리로 만든 후에 압밀링을 밀어 넣고, 링 위아래면으로 나온 부분을 줄톱이나 시료칼로 링의 끝면을 따라 조금씩 자른다. 이때에 링과 시료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④ 시료를 완전히 밀어 넣은 후에 줄톱이나 시료칼로 압밀링 위아래면에 나와있는 부분을 링의 끝면을 따라 조금씩 잘라낸다.
⑤ 성형이 완료되면 (공시체+링)의 무게 Ws를 측정한다. 부동링인 경우는 무게를 측정한 후 칼라를 붙인다.
⑥ 별도로 보존한 시료로 흙의 함수비 w와 흙 입자의 비중 Gs를 구한다.
3. 2 시험준비
3. 2. 1 압밀상자의 조립
① 가압판과 밑판의 다공석판은 기포를 제거하고 미리 물 속에 수침시켜 두었다가 사용해야 한다.
② 포화된 시료일 때는 압밀상자는 내부에 공기가 남지 않도록 주의하여 조립하며, 필요하다면 수중에서 조립한다. 불포화 시료일 때에는 공기중에서 압밀상자를 조립한다. 이때에 가압판과 밑판의 다공석판은 시료의 함수비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