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장기이식의 윤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과학] 장기이식의 윤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7 장
장기이식의 윤리

1. 들어가는 말 : 사례 분석
2. 장기이식의 분류
3. 동종이식의 윤리
4. 인공장기의 윤리
5. 장기이식과 배분
6. 장기이식과 성경적 세계관
 1) 장기의 상업적 매매 물음
 2) 이종이식은 정당화 가능한가?
 3) 인공장기는 허용 가능한가?
 4) 동종이식과 ‘서로 사랑하라’는 계명

본문내용

요한복음 13:34)고 가르친다. 한마디로 하나님의 성전인 몸에 대한 처분권을 각 개인이 지니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님은 사랑에 대해서만 예외적으로 그 몸의 사용을 허용한다고 보여 진다. 예수 자신이 우리를 사랑하사 십자가에 못 박혀 죽었으며, 스데반 집사도 하나님의 복음을 위하여 순교하였다. (사도행전 7:54∼60).
하지만 동종이식의 경우에도 자아 동일성(self-identity) 물음이 제기된다. 즉, 이종이식과 인공장기 이식과는 달리 동종이식은 인간 본성에 관한 물음을 야기하지는 않지만 장기이식된 존재와 그 이전 존재가 동일한 개별체인가라는 자아 동일성 물음을 야기한다. 인간은 신체와 정신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두 실체가 모종의 상호작용을 한다. 그런데 어떤 사람 A가 수혈을 하고 심장, 신장, 췌장, 안구 등의 여러 신체기관을 다른 사람의 장기로 대체하였다. 그러면 이렇게 장기이식을 받은 A는 그 이전 A와 동일인물인가?
이 물음에 답하자면 한 인간의 개체성을 확정짓는 것이 무엇인가의 물음에 답해야 할 것이다. 영혼이 한 개체성을 결정짓는다는 입장을 받아들이면, 일명 ‘A-영혼’이 A의 개체성을 결정지을 것이다. 그러면 ‘A-영혼’은 어디에 위치하는가? 심장에 아니면 뇌에? 아니면 그 어느 부위에 존재하는가? 성경은 이에 대해 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오히려 한 인간의 신체기관, ‘A-영혼’, 그리고 이 양자의 상호작용 이 삼자에 의해 A의 본질적 구조가 결정되지 않을까? 이런 입장을 받아들이면 동종이식 된 신체기관이 많으면 많을수록 A의 자아 동일성 물음은 그만큼 약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1.15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10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