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Ⅶ. 무가론
1. 무가의 개념
2. 무당과 굿
1) 무당
2) 굿
3. 무가의 특성
4. 무가의 형성과 전개
5. 무가의 갈래
1) 서정무가
2) 서사무가
3) 교술무가
4) 희곡무가
6. 무가의 작시 원리
7. 무가와 다른 문학장르와의 관련성
1. 무가의 개념
2. 무당과 굿
1) 무당
2) 굿
3. 무가의 특성
4. 무가의 형성과 전개
5. 무가의 갈래
1) 서정무가
2) 서사무가
3) 교술무가
4) 희곡무가
6. 무가의 작시 원리
7. 무가와 다른 문학장르와의 관련성
본문내용
이 무가를 습득할 때 사건의 전개를 담당하는 서사단락과 장면묘사를 담당하는 묘사단락을 자기 머리 속에 저장해두었다가 연행 현장에서 한 거리의 무가를 구연할 때 이들 단락 속의 공식구나 주제를 끄집어내어 적절하게 엮어나간다.
* 공식구와 주제
-공식구 : 하나의 주어진 핵심적 생각을 표현하기 위하여 동일한 율격 조건 아래에서 규칙적으로 사용되는 단어군.
-주 제 : 어떤 서사적 줄거리의 연쇄물을 이루어 가는 데 사용되는 핵심적 개념 단위(여러 노래 속에서 반복된 사건들이나 묘사적 대목).
* 작시단위인 공식구와 주제를 많이 기억하고 활용하는 무당일수록 유능한 무당이 된다.
* 공식적 작시단위
-개 념 : 다른 무가 유형의 같은 장면묘사에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단어군.
예) 동해안 별신굿 - 세습무 김복순의 바리데기 거리에서 오귀대왕의 상여를 메고 나가는 상두군의 앞소리와 심청굿 거리에서 곽씨부인 상여를 메고 나가는 상두군의 앞소리는 같다.
(1) 안땀매끼 일곱매끼 겉땀매끼 일곱매끼
이칠은 십사 열네매끼를 꽁꽁 묶어 가꾸
서방상계 대틀위에 덩그렇게 얹어가꾸
스물네명 상두군아 서른네명 생미꾼아
발 맞추어 어서 가자 - 바리데기의 상여소리
(2) 안담매끼도 일곱매끼야 겉담매끼도 일곱매끼야
이칠에 십사 열네매끼를 꽁꽁꽁 묶어 갖고
서방상틀 대틀우에다 덩그렇게 언저갖고
서른님에 상두꾼아 서르님네 유대군아
발 맞추어서 어서 가자. - 심청굿의 상여소리
-많이 구사되는 대목 : 기자치성사설잉태사설사랑가(아기를 어르는 사설)상여소리사설스님치레사설상차리기사설신격치장사설방안치레사설 등.
* 무당이 각 거리의 사설을 구연할 때 같은 것으로 유추할 수 있는 상황이 반복되면 그가 학습하여 저장한 공식적 표현단위를 적절하게 취사하여 재구성한다 → 장면 묘사나 표현에 지방적개인적 차이가 있다.
7. 무가와 다른 문학장르와의 관련성
* 무가는 특수 구비전승물로서 문자에 의한 기록문학의 장르뿐만 아니라 다른 구비전승물의 장르와도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① 무당이 굿에서 수호신의 유래를 동작이나 노래로 또는 말로 풀이하는 내용의 신화[서사무가]가 건국신화의 모체 노릇을 했을 것으로 보는 견해.
② 시조의 경우 무가에서 시조의 기원을 찾는 견해.
⇒ 무가는 상대시대부터 다른 문학 장르와 관련성을 갖고 전승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 근자에 구연되는 서정무가에 고시조민요 등을 많이 차용하고 있고, 서사무가에 고소설판소리설화의 서사구조를 차용하고 있어 무가와 다른 문학장르와의 교섭이 부단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① 이율곡의 고산구곡가에서 한 수를 차용하되 시조 종장의 “잊고 있노라”만을 개변하여 구연 - 고시조와의 관련성
② 무속제의의 오신 과정이나 굿놀이에서 민요가 많이 구연(←무속제의에 참석한 관중들 의식) - 민요와의 관련성
* 서사무가와 다른 구비전승물과의 관련성
① 건국신화와 서사적 구조를 공유하고 있는 무가 : 천지왕본풀이제석본풀이바리공주
② 쫓겨난 셋째딸(내복에 산다형)민담과 심청전의 개안화소로 결구된 무가 : 제주의 삼공본풀이
③ 작제건설화의 모티프를 차용한 것 : 제주의 군농본풀이
④ 동삼설화의 모티프를 차용한 것 : 함남의 안택굿
⑤ 연명설화의 서사구조를 가진 것 : 전라의 장자풀이, 제주의 사만이본풀이
⑥ 꿩과 이시미설화의 모티프를 차용한 것 : 함남의 산천굿
⑦ 형제 투금설화의 모티프를 차용한 것 : 강계의 데석님청배, 함남의 숙영랑앵련낭신가
⑧ 전처자식을 없애고자 한 계모설화의 모티프를 차용한 것 : 평양의 성신굿(금천왕굿), 함남의 살풀이, 고창의 칠성풀이, 제주의 문전본풀이 등.
⑨ 장자못전설이 삽입되어 있는 무가 : 함흥의 셍굿(성인굿), 강계의 성인노리푸념
⑩ 에밀레종전설의 줄거리를 차용한 것 : 강계의 원구님청배
⑪ 연명설화에 형제투금설화가 복합된 무가 : 함남의 혼쉬굿
* 서사무가와 고소설이나 불경의 서사 내용을 차용한 무가
① 월인속보 속의 원앙부인극락왕생연 또는 안락국태자경을 수용한 서사무가 : 제주의 이공본풀이, 강계의 신선세텬님청배, 김해의 악양궁왕자노래
② 고소설 당태종전과 중국 돈황의 천불동에서 나온 당태종입명기(唐太宗入冥記)의 줄거리를 차용한 서사무가 : 제주의 세민황제본풀이
③ 유충렬전의 모티프를 차용한 것 : 함남의 충렬굿
④ 중국 축영대(祝英臺) 설화 또는 양산백전을 차용한 서사무가 : 함남의 문굿(문굿천두질굿)
⑤ 판소리 심청가를 차용한 서사무가 : 동해안별신굿의 심청굿의 사설
⑥ 무가와 춘향가의 교섭
㉠ 무가가 춘향가에 차용된 것 : ‘집사설’‘세간사설’‘주효와 기명사설’‘노정기’‘복색사설’‘보고지고타령’‘명당풀이’ 등
㉡ 춘향가의 가요가 무가에 차용된 것 : ‘춘향자탄가’‘사랑가’‘이별종류사설’‘거 누가 날 찾나’ 등
# 작품해설
<성황반>
- 작자미상 -
東方(동방)애 持國天王(지국천왕)님하
南方(남방)애 廣目天子天王(광목천자천왕)님하
南無西方(남무서방)애 增長天王(증장천왕)님하
北方山(북방산)의 毗沙門天王(비사문천왕)님하
다리러 다로리 로마하
디렁디리 대리러 로마하
도람 다리러 다로링 디러리
다리링 디러리
內外(내외)예 황사목천왕(황사목천왕)님하
현대어 풀이
동쪽의 지국천왕님이시여
남쪽의 증장천왕님이시여
나무 서방의 광목천자천왕님이시여
북방산의 비사문천왕님이시여
다리러 다로리 로마하
디렁디리 대리러 로마하
도람 다리러 다로링 디러리
다리렁 디러리
안팎의 황사목천왕님이시여
나라 또는 고장의 안전과 귀신을 쫓음.
광목천자천왕(廣目天子天王)은 서방의 수호신이며, 증장천왕(增長天王)은 남방의 수호신이다.
<내당(內堂)>
산수청량 소래와
청량애사 두스리
믈어 디새라
다로럼 다리러 도량애사 오시나니
한 남종과 두 남종과 열 세 남종
주서빠라 바회예 나라새라
다로럼 다리러
도량애사 오시나니
다여위실 더드런
다 여위면 니믈 뫼셔 살와지니
성인무상(聖人無上) 대미륵아
다로럼 다리러 도량애사 오시나니
내당이나 내불당(內佛堂)에서 무당들이 굿을 할 때 부르던 무가(巫歌)이다.
<대왕반(大王飯)>
고려시대의 속악곡(俗樂曲)으로 전하는 무가(巫歌).
여덟 서낭신이 성 안에서 그들을 따르는 여인들과 노는 모양을 그린 것으로 다음과 같다.
“팔위서낭[八位城隍] 여
* 공식구와 주제
-공식구 : 하나의 주어진 핵심적 생각을 표현하기 위하여 동일한 율격 조건 아래에서 규칙적으로 사용되는 단어군.
-주 제 : 어떤 서사적 줄거리의 연쇄물을 이루어 가는 데 사용되는 핵심적 개념 단위(여러 노래 속에서 반복된 사건들이나 묘사적 대목).
* 작시단위인 공식구와 주제를 많이 기억하고 활용하는 무당일수록 유능한 무당이 된다.
* 공식적 작시단위
-개 념 : 다른 무가 유형의 같은 장면묘사에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단어군.
예) 동해안 별신굿 - 세습무 김복순의 바리데기 거리에서 오귀대왕의 상여를 메고 나가는 상두군의 앞소리와 심청굿 거리에서 곽씨부인 상여를 메고 나가는 상두군의 앞소리는 같다.
(1) 안땀매끼 일곱매끼 겉땀매끼 일곱매끼
이칠은 십사 열네매끼를 꽁꽁 묶어 가꾸
서방상계 대틀위에 덩그렇게 얹어가꾸
스물네명 상두군아 서른네명 생미꾼아
발 맞추어 어서 가자 - 바리데기의 상여소리
(2) 안담매끼도 일곱매끼야 겉담매끼도 일곱매끼야
이칠에 십사 열네매끼를 꽁꽁꽁 묶어 갖고
서방상틀 대틀우에다 덩그렇게 언저갖고
서른님에 상두꾼아 서르님네 유대군아
발 맞추어서 어서 가자. - 심청굿의 상여소리
-많이 구사되는 대목 : 기자치성사설잉태사설사랑가(아기를 어르는 사설)상여소리사설스님치레사설상차리기사설신격치장사설방안치레사설 등.
* 무당이 각 거리의 사설을 구연할 때 같은 것으로 유추할 수 있는 상황이 반복되면 그가 학습하여 저장한 공식적 표현단위를 적절하게 취사하여 재구성한다 → 장면 묘사나 표현에 지방적개인적 차이가 있다.
7. 무가와 다른 문학장르와의 관련성
* 무가는 특수 구비전승물로서 문자에 의한 기록문학의 장르뿐만 아니라 다른 구비전승물의 장르와도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① 무당이 굿에서 수호신의 유래를 동작이나 노래로 또는 말로 풀이하는 내용의 신화[서사무가]가 건국신화의 모체 노릇을 했을 것으로 보는 견해.
② 시조의 경우 무가에서 시조의 기원을 찾는 견해.
⇒ 무가는 상대시대부터 다른 문학 장르와 관련성을 갖고 전승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 근자에 구연되는 서정무가에 고시조민요 등을 많이 차용하고 있고, 서사무가에 고소설판소리설화의 서사구조를 차용하고 있어 무가와 다른 문학장르와의 교섭이 부단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① 이율곡의 고산구곡가에서 한 수를 차용하되 시조 종장의 “잊고 있노라”만을 개변하여 구연 - 고시조와의 관련성
② 무속제의의 오신 과정이나 굿놀이에서 민요가 많이 구연(←무속제의에 참석한 관중들 의식) - 민요와의 관련성
* 서사무가와 다른 구비전승물과의 관련성
① 건국신화와 서사적 구조를 공유하고 있는 무가 : 천지왕본풀이제석본풀이바리공주
② 쫓겨난 셋째딸(내복에 산다형)민담과 심청전의 개안화소로 결구된 무가 : 제주의 삼공본풀이
③ 작제건설화의 모티프를 차용한 것 : 제주의 군농본풀이
④ 동삼설화의 모티프를 차용한 것 : 함남의 안택굿
⑤ 연명설화의 서사구조를 가진 것 : 전라의 장자풀이, 제주의 사만이본풀이
⑥ 꿩과 이시미설화의 모티프를 차용한 것 : 함남의 산천굿
⑦ 형제 투금설화의 모티프를 차용한 것 : 강계의 데석님청배, 함남의 숙영랑앵련낭신가
⑧ 전처자식을 없애고자 한 계모설화의 모티프를 차용한 것 : 평양의 성신굿(금천왕굿), 함남의 살풀이, 고창의 칠성풀이, 제주의 문전본풀이 등.
⑨ 장자못전설이 삽입되어 있는 무가 : 함흥의 셍굿(성인굿), 강계의 성인노리푸념
⑩ 에밀레종전설의 줄거리를 차용한 것 : 강계의 원구님청배
⑪ 연명설화에 형제투금설화가 복합된 무가 : 함남의 혼쉬굿
* 서사무가와 고소설이나 불경의 서사 내용을 차용한 무가
① 월인속보 속의 원앙부인극락왕생연 또는 안락국태자경을 수용한 서사무가 : 제주의 이공본풀이, 강계의 신선세텬님청배, 김해의 악양궁왕자노래
② 고소설 당태종전과 중국 돈황의 천불동에서 나온 당태종입명기(唐太宗入冥記)의 줄거리를 차용한 서사무가 : 제주의 세민황제본풀이
③ 유충렬전의 모티프를 차용한 것 : 함남의 충렬굿
④ 중국 축영대(祝英臺) 설화 또는 양산백전을 차용한 서사무가 : 함남의 문굿(문굿천두질굿)
⑤ 판소리 심청가를 차용한 서사무가 : 동해안별신굿의 심청굿의 사설
⑥ 무가와 춘향가의 교섭
㉠ 무가가 춘향가에 차용된 것 : ‘집사설’‘세간사설’‘주효와 기명사설’‘노정기’‘복색사설’‘보고지고타령’‘명당풀이’ 등
㉡ 춘향가의 가요가 무가에 차용된 것 : ‘춘향자탄가’‘사랑가’‘이별종류사설’‘거 누가 날 찾나’ 등
# 작품해설
<성황반>
- 작자미상 -
東方(동방)애 持國天王(지국천왕)님하
南方(남방)애 廣目天子天王(광목천자천왕)님하
南無西方(남무서방)애 增長天王(증장천왕)님하
北方山(북방산)의 毗沙門天王(비사문천왕)님하
다리러 다로리 로마하
디렁디리 대리러 로마하
도람 다리러 다로링 디러리
다리링 디러리
內外(내외)예 황사목천왕(황사목천왕)님하
현대어 풀이
동쪽의 지국천왕님이시여
남쪽의 증장천왕님이시여
나무 서방의 광목천자천왕님이시여
북방산의 비사문천왕님이시여
다리러 다로리 로마하
디렁디리 대리러 로마하
도람 다리러 다로링 디러리
다리렁 디러리
안팎의 황사목천왕님이시여
나라 또는 고장의 안전과 귀신을 쫓음.
광목천자천왕(廣目天子天王)은 서방의 수호신이며, 증장천왕(增長天王)은 남방의 수호신이다.
<내당(內堂)>
산수청량 소래와
청량애사 두스리
믈어 디새라
다로럼 다리러 도량애사 오시나니
한 남종과 두 남종과 열 세 남종
주서빠라 바회예 나라새라
다로럼 다리러
도량애사 오시나니
다여위실 더드런
다 여위면 니믈 뫼셔 살와지니
성인무상(聖人無上) 대미륵아
다로럼 다리러 도량애사 오시나니
내당이나 내불당(內佛堂)에서 무당들이 굿을 할 때 부르던 무가(巫歌)이다.
<대왕반(大王飯)>
고려시대의 속악곡(俗樂曲)으로 전하는 무가(巫歌).
여덟 서낭신이 성 안에서 그들을 따르는 여인들과 노는 모양을 그린 것으로 다음과 같다.
“팔위서낭[八位城隍] 여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과 교수 학습 연구안(기준안)과 과정안(전개안)
대중문화 이론의 역사적 전개 분석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특징, 전개과정, 증상과 진...
고려시대 유교와 성리학 교육사상의 전개
지방자치제의 정의, 지방자치의 형태, 지방자치의 제도적 변천과 전개과정, 지방자치의 일반...
55년 체제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본 일본의 정치 변화 과정
생활지도상담의 의미, 생활지도상담의 유형, 생활지도상담의 필요성, 생활지도상담의 전개, ...
[인터넷 시민운동] 인터넷 시민운동의 전개 과정과 특징 및 인터넷 시민운동의 나아갈 방향과...
[갑신정변][갑신정변 의미][갑신정변 원인][갑신정변 전개과정][갑신정변 결과][개화파의 개...
제1공화국(이승만정부)의 역사, 정책전개, 제1공화국(이승만정부) 민족주의, 제주 4 3항쟁(제...
생활주제와 그림책을 하나 선정되며, 선정이유와 함께 보육기관에서 운영될 수 있는 놀이 활...
[지방행정의 경영화] 지방행정경영화의 개념 및 필요성, 대상, 경영화논의의 전개, 지방행정...
세계화의 의의(개념정의)와 배경, 우리나라(한국)에서 세계화의 전개과정, 세계화시대의 국가...
[신교육운동] 신교육운동의 전개 - 레디의 신학교, 섬머힐 학교, 전원학교, 노작학교, 로슈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