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문제 사례조사 - 용산~성북간 국철 및 新복선전철 중앙선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시문제 사례조사 - 용산~성북간 국철 및 新복선전철 중앙선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①조사목적
②조사범위
③조사방법

2. 이론 및 기초개념

3. ⓛ현황 및 실태분석
②문제점

4. 개선방안

5. 결론

본문내용

선으로 하고 있으며, 그만큼 수요도 늘어나기 때문에 10분이내의 배차간격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예산책정문제로 인해 12월 중앙선개통에 맞춘 신규열차투입이 지연되었다. 철도공사는 한시라도 빨리 신규열차를 투입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중앙선의 열차운행 및 승객수요로인한 용산발 청량리행 열차가 앞으로도 존재한다는데, 승객편의를 위해 청량리행열차를 망우역까지 운행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또한 중앙선이 광역전철로써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서울 시계 진입후 환승이 잘 되어야 한다. 하지만 신상봉역이 중앙선개통과 함께 운영하는게 아니기에 광역전철로써의 기능이 줄어들 우려가 있으므로, 7호선과의 환승역인 신상봉역의 조기 개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5. 결론 : 지금까지 용산-성북간 국철과, 올해 12월 말 개통할 예정인 新중앙선(국철+중앙선복선전철)에 관해 조사해 보았다. 국철과 경원선의 개관과 조사목적범위출처 및 평면교차에 관한 이론과 현황 및 실태분석, 문제점 및 개선방안이 내가 조사한 것들이다. 지금까지의 국철은 1호선의 일부로써 존재해 왔지만, 사실은 1호선과 별개로 움직이는 노선이었다. ‘국철’은 ‘국철’이라는 애매한 명칭과 함께 정식 노선 대우를 못 받아온게 사실이다. 2005년 12월, 국철은 청량리-덕소간 중앙선 복선전철과 연계되어 새로운 노선인 ‘중앙선 복선전철’로 개통하게 된다. 이와동시에 중앙선은 지하철 각 노선 및 분당선 등과 같이 동등한 노선으로서의 대우를 받아야 하겠고,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배차간격 문제를 조속히 해결지음이 철도공사의 선결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1.15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10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