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불교의 역사
1. 부처의 생애
1.1 부처의 탄생
1.2 부처의 출가
1.3 부처의 깨달음
1.4 부처의 만년
2. 불교의 체계화
2.1 경전의 성립
2.2 마우리아 왕조
3. 불교의 전래
3.1 인도에서 중국으로
3.2 중국에서 한반도로
3.3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Ⅲ 불교의 근본교리와 사상
1. 불교의 근본교리
1.1 사성제
1.1.1 고성제
1.1.2 집성제
1.1.3 멸성제
1.1.4 도성제
1.2 오온-무아
1.3 삼법인
1.3.1 제행무상인
1.3.2 제법무아인
1.3.3 열반적정인
1.4 일체법
1.4.1 오온
1.4.2 십이처
1.4.3 십팔계
1.5 윤회와 업
1.5.1 윤회
1.5.2 업
1.6 불교의 세계성과 보편성
2. 공사상
2.1 공의 의미
2.2 집착의 공
2.3 언어의 공
2.4 본체의 공
3. 선사상
3.1 출발점
3.2 선불교의 정신과 목적
3.3 선의 수행과 실천
3.3.1 선불교의 실천구조
3.3.2 선 수행의 구조
4. 요가
4.1 기원
4.2 상캬철학과 우파니샤드 사상
4.3 요가 수트라의 수행법
Ⅳ 불교의 상징들
1. 사찰의 상징들
2. 건물
2.1 불전
2.2 보살전
2.3 그 외 건물들
3. 건물 외에 가람을 이루는 것들
3.1 탑
3.2 사물(四物)
Ⅴ 나가는 말
Ⅱ 불교의 역사
1. 부처의 생애
1.1 부처의 탄생
1.2 부처의 출가
1.3 부처의 깨달음
1.4 부처의 만년
2. 불교의 체계화
2.1 경전의 성립
2.2 마우리아 왕조
3. 불교의 전래
3.1 인도에서 중국으로
3.2 중국에서 한반도로
3.3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Ⅲ 불교의 근본교리와 사상
1. 불교의 근본교리
1.1 사성제
1.1.1 고성제
1.1.2 집성제
1.1.3 멸성제
1.1.4 도성제
1.2 오온-무아
1.3 삼법인
1.3.1 제행무상인
1.3.2 제법무아인
1.3.3 열반적정인
1.4 일체법
1.4.1 오온
1.4.2 십이처
1.4.3 십팔계
1.5 윤회와 업
1.5.1 윤회
1.5.2 업
1.6 불교의 세계성과 보편성
2. 공사상
2.1 공의 의미
2.2 집착의 공
2.3 언어의 공
2.4 본체의 공
3. 선사상
3.1 출발점
3.2 선불교의 정신과 목적
3.3 선의 수행과 실천
3.3.1 선불교의 실천구조
3.3.2 선 수행의 구조
4. 요가
4.1 기원
4.2 상캬철학과 우파니샤드 사상
4.3 요가 수트라의 수행법
Ⅳ 불교의 상징들
1. 사찰의 상징들
2. 건물
2.1 불전
2.2 보살전
2.3 그 외 건물들
3. 건물 외에 가람을 이루는 것들
3.1 탑
3.2 사물(四物)
Ⅴ 나가는 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