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오파트라를 보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클레오파트라를 보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클레오파트라”
우리는 종종 ‘미’를 대표하는 여자로 클레오파트라를 거론한다. 내가 가졌던 그녀에 대한 이미지 역시, ‘매력적인 이집트 여왕’이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매혹적인 여성은 자신의 아름다움을 무기로 남성들을 사로잡아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1 cm만 낮았어도 역사가 바뀌었을 것이다”라는 파스칼의 말이 있을 정도로 그녀가 역사에 미친 영향은 컸던 것 같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녀를 단지 요부로서의 이미지만으로 인식하고 있다. 시저와 안토니우스와의 사랑 이야기나, 그녀의 미용에 관한 에피소드들이 너무 유명하기 때문일까? 클레오파트라가 지성과 미모를 겸비한 여왕이었다는 말은 많이 들어왔지만, 솔직히 우리는 그녀의 미모만이 그녀를 왕위에까지 이르게 했다고 생각해왔다. 그녀의 외모에 가려 그녀가 가진 현명함이 제대로 평가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결론적인 이야기를 하자면, 이번 과제를 위해 영화를 보면서 내가 가지고 있던 클레오파트라에 대한 고정적 이미지를 조금이나마 깰 수 있었다는 것이다.
엘리자베스 테일러 주연의 1963년 작 “클레오파트라”는 시저가 클레오파트라와 그의 남동생 톨레미 사이의 왕위 계승권을 둘러싼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이집트에 오면서 시작된다.
클레오파트라는 시저를 유혹해 결국 이집트의 왕좌를 차지하고, 그녀의 미모와 도도함에 반한 시저는 로마에 부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클레오파트라와 결혼식을 올린다. 얼마 뒤 로마로 돌아온 시저는 그를 못마땅하게 생각하던 무리에 의해 암살당하고 만다. 3년 뒤, 시저의 부하였던 안토니우스는 클레오파트라를 만나 사랑에 빠져 결혼하지만, 로마의 실권자인 옥타비안과의 전쟁에서 참패를 하고 만다. 결국, 안토니우스는 자살하고, 이집트와 아들, 사랑하는 사람까지 잃은 클레오파트라도 자결하고 만다.
여기까지가 이영화의 대략적인 줄거리이다. 허구가 아닌 역사적 사실이기 때문에 스토리 자체는 별로 새로울 것이 없었다. 하지만 클레오파트라의 일생을 시저와의 만남부터 시작해 잘 압축해서 보여줬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녀에 관련된 에피소드들을 가능한 배제하면서, 그녀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다. 주연인 엘리자베스 테일러는 오만하지만 눈부시게 아름다운 미모의 클레오파트라의 느낌을 잘 살려냈다는 생각이 든다.
이 영화에서 클레오파트라의 지성은 그녀의 미모에 비해서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고 본다. 영화에서 클레오파트라는 왕권을 차지하려고 시저를 유혹하기 위한 계략을 짜는 등 머리를 잘 쓰기는(?) 하지만, 그녀가 뛰어난 언어능력과 통치능력을 가지고 있음은 잘 보여주지 못했다. 그녀는 무려 7개 국어를 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왕과 달리 민중의 언어인 이집트어를 할 수 있었다고 한다.
클레오파트라는 단지 미모로써 남성들을 유혹했던 여자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다. 물론 그녀가 자신의 미모를 무기로 남자들에게 유혹의 손길을 보냈던 것은 사실이다. 클레오파트라는 군대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대에 살았고, 사실 통치의 모든 업무는 남성에게 맡겨져 있었다. 따라서 그녀는 군의 뒷받침 없는 여성으로서의 정치적 약점을 극복해야만 했을 뿐 아니라, 그 외에도 여성이기 때문에 받는 불리한 편견을 뿌리쳐야 했을 것이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볼 때 그녀의 방법- 미모로 남자를 유혹해 권력을 차지하는 - 에 적극적으로 동의 할 수는 없지만, 이해는 충분히 간다. 남성 중심의 역사에서 클레오파트라의 이름이 오늘날까지 전하는 몇 안 되는 여성의 이름에 끼어있는 것은, 남성을 매혹시키고 그들을 이용할 줄 알았던 그녀 나름대로의 능력도 무시하지 못할 것이다.
이러한 요부의 이미지가 너무 강했기 때문인지 이 영화도 클레오파트라의 그런 이미지를 크게 벗어나지는 못했다. 다른 이야기이긴 하지만, 1917년 데다 베라가 주연한 “클레오파트라”는 클레오파트라가 섹스심벌의 이미지를 갖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역사 속의 한 인물이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허구화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볼 수 있다. 지금 세상을 사는 사람들 어느 누구도 클레오파트라를 본 사람은 없다. 단지 우리의 상상이 그녀의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11.21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21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