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콘크리트의 기본 개념 및 재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재하 조건에 따라 응력-변형률의 곡선 모양이 달라진다. 재하속도가 빠르면 곡선의 피크가 크게 나타난다. 하중이 지속적으로 계속될 때 변형이 계속 진행되는 현상을 크리프라 한다. 크리프는 저강도일수록 크게 일어나며, 온도가 높을수록 습도가 낮을수록 크게 일어난다.
건조수축 : 콘크리트는 습기를 흡수하면 팽창하고 건조해지면 수축한다. 건조수축은 수화하고 남은 물이 증발하면서 발생되는데, 콘크리트 구조물에 초기의 응력을 발생시켜 심할 경우 수축균열을 유발시키므로 초기 양생시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철근
원형철근, 이형철근(마디와 리브가 있음)
이전에는 항복강도가 300MPa 정도의 철근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요즘은 400 MPa 또는 그 이상의 항복강도를 가지는 철근을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휨철근으로 550MPa 이상, 전단철근으로 400MPa 이상되는 철근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철근은 탄성재료이고 탄성계수는 모든 철근이 비슷한 2.0×105MPa정도이며 파단시 변형이 크다. 철근은 피로파괴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피로파괴시 취성적인 파괴를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피로하중을 받게 되는 곳에는 용접이나 구부리기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11.24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28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