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적용범위
3. 급여
4. 심사의 청구(권리구제)
5. 권리의 보호
6. 비용부담
2. 적용범위
3. 급여
4. 심사의 청구(권리구제)
5. 권리의 보호
6. 비용부담
본문내용
그 부족액을 학교에서 부담하게 할 수 있다.
2) 개인부담금
① 개인부담금은 교직원이 그가 임명된 날이 속하는 달부터 퇴직한 날의 전날 또는 사망한 날이 속하는 달까지 이를 부담한다.
② 교직원이 퇴직한 달에 다시 교직원으로 임용되었을 경우에는 재임용후 다시 그 달의 개인부담금을 부담하여야 한다. 다만, 제32조의 규정에 의한 재직기간의 합산을 받은 경우에는 재임용된 달(1일자로 재임용된 경우의 달을 제외한다)의 개인부담금은 이를 부담하지 아니한다.<개정 1977.12.31, 1995.12.29>
③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개인부담금 납부기간이 33년을 초과한 자는 개인부담금을 납부하지 아니한다.
④ 제1항의 개인부담금의 액은 보수월액의 1,000분의 85의 범위 안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 개인부담금
① 개인부담금은 교직원이 그가 임명된 날이 속하는 달부터 퇴직한 날의 전날 또는 사망한 날이 속하는 달까지 이를 부담한다.
② 교직원이 퇴직한 달에 다시 교직원으로 임용되었을 경우에는 재임용후 다시 그 달의 개인부담금을 부담하여야 한다. 다만, 제32조의 규정에 의한 재직기간의 합산을 받은 경우에는 재임용된 달(1일자로 재임용된 경우의 달을 제외한다)의 개인부담금은 이를 부담하지 아니한다.<개정 1977.12.31, 1995.12.29>
③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개인부담금 납부기간이 33년을 초과한 자는 개인부담금을 납부하지 아니한다.
④ 제1항의 개인부담금의 액은 보수월액의 1,000분의 85의 범위 안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추천자료
국민건강보험의문제점
[사회복지]의료사회보장제도 발달과정
사회보장법 [인문과학]
국민건강보험 - 의료보장제도의 구성요소
(공적 연금) 노후 소득에 대한 이해와 공적 연금 분석
국민연금제도 외국의 국민연금제도 우리나라 국민연금 제도의 문제점
[사회과학] 국민연금법 [분석/조사]
국민연금법-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A+) 한국 의료보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소득보장정책(노인소득보장 의의, 사회보험제도, 사적소득보장체계, 공공부조제도, 간접소득...
민간의료보험과 영리병원 -비판적 시각에서.ppt
교육행정 정리자료
[소득보장제도] 직접적 소득보장정책 - 국민연금 산업재해보상보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사...
국민연금법과 국민건강보험법의 주요내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