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불교와 사회제세력의 관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종불교와 사회제세력의 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호족
ⓛ 호족의 등장과 나의 서술방향
② 나말여초의 사회변동과 호족세력의 추이

Ⅱ. 나말여초의 선종불교
① 선종의 성립
② 선종의 성격과 사회적 기반

Ⅲ. 선종불교와 호족의 관계
① 선종과 호족의 융합
② 선종불교와 호족의 관계에 대한 나의 정리

본문내용

그 기반을 세웠던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2) 농민전쟁기의 선종
나말려초의 격동하는 사회조건의 변화에 따라 산문의 사회적 관계도 변화를 맞게
된다. 여기에서는 신라 멸망의 주요한 계기가 된 농민봉기가 일어난 시기(886~900)의 선종에 대해 알아본다.
진성환(887~896년)대의 농민봉기는 정강왕이 즉위한 해(886년)부터 일어나기 시작한 농민봉기에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농민봉기가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던 상황에서 공부(貢賦)를 조달받지 못하자, 국가재정이 고갈된 정부가 조세 납부를 독촉함으로 말미암아, 농민봉기가 전국화한 것이 진성왕 3년(889년)에 폭발한 농민봉기였던 것이다. 전쟁기의 고난에 대해 징효절중(澄曉折中)은 진성왕이 국사로 봉하는 것을 거절하면서 다음과 같이 토로한다.
“세상이 온통 혼탁해졌습니다. 반딧불로 기나긴 밤의 어두움을 걷어낼 수 없고, 아교로 황하의 거센 탁류를 막을 수 없는 것이지요. 보이는 것마다 악의 길이오니, 사실 삶의 행로 자체가 싫어집니다.”
반딧불이나 아교와 같은 시세에 절중(826~900년)이 놓여 있음을 편지를 띄워 답을 한 구절에서 읽게 된다. 농민봉기 이후 901년 궁예가 후고구려를 세워 견훤이 이끄는 후백제와의 한반도 주도권 쟁탈이 시작되기까지, 선사들은 절중과 비슷한 상황에 처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농민봉기 이전에 다양한 신분집단과 균형잡힌 관계를 유지한 선사들이 886년 이후에는 농민군의 약탈과 위협에 시달리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진성왕 2년(888년)에 절중은 영월에서 공주를 거쳐 진례군[금산] 경계를 지나다 농민군에 의해 길이 막힌다. 그 뒤 896년 이전 어느때인가 농민군이 충돌하는 곳이라 하여, 당시까지 머물던 무주 분령군[숭주 안락면] 동림사를 떠나, 배를 타고 당성군[경기 남양]을 거쳐 수진[강화] 은강선원에 머물다 죽음을 맞이한다. 유골과 사리는 그를 상징한 사자산 흥령선원이 이미 891년에 병화(兵化)로 불탔으므로 동림사로 안장한다.
당초 흥령선원에서 남하한 목적은 삶을 정리하고, 전남 화순 쌍봉사에 있는 스승 철감도윤의 탑비에 참례하기 위해서였다. 무주 동림사를 떠날 때는 중국 유학을 꿈꾸나 풍랑으로 좌절된다.
시대상황을 고려한 면이 있다고 보아야 하겠지만, 절중도 지배계급과 밀착한 선사는 아니었다. 헌강왕과 정강왕의 예우는 받았으나 대면한 적은 없었으며, 진성왕의 예우는 거의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와 같이 당시의 비교적 양심 있는 지성에 속하던 절중도, 체제에 대한 농민의 분노가 옥석구분(玉石俱焚)의 상태로 치달은 농민봉기 시기에, 신변의 안전에 위협을 느껴 타의에 의한 유랑을 할 수밖에 없었다.
호족세력과의 관계로 잘 알려진 사굴산문의 경우도 이와 다르지 않았다. 범일의 임종을 지킨 낭원개청과 난공행적은 굴산사에 머무르는 동안 농민군의 침탈을 여러번 받았었다.
이는 900년대 초에 후삼국이 정립하기에 이르러서야 적고적(寂袴賊), 초적(草賊),구적(寇賊), 산융(山戎), 야구(野寇), 구융(寇戎), 초구(草寇) 등으로 불린 농민군의 존재가 해체되거나, 일부 농민군의 지도부가 호족으로 변신하였음을 의미한다.
이때부터 호족과 선사들의 밀착관계가 형성되고, 후삼국 쟁패가 치열한 지역에서는 세력권의 변화에 따라, 연고지의 왕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거나 새로운 변화를 꾀하게 된다. 즉 선종의 관념성이 지닌 현실인식의 한계가 농민 봉기 이후 농민군에게 물리적압박을 받으면서 점차 지배계급에게 의탁하는 변화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Ⅲ. 선종불교와 호족의 관계
① 선종과 호족의 융합
나말여초에 선종이 이처럼 크게 유행하게 된 것은 지방호족에게 환영을 받았기 때문이다. 선종 9산은 대부분 호족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가령 봉림산파는 김해의 호족의 김율희의 후원을 받았고, 사굴산파는 명주의 호족인 왕순식의 후원을 받았으며, 수미산파는 송악의 호족인 왕건과 관계가 깊었다. 또 9산을 처음 연 승려들도 호족 출신인 경우가 많았다. 비록 그 선조가 중앙귀족인 경우라 하더라도, 그들 자신은 이미 낙향하여 호족화한 인문들이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자연히 선종 9산은 모두 그들을 후원하는 유력한 호족의 근거지와 가까운 지방에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선종은 사상적으로도 귀족중심의 교학불교가 가지고 있던 사변적인 교리 논쟁을 비판하면서 깨달음의 직접적인 길을 제시함으로써 매우 강력한 실천 강령을 제시해 주었다. 가령 마조 도일은 “자신의 마음이 곧 부처이므로”자신의 생각을 비춰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11.24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28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