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제4세대 감독과 그 작품
Ⅲ. 제5세대 감독과 그 작품
Ⅳ. 제6세대 감독과 그 작품
Ⅴ. 펑샤오강(馮小剛)의 ‘신년 축하 영화(賀歲片)’
Ⅱ. 제4세대 감독과 그 작품
Ⅲ. 제5세대 감독과 그 작품
Ⅳ. 제6세대 감독과 그 작품
Ⅴ. 펑샤오강(馮小剛)의 ‘신년 축하 영화(賀歲片)’
본문내용
력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문혁’ 후 최초 2년 중의 영화 창작은 그 수와 질에서 여전히 ‘배회상태(徘徊狀態)’에 처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1979년, 사상해방운동(思想解放運動)이 전면적으로 전개되자 영화 창작도 바야흐로 비교적 큰 전기(轉機)를 맞게 되면서, 창신(創新)의 물결을 일으키게 된다. 1980년부터 시작하여 영화 창작은 대발전의 시기로 매우 빠르게 진입하게 되는데, 작품의 제재풍격형식과 표현수법 등이 모두 다양화된 발전 추세를 드러내게 되었다. 중국 영화는 이로부터 전면적으로 회복의 길로 접어들게 되었으며, 아울러 전진의 큰 발걸음을 내딛게 되었다. 1980년부터 1983년까지의 짧은 4년 동안, 중국의 영화 창작은 공전(空前)의 발전을 보게 되는데, 제제형식풍격이 다채로워졌으며, 서로 다른 유파와 풍격이 자유롭게 경쟁을 하게 되었다. 이로부터 영화예술은 마침내 ‘문혁’의 사슬을 돌파하고 발전의 길로 접어들 수 있게 되었으며, 영화작품은 총체적인 예술 수준 상에서 이미 상당히 높은 정도에 이르게 되어 ‘백화제방(百花齊放)’의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중국 영화사(映畵史) 상에 있어 어떠한 시기도 20세기 80년대 전중기처럼 수많은 이론 과제에 대해 광범위하면서도 비교적 깊이 있는 학술성의 자유토론을 진행한 적이 없다. 이는 개혁개방 이후 사회 환경의 상대적인 관용과 자유가 그렇게 만들었으며, 다른 한 방면에서는 영화 창작의 새로운 물결의 추진력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영화 이론계의 활약은 영화 창작의 분발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면서 최후에는 그것과 서로 융합되어 다음 단계인 중국 영화의 황금시대를 맞이하게 하였다.
2. 현실주의로의 회귀
중국 영화는 심후한 현실주의의 전통을 지니고 있다. 20세기 30년대는 현실주의의 시작 시기로, 영화 창작은 적극적으로 현실생활과 접근시켰으며, 중국 인민의 반제(反帝)반봉건(反封建)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비록 어떤 작품들은 관념선행(觀念先行)정치도해(政治圖解)의 현상을 지니고 있었지만, 총체적으로는 생활 진실의 심미적 추구를 따르고 존중하여 현실주의 영화의 첫 번째 시기를 창조할 수 있었다. 20세기 40년대 전후(戰後)의 비판현실주의의 현실에 대한 심도와 비극미(悲劇美)의 심각성은 모두 이전에는 보지 못한 높은 정도에까지 도달하였다. 20세기 560년대에 이르러, 한 방면으로는 현실주의의 우수한 전통이 여전히 전승(傳承)의 관성(慣性)을 지니고 있었으며, 또 다른 방면에서는 오히려 역사적인 원인 때문인데, 이른바 ‘혁명낭만주의(革命浪漫主義)’의 구호 하에서 정치상의 “하늘이 많은 관용을 지니고 있어, 사람에게도 많은 대담성이 있다(天有多大寬, 人有多大膽)”는 부과풍(浮誇風)이 문예계에 만연하게 되자, 그것과 겸하여 영화의 정치적 기능을 무한정으로 이용하게 되었다. 이로부터 중국 영화는 현실주의의 궤도를 벗어나기 시작하였으며 창작은 왜곡을 받게 되는 상태에서 ‘문혁’시기까지 발전하기에 이르렀으니, 그것의 우수한 현실주의 전통은 기본적으로 단절되었다. ‘문혁’이 끝난 후에 개혁개방과 사상해방운동이 전개되자, 영화 본체론(本體論)과 관련된 연구가 심도 있게 진행되었으며, 세계 영화예술가의 “영화의 본성은 물질세계의 복원이며”, 영화는 “지문(指紋)과 같은 진실”이 있어야 한다는 등의 각종 이론이 중국 영화계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다른 한 방면으로는 이탈리아의 신현실주의(新現實主義) 작품으로 대표되는 진실감이 갈수록 강해진 당대(當代) 외국 영화의 우수한 작품의 충격을 받게 되었으며, 또한 영화 기술상의 진보, 실경(實景) 촬영의 보편적인 사용, 빛 사용 관념의 변화 등 여러 가지 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최대한도의 ‘진실’과 ‘사실미’에 대한 추구가 신시기 영화의 주요 특징이 되었다. 이로 인해 현실주의는 그것의 예술 생명을 회복하기 시작하였으며 아울러 새로운 개척과 발전을 하게 되었다.
Ⅱ. 제4세대 감독과 그 작품
1. 제4세대 감독의 성취
회복시기의 현실주의는 제4대 감독의 창작 위주로 전개되었다.
여기서 중국 영화감독의 ‘세대(代)’ 구분에 대해 약간 언급하고 넘어가기로 한다. 현재 중국 영화이론 연구 상에 있어 ‘6세대 감독’이라는 용어는 이미 정론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감독의 생리적인 나이에 의해 세대를 나누어 조합했을 뿐만 아니라, 더욱이 그들의 서로 다른 사회배경과 영화 제작 체제의 변화 중에서 그 영화 언어 방식의 전환, 표현 주체의 교체, 창작 이념의 주요 특징을 기본적인 근거로 삼아 나누었다. 비록 이와 같은 구분은 집체적인 특징을 강조하는 동시에 일정 정도 상에서 개체 창작이 드러내는 풍격수법의 상이점을 말살하는 한계성을 지니고 있으나, 영화사(映畵史)의 단계성, 감독 군체(群體)의 시대성, 감독예술의 일부 공통적인 규율성에 대해 여전히 비교적 강한 실천적 의의를 내포하고 있다.
그 세대 구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 영화의 개척자인 정정츄(鄭正秋)장스촨(張石川) 등이 제1세대 감독으로, 그들은 20세기 230년대의 무성영화(無聲映畵) 시기에 활약하면서, 중국 영화의 추형(雛形)을 만들었다. 제2세대 감독의 대표적 인물은 차이추성(蔡楚生)쑨위(孫瑜)우융강(吳永剛)페이무(費穆)선푸(沈浮) 등인데, 그들은 20세기 340년대의 유성영화(有聲映畵) 시기에 활약하면서 사회사실 풍격을 창조하였다. 제3세대 감독은 정쥔리(鄭君里)셰진(謝晉)수이화(水華)청인(成蔭)추이웨이(崔嵬)링쯔펑(凌子風)왕옌(王炎)리쥔(李俊) 등으로, 20세기 560년대에 가장 활약하였는데, 사회주의현실주의(社會主義現實主義) 영화 창작에 주력하였다. 제4대 감독은 대부분 ‘문혁’ 이전의 베이징영화대학(北京電影學院)〔상하이영화대학(上海電影學院) 및 각 영화제작소가 배양한 학생들도 포함〕을 졸업하였는데, 그들은 장기간 노(老)감독의 조수 역할을 담당하다 ‘사인방’이 무너진 후인 20세기 70년대 말과 80년대 초에 비로소 독립적인 영화 제작의 기회를 가지게 되어 자신들의 예술적 재능을 발휘하게 되었다. 제4대 감독으로 장놘신(張暖)정둥톈(鄭洞天: 현재 베이징영화대학 교수)황
중국 영화사(映畵史) 상에 있어 어떠한 시기도 20세기 80년대 전중기처럼 수많은 이론 과제에 대해 광범위하면서도 비교적 깊이 있는 학술성의 자유토론을 진행한 적이 없다. 이는 개혁개방 이후 사회 환경의 상대적인 관용과 자유가 그렇게 만들었으며, 다른 한 방면에서는 영화 창작의 새로운 물결의 추진력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영화 이론계의 활약은 영화 창작의 분발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면서 최후에는 그것과 서로 융합되어 다음 단계인 중국 영화의 황금시대를 맞이하게 하였다.
2. 현실주의로의 회귀
중국 영화는 심후한 현실주의의 전통을 지니고 있다. 20세기 30년대는 현실주의의 시작 시기로, 영화 창작은 적극적으로 현실생활과 접근시켰으며, 중국 인민의 반제(反帝)반봉건(反封建)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비록 어떤 작품들은 관념선행(觀念先行)정치도해(政治圖解)의 현상을 지니고 있었지만, 총체적으로는 생활 진실의 심미적 추구를 따르고 존중하여 현실주의 영화의 첫 번째 시기를 창조할 수 있었다. 20세기 40년대 전후(戰後)의 비판현실주의의 현실에 대한 심도와 비극미(悲劇美)의 심각성은 모두 이전에는 보지 못한 높은 정도에까지 도달하였다. 20세기 560년대에 이르러, 한 방면으로는 현실주의의 우수한 전통이 여전히 전승(傳承)의 관성(慣性)을 지니고 있었으며, 또 다른 방면에서는 오히려 역사적인 원인 때문인데, 이른바 ‘혁명낭만주의(革命浪漫主義)’의 구호 하에서 정치상의 “하늘이 많은 관용을 지니고 있어, 사람에게도 많은 대담성이 있다(天有多大寬, 人有多大膽)”는 부과풍(浮誇風)이 문예계에 만연하게 되자, 그것과 겸하여 영화의 정치적 기능을 무한정으로 이용하게 되었다. 이로부터 중국 영화는 현실주의의 궤도를 벗어나기 시작하였으며 창작은 왜곡을 받게 되는 상태에서 ‘문혁’시기까지 발전하기에 이르렀으니, 그것의 우수한 현실주의 전통은 기본적으로 단절되었다. ‘문혁’이 끝난 후에 개혁개방과 사상해방운동이 전개되자, 영화 본체론(本體論)과 관련된 연구가 심도 있게 진행되었으며, 세계 영화예술가의 “영화의 본성은 물질세계의 복원이며”, 영화는 “지문(指紋)과 같은 진실”이 있어야 한다는 등의 각종 이론이 중국 영화계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다른 한 방면으로는 이탈리아의 신현실주의(新現實主義) 작품으로 대표되는 진실감이 갈수록 강해진 당대(當代) 외국 영화의 우수한 작품의 충격을 받게 되었으며, 또한 영화 기술상의 진보, 실경(實景) 촬영의 보편적인 사용, 빛 사용 관념의 변화 등 여러 가지 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최대한도의 ‘진실’과 ‘사실미’에 대한 추구가 신시기 영화의 주요 특징이 되었다. 이로 인해 현실주의는 그것의 예술 생명을 회복하기 시작하였으며 아울러 새로운 개척과 발전을 하게 되었다.
Ⅱ. 제4세대 감독과 그 작품
1. 제4세대 감독의 성취
회복시기의 현실주의는 제4대 감독의 창작 위주로 전개되었다.
여기서 중국 영화감독의 ‘세대(代)’ 구분에 대해 약간 언급하고 넘어가기로 한다. 현재 중국 영화이론 연구 상에 있어 ‘6세대 감독’이라는 용어는 이미 정론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감독의 생리적인 나이에 의해 세대를 나누어 조합했을 뿐만 아니라, 더욱이 그들의 서로 다른 사회배경과 영화 제작 체제의 변화 중에서 그 영화 언어 방식의 전환, 표현 주체의 교체, 창작 이념의 주요 특징을 기본적인 근거로 삼아 나누었다. 비록 이와 같은 구분은 집체적인 특징을 강조하는 동시에 일정 정도 상에서 개체 창작이 드러내는 풍격수법의 상이점을 말살하는 한계성을 지니고 있으나, 영화사(映畵史)의 단계성, 감독 군체(群體)의 시대성, 감독예술의 일부 공통적인 규율성에 대해 여전히 비교적 강한 실천적 의의를 내포하고 있다.
그 세대 구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 영화의 개척자인 정정츄(鄭正秋)장스촨(張石川) 등이 제1세대 감독으로, 그들은 20세기 230년대의 무성영화(無聲映畵) 시기에 활약하면서, 중국 영화의 추형(雛形)을 만들었다. 제2세대 감독의 대표적 인물은 차이추성(蔡楚生)쑨위(孫瑜)우융강(吳永剛)페이무(費穆)선푸(沈浮) 등인데, 그들은 20세기 340년대의 유성영화(有聲映畵) 시기에 활약하면서 사회사실 풍격을 창조하였다. 제3세대 감독은 정쥔리(鄭君里)셰진(謝晉)수이화(水華)청인(成蔭)추이웨이(崔嵬)링쯔펑(凌子風)왕옌(王炎)리쥔(李俊) 등으로, 20세기 560년대에 가장 활약하였는데, 사회주의현실주의(社會主義現實主義) 영화 창작에 주력하였다. 제4대 감독은 대부분 ‘문혁’ 이전의 베이징영화대학(北京電影學院)〔상하이영화대학(上海電影學院) 및 각 영화제작소가 배양한 학생들도 포함〕을 졸업하였는데, 그들은 장기간 노(老)감독의 조수 역할을 담당하다 ‘사인방’이 무너진 후인 20세기 70년대 말과 80년대 초에 비로소 독립적인 영화 제작의 기회를 가지게 되어 자신들의 예술적 재능을 발휘하게 되었다. 제4대 감독으로 장놘신(張暖)정둥톈(鄭洞天: 현재 베이징영화대학 교수)황
추천자료
항우와 유방으로 알아보는 중국
6세대 소무의 지아장커 - 맨 얼굴의 중국
여성의 시대적 위치변화 (중국vs한국)
북경자전거와 중국도시의 현대화
북경 자전거 감상문과 중국의 시장경제 체제의 문제점
색으로 알아보는 중국 문화
[중국인의 생활 습관] 중국, 중국인, 중국음식을 읽고
중국의 개혁기 정치변동 -전국인민대표대회의 구조와 기능을 중심으로
[경영학] 중국의 정부구매에 대해서
[중국 기업지배구조][중국 기업지배구조 주식][중국 기업지배구조 준칙][중국 기업지배]중국 ...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분류,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오역,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품사, ...
[중국노무관리][중국노무관리 노동법][중국노무관리 노동유관기관][노동조합]중국노무관리의 ...
영상으로보는 중국 '패왕별희' 비평문
아편전쟁 감상문 (감독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 영화를 만든 의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