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통
1) 교통의 개념
2) 교통의 발달
2. 관광과 교통
3. 관광 교통업의 성격
4. 교통의 발달
1) 도로교통
2) 철도교통
3) 수상교통
4) 항공교통
5. 교통발달이 관광에 미치는 영향
6. 한계점과 나아갈 방향
1) 교통의 개념
2) 교통의 발달
2. 관광과 교통
3. 관광 교통업의 성격
4. 교통의 발달
1) 도로교통
2) 철도교통
3) 수상교통
4) 항공교통
5. 교통발달이 관광에 미치는 영향
6. 한계점과 나아갈 방향
본문내용
발달하는 동시에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급속히 늘어나기 시작하여 1970년대에 13만대에 불과하던 것이 1985년에는 100만대를 넘어섰다. 고속도로의 건설과 일반국도의 확충에도 불구하고 급증하는 교통량 때문에 교통체증 현상이 심해지고 이로 인한 물류비용의 증가가 산업 전반에 저해요인으로 등장했다. 우리 나라의 자동차도로는 원래 철도의 보완을 위해 건설되었으나 오늘날 크게 위축되고, 특히 여객의 수송에서 도로가 차지하는 비율은 절대적인 것이 되었다. 1990년대 들어서 교통체증으로 인한 철도의 이용률이 높아지기도 했고 화물수송에서도 도로의 분담률이 높아졌다가 낮아졌다.
-도로교통의 발달이 관광에 미치는 영향
철도는 대량의 인원을 안전하게 수송하지만 가는 곳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정도의 거리는 관광용 전세버스가 관광사업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 또한 버스는 요즈음 국제 관광에서 단체 관광객을 운송하는 주요한 수단으로도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보급으로 자동차 관광이란 새로운 문화적 패턴도 나타나게 되었다. (자동차 야영장, 택시, 고속버스, 렌터카, 시외버스)
2) 철도교통
①해방전의 철도 (1899~1944)
철도가 개통되기 이전 우리 나라에서 지역간 물자의 교류를 담당하였던 것은 조운, 지게, 우마차 등이 고작이었다. 더욱이 봉건체제하에서 경제가 발달하지 못한데다가 도로조차 잘 정비되지 않아 교통수단의 발달은 기대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19세기 후반부터 외국과의 왕래가 잦아지면서 교통기간의 필요성이 재고되기 시작하였다.
▶ 우리 나라 철도의 효시 - 1899년 노량진-제물포간의 경인선 개통
미국인 모스(J.R.Morse)가 부설권을 얻어, 97년 3월 29일 인천 우각현(牛角峴)에서 공사에 착수하였으나 자금부족으로 중단. 그 후 일본인이 경영하는 경인철도회사(京仁鐵道會社)가 부설권을 인수하여 99년 4월부터 다시 공사를 시작, 경인선이 개통되었다. 1900년 7월 5일 한강철교가 준공되자, 같은 해 7월 8일 노량진~서울(당시의 서울역은 서대문으로 현재의 이화여고 자리) 사이가 개통되어 서울~인천이 완전 연결되었다.
▶ 일제에 의한 침략 도구로서의 철도
- 대륙 침략의 발판을 만들기 위해 경부선 건설에 착수, 1905년에 경부선(서울~초량) 개통
- 일제는 군용철도로서 경의선(서울~신의주)과 마산선(마산~삼랑진)을 기공, 각각 1905년 과 1906년에 개통. 1904년에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일제는 병력 및 군수품의 수송을 위 한 군용철도로 기공함
- 경부선과 경의선의 남북종관철도는 1911년에 압록강철교가 완공됨으로써 아시아와 유렵 을 연결하는 국제철도의 일부가 됨
- 경부선, 경의선과 주요 항구를 연결하는 평남선(평양~남포), 호남선(대전~목포), 경원선 (서울~원산) 등을 개설. 이들 철도는 쌀과 공업원료를 일본으로 실어가고, 일본의 공업제 품과 건설자재를 들여오는데 이용
- 1930년에는 광주~여수간 철도, 1931년에는 장항선(천안~장항) 및 수려선(수원~여주)등이 완공
- 만주 침략 후 동해남부선(부산~경주~포항), 전라선(이리~여수), 수인선(수원~인천), 동해북부선(안변~양양), 만포선(순천~만포), 평북선(정주~수풍), 경춘선(서울~춘천), 중앙선 (청량리~경주)등의 철도망 급격히 확충
※ 철도역전에는 역전취락이 발달, 그중 대전, 익산, 의정부, 신의주와 같은 도시 성장
②1945~1961년
이 시기는 남북의 분단, 전쟁, 정치, 경제 혼란등의 어려움 속에서 기구를 정비하고 국가산업 재건계획의 일환으로 철도 건설계획을 수립하였다. 파괴된 철도 시설 복구에 주의를 기울였다.
- 1951년에 우암선을 준공하고 김포선(소사~김포)이 개통됨
- 서울 부산간의 특급 통일호가 운행
③1962~1981
▶ 태백산 지역 석탄 개발을 위한 산업철도 건설
- 1955년 영동선의 영주~철암 구간 개통, 1963년에 지형이 험준한 통리~심포 구간의 철도가 완공됨으로서 하나로 통합( 영동지방과 중부지방이 철도로 이어지게 됨)
- 문경선(점촌~가은)개통
- 태백선(제천~백산)은 1966년에 영월에서 고한까지 철도가 연장된 다음 1977년에 고한~황지간이 개통됨으로써 완성
- 정선선(증산~정선~구절)은 1967년에 증산~정선 구간이 개통, 1974년에 구절리로 연장
▶ 1962년에 시작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은 제3차 산업인 사회 간접부분중 운송능력제고를 비롯하여 산업 철도의 건설과 지역사회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 서울~부산 특급 열차 재건호 운행 6시간10분으로 단축
- 동해안 개발을 위한 동해북부선(옥계~경포대) 개통
- 1964년 영호남 지역의 교통소통을 위한 경전선(진주~순천)개통, 1968년에 광양~진주간 철도가 부설되어 경전선(삼랑진~송정) 완공
- 충북선과 경북선 : 경부선과 중앙선을 횡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철도, 충북선(조치원~충주~봉양)은 1958년에 충주~봉양구간, 경북선(김천~점촌~영주)는 1966년에 점촌~영주 구간이 완공됨으로써 영동선과 이어짐
- 서울과 부산간의 특급 열차 맹호호가 운행(소요시간 5시간45분), 서울 광주간의 특급열차 백마호(6시간10분), 서울 대전간의 특급 열차 청룡호(2시간20분) 등이 운행됨 후에 1969년에 서울~부산간의 특급열차 관광호가 운행되어 4시간 45분으로 운행 시간 단축됨
▶ 남한의 철도망은 1970년에 거의 완성되었다. 철도는 그동안 수송 수단으로 독점적 지위를 누려왔으나 1970년대에 경부, 호남, 영동고속도로의 잇따른 개통으로 경쟁시대를 맞게 되었다.
- 서울~진주~순천~이리~서울(19시간23분), 서울~부산~서울(16시간20분)이 운행됨
- 1971년 서울 대전간의 특급 열차 계룡호, 서울 진주간의 특급 열차 충무호 운행
- 자동차 여객 수송에 밀려 수려선(수원-여수), 진삼선(개양~삼천포), 안성선(천안~안성) 등이 폐지
- 태백산 지역의 개발을 위해 고한선(고한~황지)이 기공되었으며 태백선, 영동선, 중앙선의 전철화 공사 시작. 경인선과 경부선의 서울~수원 구간 등 수도권 철도, 중앙선의 서울~제천 구간과 태백선, 영동선의 철암~북평 구간등이 전철화 됨
- 1974년에 서울 지하
-도로교통의 발달이 관광에 미치는 영향
철도는 대량의 인원을 안전하게 수송하지만 가는 곳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정도의 거리는 관광용 전세버스가 관광사업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 또한 버스는 요즈음 국제 관광에서 단체 관광객을 운송하는 주요한 수단으로도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보급으로 자동차 관광이란 새로운 문화적 패턴도 나타나게 되었다. (자동차 야영장, 택시, 고속버스, 렌터카, 시외버스)
2) 철도교통
①해방전의 철도 (1899~1944)
철도가 개통되기 이전 우리 나라에서 지역간 물자의 교류를 담당하였던 것은 조운, 지게, 우마차 등이 고작이었다. 더욱이 봉건체제하에서 경제가 발달하지 못한데다가 도로조차 잘 정비되지 않아 교통수단의 발달은 기대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19세기 후반부터 외국과의 왕래가 잦아지면서 교통기간의 필요성이 재고되기 시작하였다.
▶ 우리 나라 철도의 효시 - 1899년 노량진-제물포간의 경인선 개통
미국인 모스(J.R.Morse)가 부설권을 얻어, 97년 3월 29일 인천 우각현(牛角峴)에서 공사에 착수하였으나 자금부족으로 중단. 그 후 일본인이 경영하는 경인철도회사(京仁鐵道會社)가 부설권을 인수하여 99년 4월부터 다시 공사를 시작, 경인선이 개통되었다. 1900년 7월 5일 한강철교가 준공되자, 같은 해 7월 8일 노량진~서울(당시의 서울역은 서대문으로 현재의 이화여고 자리) 사이가 개통되어 서울~인천이 완전 연결되었다.
▶ 일제에 의한 침략 도구로서의 철도
- 대륙 침략의 발판을 만들기 위해 경부선 건설에 착수, 1905년에 경부선(서울~초량) 개통
- 일제는 군용철도로서 경의선(서울~신의주)과 마산선(마산~삼랑진)을 기공, 각각 1905년 과 1906년에 개통. 1904년에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일제는 병력 및 군수품의 수송을 위 한 군용철도로 기공함
- 경부선과 경의선의 남북종관철도는 1911년에 압록강철교가 완공됨으로써 아시아와 유렵 을 연결하는 국제철도의 일부가 됨
- 경부선, 경의선과 주요 항구를 연결하는 평남선(평양~남포), 호남선(대전~목포), 경원선 (서울~원산) 등을 개설. 이들 철도는 쌀과 공업원료를 일본으로 실어가고, 일본의 공업제 품과 건설자재를 들여오는데 이용
- 1930년에는 광주~여수간 철도, 1931년에는 장항선(천안~장항) 및 수려선(수원~여주)등이 완공
- 만주 침략 후 동해남부선(부산~경주~포항), 전라선(이리~여수), 수인선(수원~인천), 동해북부선(안변~양양), 만포선(순천~만포), 평북선(정주~수풍), 경춘선(서울~춘천), 중앙선 (청량리~경주)등의 철도망 급격히 확충
※ 철도역전에는 역전취락이 발달, 그중 대전, 익산, 의정부, 신의주와 같은 도시 성장
②1945~1961년
이 시기는 남북의 분단, 전쟁, 정치, 경제 혼란등의 어려움 속에서 기구를 정비하고 국가산업 재건계획의 일환으로 철도 건설계획을 수립하였다. 파괴된 철도 시설 복구에 주의를 기울였다.
- 1951년에 우암선을 준공하고 김포선(소사~김포)이 개통됨
- 서울 부산간의 특급 통일호가 운행
③1962~1981
▶ 태백산 지역 석탄 개발을 위한 산업철도 건설
- 1955년 영동선의 영주~철암 구간 개통, 1963년에 지형이 험준한 통리~심포 구간의 철도가 완공됨으로서 하나로 통합( 영동지방과 중부지방이 철도로 이어지게 됨)
- 문경선(점촌~가은)개통
- 태백선(제천~백산)은 1966년에 영월에서 고한까지 철도가 연장된 다음 1977년에 고한~황지간이 개통됨으로써 완성
- 정선선(증산~정선~구절)은 1967년에 증산~정선 구간이 개통, 1974년에 구절리로 연장
▶ 1962년에 시작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은 제3차 산업인 사회 간접부분중 운송능력제고를 비롯하여 산업 철도의 건설과 지역사회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 서울~부산 특급 열차 재건호 운행 6시간10분으로 단축
- 동해안 개발을 위한 동해북부선(옥계~경포대) 개통
- 1964년 영호남 지역의 교통소통을 위한 경전선(진주~순천)개통, 1968년에 광양~진주간 철도가 부설되어 경전선(삼랑진~송정) 완공
- 충북선과 경북선 : 경부선과 중앙선을 횡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철도, 충북선(조치원~충주~봉양)은 1958년에 충주~봉양구간, 경북선(김천~점촌~영주)는 1966년에 점촌~영주 구간이 완공됨으로써 영동선과 이어짐
- 서울과 부산간의 특급 열차 맹호호가 운행(소요시간 5시간45분), 서울 광주간의 특급열차 백마호(6시간10분), 서울 대전간의 특급 열차 청룡호(2시간20분) 등이 운행됨 후에 1969년에 서울~부산간의 특급열차 관광호가 운행되어 4시간 45분으로 운행 시간 단축됨
▶ 남한의 철도망은 1970년에 거의 완성되었다. 철도는 그동안 수송 수단으로 독점적 지위를 누려왔으나 1970년대에 경부, 호남, 영동고속도로의 잇따른 개통으로 경쟁시대를 맞게 되었다.
- 서울~진주~순천~이리~서울(19시간23분), 서울~부산~서울(16시간20분)이 운행됨
- 1971년 서울 대전간의 특급 열차 계룡호, 서울 진주간의 특급 열차 충무호 운행
- 자동차 여객 수송에 밀려 수려선(수원-여수), 진삼선(개양~삼천포), 안성선(천안~안성) 등이 폐지
- 태백산 지역의 개발을 위해 고한선(고한~황지)이 기공되었으며 태백선, 영동선, 중앙선의 전철화 공사 시작. 경인선과 경부선의 서울~수원 구간 등 수도권 철도, 중앙선의 서울~제천 구간과 태백선, 영동선의 철암~북평 구간등이 전철화 됨
- 1974년에 서울 지하
추천자료
북한의 관광산업 현황과 개성의 관광산업
타산업과 관광산업간의 연계방안
관광산업 성공사례 연구 - 애틀랜타의 관광산업
[관광]북한의 관광산업
[관광학개론]우리나라 관광산업의 문제점과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
[투자][문화][관광][환경][산재예방][교육][문화산업 투자][관광산업 투자][환경산업 투자][...
관광산업 - 일본인의 한국 관광현황 분석
해양관광(해양관광산업)의 정의와 당위성, 해양관광개발(해양관광산업개발)정책의 동향, 해양...
미국의 관광정책 분석과 관광산업 발전 방향
한국관광 현 상태, 문제점 - 뉴미디어의 확산으로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관광산업
[산업구조, 한국, 고부가가치, 전력, 가스, 철도, 방송, 관광]한국산업구조, 고부가가치산업...
[한국의 관광입지와 관광산업] 우리나라의 관광입지조건과 관광산업 (한국의 관광입지조건, ...
[관광사업][관광산업][관광][사업][산업][관광사업 정의][관광사업 유형][제3섹터]관광사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