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의 발달단계 중 아동 . 청소년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에릭슨의 발달단계 중 아동 . 청소년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Erikson의 발달단계 중 “아동 ․ 청소년기”

2. Erikson이론의 실제적 적용

3. 결론

본문내용

터 아동기의 학교에서의 성취들 그리고 청년기에 새로 이루는 성취들에 이르기까지 이 모두가 자아정체감 발달에 기여하게 된다. 왜냐하면 사람은 자기 자신을 \'이러 이러한 일들을 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인식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취들이 그 문화에서 중요성을 가지는 것이면, 그것은 개인의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정체감의 일부가 된다. 그러나 실제로 어떤 성취가 이루어지지 않던가, 성취를 위한 지속적인 참여를 할 수 없을 때 청년들은 자신의 능력을 종종 고통스럽게 느끼게 된다. 또한 그들은 가까운 시일 내에 결정하고 성취해야 할 일들이 많기는 하지만 어떤 결정을 너무 서둘러 내리면 그것이 어쩌면 미래의 다른 가능성을 줄인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참여와 성취가 너무 어렵기 때문에 그들은 스스로를 찾기 위한 시간을 벌기 위해 일종의 \'타임 아웃\'기간으로서의 심리적 유예기간을 갖는다. 예를 들어 어떤 청년들은 관여의 최종 결정을 내리기 전에 휴학을 하기도 하고 여행이나 산사(山寺)에 틀어박히기도 한다. 이러한 유예기간 동안 관여의 대상이 너무 많고 실험적 시도의 변화가 너무 빈번할 때 청년들은 역할확산(role diffusion)의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만일 끝내 자신의 존재와 자기가 추구해나갈 가치에 대한 확신이 서지 않을 때 또한 심각한 정체감 혼미(identity confusion)에 부딪치게 된다. 그러므로 이 단계의 갈등은 정체감 성취 대 정체감 혼미(identity achievement vs. identity confusion)의 대결인 것이다. 이러한 갈등을 긍정적으로 극복하지 못할 때 청년들의 고뇌는 점점 심화되어가는 불행한 상황이 초래된다. 그래서 Erikson은 이 시기를 가리켜 정체감 위기(identity crisis)라고 했다. 이와 같은 정체감 위기에 처하게 되면, 청년들은 자기탐색 과정에서 정착할 바를 못찾고 마냥 표류할 수도 있다. 이때 밀어 닥치는 무실체감(non-entity)은 매우 고통스럽다. 그래서 어떤 청년들은 그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생리적 기제에서 그만 끼어들기 쉬운 비행집단에 발을 들여 놓기도 한다. 이렇게 되면 비행집단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부정적인 정체감(negative identity)을 형성해 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의미에서 청년기는 자아정체감 정립의 결정적 시기인 것이다. 그러나 이 말은 자아정체감 정립이라고 하는 발달과업이 청년기에 끝난다는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1.29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33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