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1. 가나안의 종교
가. 가나안의 문화
나. 우가릿과 가나안의 종교
다. 가나안의 신들
라. 가나안의 신화와 전설들
마. 가나안 예배와 종교적 생활
2. 가나안적 요소들의 흔적
1) 이스라엘이 긍정적으로 수용한 가나안적 요소
2) 이스라엘이 배척한 가나안적 요소
3) 이스라엘이 수정·보안·변경한 가나안적 요소
나오는 말
1. 가나안의 종교
가. 가나안의 문화
나. 우가릿과 가나안의 종교
다. 가나안의 신들
라. 가나안의 신화와 전설들
마. 가나안 예배와 종교적 생활
2. 가나안적 요소들의 흔적
1) 이스라엘이 긍정적으로 수용한 가나안적 요소
2) 이스라엘이 배척한 가나안적 요소
3) 이스라엘이 수정·보안·변경한 가나안적 요소
나오는 말
본문내용
것은 불확실하지만 분명히 이스라엘에게 속한 것은 아니었다. 그것은 계시의 장소로서 그리고 제비뽑기와 신적 결정이 그 안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법궤는 실용적인 도구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지파 동맹(암픽티어니)의 중심체의 표시가 되어 기구와 조직의 집결력을 길러 주었다. 동싱 하나님의 현존 신학을 형식케하였다.
④할레·벌거벗음·기름부음 : 예배 의식에서 할례는 원래 이스라엘의 유일한 의식은 아니다. 그것은 다른 이웃나라들과 공통적인 관습으로 고정된 것이다. 동시에 기 관습은 고대 이스라엘인들이 유목민이었을 대 행했던 초기 관습이었다. 그리고 가나안인들의 종교 의식상의 주술적인 행동이었던 벌거벗는 행동은 이사야에게는 하나님의 전령을 표시하는 행위로 바뀌었다. 기름 부음의 행위도 원래 헷족의 법의 행위였으나 이스라엘인에게서는 야웨가 제사장을 통해 의식적으로 왕을 인가·재가하는 의식행위로 전용되었다. 방석종, “토착요소들과 야웨신앙”, 『신학과 세계』제15호(1987) : 468.
⑤희생제물 : 가나안의 희생 제물의 체계는 대부분 이스라엘 제의에 있어서 채택되었다. 소비를 위한 동물의 도살 이외에는 이스라엘인들은 또한 제물을 태우는 것을 행했는데 그 태워진 제물은 시리아-팔레스틴의 관습이었다. 그것은 이스라엘인들이 팔레스틴에서 알게 되었고 빌렸다. 이러한 면에서 야웨의 제의는 가나안의 의식과 예식의 영향 아래서 끊임없이 정교화 되었다. G. Fohrer, 105-106.
그러나 동시에 제물에 있어서 이스라엘은 독자적인 것을 가나안 정착 이후에도 계속 고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⑥ 축제 : 축제에서 이스라엘인들은 주로 가나안 토착민들의 농경 축제를 그대로 받아들였다. 축제들 가운데 무교절은 출애굽 전통과 결부되었으며 그들으 과거의 역사를 해마다 반복되는 축제 절기에서 회상 재연하였으며 하나님의 구원의 행동을 현재화하였다. 이와 같이 이스라엘인들은 맥추절을 시내 계시 사건·시내 전통에 결부시켰다. 초막절·수장절(장막절)은 광야 생활, 광야 전통에 결합시켰다. 이스라엘인드은 토착적 농경 축제들을 출애굽, 시내사건, 광야전통을 지켜 나가기 위하 화합의 날로 정했으며 역사를 의식하게 하는 하나님의 축제로 제적하였다고 하겠다. 방석종, “토착요소들과 야웨신앙”, 468.
⑦ 춤 : 춤(Dance)은 역시 제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약은 실로에서 축제 때 행해진 소녀의 춤을 기록하는데 그 춤은 가나안 적인 것이다(삿 21:21). 또한 남자들의 포도 수확의 춤(삿9:27), 그리고 법궤가 예루살렘에 들어올 때 행렬의 춤(삼하6:14) 등이 있다. 길르앗의 여자들이 떠나는 봄에 애곡하는 것은 원래 일간의 가나안 축제였는데 그것은 입다의 딸의 희생 이야기에 의해서 정당화되어진다.
⑧기도와 찬송가 : 우가릿 문헌의 어떤 것들은 우리에게 기도와 찬송가의 전형(idea)준다. 필요한 시기에 엘에게 향해진 기도자가 있고, 태양의 여신에 대한 찬송가가 있다. 그리고 68장과 노래들과 함께 제의에서 재인용되었다. 왕상 5:11에 언급된 에단(Ethan), 헤만(Heman), 칼콜(Calcol), 그리고 다르다(Darda)는 아마도 가나안의 노래하는 자들이었다.
⑨음식과 음료의 개념 : 가나안에서 신들을 위한 음식과 음료의 개념이 이스라엘에게 차용됨으로써 들판에서 곡식과 가지에 남은 과일을 긁어모으는 것을 박는 보류하는 관습이 있었다. 또한 제의적 연회에서는 야웨와 그의 예배자의 교제를 강화시키고 갱신하기 위해 드려지는 동물의 제물과 함께 태워진 제물이 있었는데 그것은 예배자에 대한 야웨의 지배를 인정하는 경의의 제물이었다.
2) 이스라엘이 배척한 가나안적 요소
① 풍요제의 : 가나안의 종교는 다산의 제의로서 고대 근동 전체에 만연되었던 성스러운 매춘행위에 익숙해져 있다. 그것은 농업 종교와 그 필요의 관점으로부터 이해되고 신을 강하게 하며 생명력을 유지하는 데 봉사한다. 이스라엘이 가나안의 이런 류의 문화는 결코 화해 할 수 없었다.
② 형상들 : 예배 제단에서 형상들은 이스라엘에게 있어서 우상으로 판단되어 거절당했다. 팔레스틴에서 미카, 구리뱀, 여로보함1세의 황소의 형상등 가나안의 영향에 기인 것으로 이스라엘에서 저항을 일으켰고 억압을 받았는데 그것은 형상들을 가지지 않는 것을 중요한 특징으로 삼는 야웨신앙 때문이었다.
③ 맛제베 : 예배 제단 가운데서 가장 흥미 있는 물건 중의 하나였던 맛제베 역시 이스라엘에게 거절당하였다. 그것은 가나안적인 자연 제단의로서 이 제단은 가나안 신과 관계된 것
④할레·벌거벗음·기름부음 : 예배 의식에서 할례는 원래 이스라엘의 유일한 의식은 아니다. 그것은 다른 이웃나라들과 공통적인 관습으로 고정된 것이다. 동시에 기 관습은 고대 이스라엘인들이 유목민이었을 대 행했던 초기 관습이었다. 그리고 가나안인들의 종교 의식상의 주술적인 행동이었던 벌거벗는 행동은 이사야에게는 하나님의 전령을 표시하는 행위로 바뀌었다. 기름 부음의 행위도 원래 헷족의 법의 행위였으나 이스라엘인에게서는 야웨가 제사장을 통해 의식적으로 왕을 인가·재가하는 의식행위로 전용되었다. 방석종, “토착요소들과 야웨신앙”, 『신학과 세계』제15호(1987) : 468.
⑤희생제물 : 가나안의 희생 제물의 체계는 대부분 이스라엘 제의에 있어서 채택되었다. 소비를 위한 동물의 도살 이외에는 이스라엘인들은 또한 제물을 태우는 것을 행했는데 그 태워진 제물은 시리아-팔레스틴의 관습이었다. 그것은 이스라엘인들이 팔레스틴에서 알게 되었고 빌렸다. 이러한 면에서 야웨의 제의는 가나안의 의식과 예식의 영향 아래서 끊임없이 정교화 되었다. G. Fohrer, 105-106.
그러나 동시에 제물에 있어서 이스라엘은 독자적인 것을 가나안 정착 이후에도 계속 고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⑥ 축제 : 축제에서 이스라엘인들은 주로 가나안 토착민들의 농경 축제를 그대로 받아들였다. 축제들 가운데 무교절은 출애굽 전통과 결부되었으며 그들으 과거의 역사를 해마다 반복되는 축제 절기에서 회상 재연하였으며 하나님의 구원의 행동을 현재화하였다. 이와 같이 이스라엘인들은 맥추절을 시내 계시 사건·시내 전통에 결부시켰다. 초막절·수장절(장막절)은 광야 생활, 광야 전통에 결합시켰다. 이스라엘인드은 토착적 농경 축제들을 출애굽, 시내사건, 광야전통을 지켜 나가기 위하 화합의 날로 정했으며 역사를 의식하게 하는 하나님의 축제로 제적하였다고 하겠다. 방석종, “토착요소들과 야웨신앙”, 468.
⑦ 춤 : 춤(Dance)은 역시 제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약은 실로에서 축제 때 행해진 소녀의 춤을 기록하는데 그 춤은 가나안 적인 것이다(삿 21:21). 또한 남자들의 포도 수확의 춤(삿9:27), 그리고 법궤가 예루살렘에 들어올 때 행렬의 춤(삼하6:14) 등이 있다. 길르앗의 여자들이 떠나는 봄에 애곡하는 것은 원래 일간의 가나안 축제였는데 그것은 입다의 딸의 희생 이야기에 의해서 정당화되어진다.
⑧기도와 찬송가 : 우가릿 문헌의 어떤 것들은 우리에게 기도와 찬송가의 전형(idea)준다. 필요한 시기에 엘에게 향해진 기도자가 있고, 태양의 여신에 대한 찬송가가 있다. 그리고 68장과 노래들과 함께 제의에서 재인용되었다. 왕상 5:11에 언급된 에단(Ethan), 헤만(Heman), 칼콜(Calcol), 그리고 다르다(Darda)는 아마도 가나안의 노래하는 자들이었다.
⑨음식과 음료의 개념 : 가나안에서 신들을 위한 음식과 음료의 개념이 이스라엘에게 차용됨으로써 들판에서 곡식과 가지에 남은 과일을 긁어모으는 것을 박는 보류하는 관습이 있었다. 또한 제의적 연회에서는 야웨와 그의 예배자의 교제를 강화시키고 갱신하기 위해 드려지는 동물의 제물과 함께 태워진 제물이 있었는데 그것은 예배자에 대한 야웨의 지배를 인정하는 경의의 제물이었다.
2) 이스라엘이 배척한 가나안적 요소
① 풍요제의 : 가나안의 종교는 다산의 제의로서 고대 근동 전체에 만연되었던 성스러운 매춘행위에 익숙해져 있다. 그것은 농업 종교와 그 필요의 관점으로부터 이해되고 신을 강하게 하며 생명력을 유지하는 데 봉사한다. 이스라엘이 가나안의 이런 류의 문화는 결코 화해 할 수 없었다.
② 형상들 : 예배 제단에서 형상들은 이스라엘에게 있어서 우상으로 판단되어 거절당했다. 팔레스틴에서 미카, 구리뱀, 여로보함1세의 황소의 형상등 가나안의 영향에 기인 것으로 이스라엘에서 저항을 일으켰고 억압을 받았는데 그것은 형상들을 가지지 않는 것을 중요한 특징으로 삼는 야웨신앙 때문이었다.
③ 맛제베 : 예배 제단 가운데서 가장 흥미 있는 물건 중의 하나였던 맛제베 역시 이스라엘에게 거절당하였다. 그것은 가나안적인 자연 제단의로서 이 제단은 가나안 신과 관계된 것
추천자료
일본종교와 사상
종교개혁교육
일본인은왜종교가없다고말하는가.
[루터][루터의사상][루터의교육사상][루터의신학사상][루터의저술][루터의종교개혁]루터의 사...
[인도][인도 기본 정보][인도 대표 음식][인도 식사 예절][인도 종교][인도 장례문화][인도 ...
[북한][북한의 문화][북한 미술][북한 종교][북한 체육][북한 의료제도][북한 온천과 약수터]...
[과학][과학의 본질][과학의 창조성][과학의 문제점][자연][기술][종교][정의][예술]과학의 ...
[의례][의례 분류][의례 기능][가정의례][통과의례][국가의례][민속의례][종교의례][북한의 ...
[유교][유교의 흐름][유교의 인간관][유교의 종교화][유교의 교화론][유교의 위상][중국 유교...
[유교][유교 내용][유교 위상][유교 연구][협조주의][종교대화][유교 위기]유교의 개념, 유교...
종교인에 대한 과세 논쟁의 본질과 바람직한 과세방안 모색
[세상읽기와논술A] 우리 사회의 가장 심각한 부조리 한 가지를 택해 그 내용과 해결 방안을 ...
[마하트마 간디][마하트마 간디 생애][마하트마 간디 사상][마하트마 간디 종교사상][노벨평...
[신체][몸][신체와 외모지상주의][신체와 반공주의][신체와 혼][신체와 종교][신체와 건강]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