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Frank Lloyd Wright
▣Profile
▣라이트의 건축사고
▣주요 작품
-낙수장(카우프만 주택, 1936)
-유티니 교회(1906년)
-존슨 왁스 회사 (1936년)
-구겐하임 미술관(1943, 1957~1959)
-로비주택(1908년)
-라킨 빌딩
-탈리신 (1911-1925)
-Taliesin West (1937-1938)
Le Corbusier
▣Profile
▣자연의 질서를 건축위에 재구성
▣근대건축의 5원칙
▣건축은 인간의 생활을 담는 기계
▣르 꼬르뷔제의 주거의 4형식
▣주요 작품
-Villa Savoye(사보아 주택)
-Unite D'habitation(유니테 다비타시옹)
-롱샹 교회
-샹디갈 최고재판소 & 의회
-라 투레트 수도원
Walter Gropius
▣Profile
▣주요 작품
Ludwig Mies van der Rohe
▣Profile
▣건축적사고
▣주요 작품
-유리 마천루 계획. 1919
-그라스타워 계획안. 1920-1921
-바르셀로나 파빌리온
-투겐하트 주택. 1930
-스튜트가르트의 바이젠호프 주거 단지.1927
-일리노이드 공과대학.1940
-레이크쇼 드라이브 아파트. 1951
-판스워드 주택 (1950)
-크라운 홀 (1952~1956)
▣Profile
▣라이트의 건축사고
▣주요 작품
-낙수장(카우프만 주택, 1936)
-유티니 교회(1906년)
-존슨 왁스 회사 (1936년)
-구겐하임 미술관(1943, 1957~1959)
-로비주택(1908년)
-라킨 빌딩
-탈리신 (1911-1925)
-Taliesin West (1937-1938)
Le Corbusier
▣Profile
▣자연의 질서를 건축위에 재구성
▣근대건축의 5원칙
▣건축은 인간의 생활을 담는 기계
▣르 꼬르뷔제의 주거의 4형식
▣주요 작품
-Villa Savoye(사보아 주택)
-Unite D'habitation(유니테 다비타시옹)
-롱샹 교회
-샹디갈 최고재판소 & 의회
-라 투레트 수도원
Walter Gropius
▣Profile
▣주요 작품
Ludwig Mies van der Rohe
▣Profile
▣건축적사고
▣주요 작품
-유리 마천루 계획. 1919
-그라스타워 계획안. 1920-1921
-바르셀로나 파빌리온
-투겐하트 주택. 1930
-스튜트가르트의 바이젠호프 주거 단지.1927
-일리노이드 공과대학.1940
-레이크쇼 드라이브 아파트. 1951
-판스워드 주택 (1950)
-크라운 홀 (1952~1956)
본문내용
해지는 도미노시스템을 근거로 근대건축의 5원칙을 완성하게 되었다. 근대건축의 5원칙은 피로티, 옥상정원, 자유로운 평면 구성, 가로의 긴창, 자유로운 파사드로서 19세기 파리의 답답한 석조시가지 주택의 일반적인 개념을 뒤엎는 건축을 구성할 수 있었다. 이 작품은 그가 24세때, 동방여행중에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에서 받은 충격의 장면을 이 사보아 주택에 전하게 되었고, 그것을 백색의 건축으로 표현하게 되었다. 롱샹교회는 스승인 레플라토니와 약속한 \"자연을 기리는 기념비를 만드는 일에 일생의 목적을 바치는 것\"이 구체화된 작품이다. 1955년에 완성된 롱샹교회는 빛의 형상과 비례의 유희를 잘 보여주는 작은 순례을 위한 예배당이다. 이 예배당은 언덕 위에 건물을 얹은 비정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기도하는 손이나 수녀의 머리모자를 연상할 수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 예배당은 성모마리아에 대한 예배와 1년에 두번, 만 이천 명이 이 언덕에 올라 기도를 올리는 순례자를 위한 예배당으로 그리스 신전과 같이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평지위에서 제식이 이루어지는 형식의, 열린 옥외의 장과 티볼리의 고대 로마 동굴과 같은 침묵의 기도를 드리는 내부공간으로 이우어져 있다.
▣건축은 인간의 생활을 담는 기계
그의 작품들은 근대건축에서 새로운 혁명으로 느껴질 수 있는 획기적인 것이다. 그러나 사실 그의 작품은 역사 속에 있는 건축에 자연과 인간이라는 이미지를 불어넣어 사람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공간과 형태를 만든 것으로서 유럽, 아시아, 남미등의 여러 곳에 그의 작품들을 남겼다. 그는 1965년 수영복을 입은 채, 카프 마르탱 오두막집에서 바다를 향해 나아가 밀려오는 파도에 맡긴 후 심장마비에 의해 영원의 길로 돌아갔지만, 그의 건축에 영향을 받은 후대의 많은 건축가들은 현대라는 시간과 공간 속에 꼬르뷔제를 기초로 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건축물을 그 위에 세우고 있다.
▣르 꼬르뷔제의 주거의 4형식
- 제 1형 : 이 형식은 유기적 이유로 인접물의 옆에 나타나는 각 기관의 연결로 된다. 각기 유기적으로 연결된 매스로써 내부공간의 주위를 그저 그대로 벽면으로 덮는 방법인데 여러 가지 돌출부를 취하여 외부에 보인다. 이 원칙은 거대한 구성으로 이끌어지나 만일 감시를 게을리 하면 변화의 과잉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 형의 예로는 라로슈(La Roche)의 집이 있다.
- 제 2형 : 절대로 순수한 피봉속에 기관을 틀어넣는 것을 말한다. 곤란한 과제지만 이것은 아마 정신의 쾌락을 의미한다. 또 과해진 틀 안에서의 정신적 에너지의 소모이다. 이 예로는 가르슈(Garches)의 집이 있다.
- 제 3형 : 외부로 노출된 독립뼈대에 의하여 단순 명쾌하게 마치 아네트모양 투명한 외피를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각 층마다 변화시켜 각 실의 유효한 면적을 그 형태와 수량에 의하여 정할 수 있다. 극히 용이하며 수단이 풍부한 구성, 예로는 슈튜 트가르트(Stuttgart)의 집이 있다.
- 제 4형 : 외부에서는 제 2형의 순수한 형태를 나타내고 내부에서는 제 1형과 제 3형의 특징과 장점이 허용된다. 순수하고 극히 일반적이며 또 수단이 풍부한 형, 예로는 사보아(Savoye)주택이 있다.
▣주요 작품
▶Villa Savoye(사보아 주택)
1928년에서 1931년까지 건설된 Villa savoye는 Le Corbusier의 \"백색 빌라(villas blanches)\" 연작의 마지막 작품이다. Savoye 가족의 주말주택으로 계획된 이 작품은 내부공간에 기능적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외부에는 건축적 의도를 분명하게 나타낸 건물이다. 보험회사의 경영자였던 Pierre Savoye와 그의 부인 Eugenie는 Ville d\'Avray에 구현된 Church 저택을 감상한 후, 그들의 주택 계획을 위해 Le Corbusier et Pierre Jeanneret의 아틀리에를 선택했다. 그들은 1928년에 아틀리에를 찾아갔고, Le Corbusier는 그들을 \"과거나 현재에 대한 선입견이 전혀 없는 고객들\"이라고 묘사했다.
대지는 높은 수림지대로 둘러싸여 둥근 지붕 형태를 하고 있는, 광대한 목장과 과수원으로 형성된 환상적인 농지였다.
필로티 위의 \"상자\" 계획안은 Savoye 부부를 흡족하게 했으나, 견적서 내역은 너무나 높은 수치로 나왔다. Le Corbusier는 그의 원판에 가장 근접한 그의 다섯 번째 계획안을 실현하기 위해 다른 방안을 모색하였다.
빌라의 건설은 1929년 4월에 착수되었다. 12월에 이 거대한 작품은 거의 완성되었고 1931년 7월에는 savoye 부부가 그들의 빌라에 거주할 수 있게 되었다. 방수, 난방의 결함은 1931년에서 1932년에 걸쳐 보수되어야 했다.
사보아주택은 코르뷔제의 근대건축 5원칙인 필로티, 옥상정원, 수평연속창, 자유로운 평면, 자유로운 입면 디자인을 가장 잘 살린 작품이다. 1층은 필로티로 만들고, 주실은 2층에 배치하여 일부는 선데크로 되어 있다. 또 램프와 계단을 타고 3층으로 가면 옥상정원이 있다.
▶Unite D\'habitation(유니테 다비타시옹)
주거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실현한 공동주택이다. 공동시설이 한 건축물 내의 중간층에 있으며, 옥상정원과 함께 다양한 공간 및 외부형태를 잘 조합하고 있다. 그의 유명한 인체를 기준으로 한 척도인 \"모듈러\"를 적용한 건축물이며 근대 건축역사에서 중요한 건축모임인 C.I.A.M의 회의가 개최되기도 했다. 이 아파트의 옥상은 기능을 가진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이 놓여 있는 정원으로 계획되어 있다.
▶롱샹 교회
르코르뷔제의 후반기 작품으로 20세기의 교회건축에 새로운 형태를 보여준 걸작이다.
이 건물의 지붕은 많이 굽어 있으며, 구조적으로는 이중 쉘로 되어 있다. 또한 경사진 두꺼운 벽에 나있는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은 좁은 실내를 다채롭게 하여 어두움을 느끼지 않게 할 뿐 아니라 널찍한 느낌을 준다.
롱샹교회의 5가지 특징은
① 형태의 방향성: 진입방향강조 지붕선
② 포용적인 공간 : 오목한 경사면이 예배실의 벽면을 향함.
③ 대비적인 성격
④ 구조체계 : 삼각형의 수직구조체계에 의해 구성된 육
▣건축은 인간의 생활을 담는 기계
그의 작품들은 근대건축에서 새로운 혁명으로 느껴질 수 있는 획기적인 것이다. 그러나 사실 그의 작품은 역사 속에 있는 건축에 자연과 인간이라는 이미지를 불어넣어 사람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공간과 형태를 만든 것으로서 유럽, 아시아, 남미등의 여러 곳에 그의 작품들을 남겼다. 그는 1965년 수영복을 입은 채, 카프 마르탱 오두막집에서 바다를 향해 나아가 밀려오는 파도에 맡긴 후 심장마비에 의해 영원의 길로 돌아갔지만, 그의 건축에 영향을 받은 후대의 많은 건축가들은 현대라는 시간과 공간 속에 꼬르뷔제를 기초로 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건축물을 그 위에 세우고 있다.
▣르 꼬르뷔제의 주거의 4형식
- 제 1형 : 이 형식은 유기적 이유로 인접물의 옆에 나타나는 각 기관의 연결로 된다. 각기 유기적으로 연결된 매스로써 내부공간의 주위를 그저 그대로 벽면으로 덮는 방법인데 여러 가지 돌출부를 취하여 외부에 보인다. 이 원칙은 거대한 구성으로 이끌어지나 만일 감시를 게을리 하면 변화의 과잉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 형의 예로는 라로슈(La Roche)의 집이 있다.
- 제 2형 : 절대로 순수한 피봉속에 기관을 틀어넣는 것을 말한다. 곤란한 과제지만 이것은 아마 정신의 쾌락을 의미한다. 또 과해진 틀 안에서의 정신적 에너지의 소모이다. 이 예로는 가르슈(Garches)의 집이 있다.
- 제 3형 : 외부로 노출된 독립뼈대에 의하여 단순 명쾌하게 마치 아네트모양 투명한 외피를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각 층마다 변화시켜 각 실의 유효한 면적을 그 형태와 수량에 의하여 정할 수 있다. 극히 용이하며 수단이 풍부한 구성, 예로는 슈튜 트가르트(Stuttgart)의 집이 있다.
- 제 4형 : 외부에서는 제 2형의 순수한 형태를 나타내고 내부에서는 제 1형과 제 3형의 특징과 장점이 허용된다. 순수하고 극히 일반적이며 또 수단이 풍부한 형, 예로는 사보아(Savoye)주택이 있다.
▣주요 작품
▶Villa Savoye(사보아 주택)
1928년에서 1931년까지 건설된 Villa savoye는 Le Corbusier의 \"백색 빌라(villas blanches)\" 연작의 마지막 작품이다. Savoye 가족의 주말주택으로 계획된 이 작품은 내부공간에 기능적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외부에는 건축적 의도를 분명하게 나타낸 건물이다. 보험회사의 경영자였던 Pierre Savoye와 그의 부인 Eugenie는 Ville d\'Avray에 구현된 Church 저택을 감상한 후, 그들의 주택 계획을 위해 Le Corbusier et Pierre Jeanneret의 아틀리에를 선택했다. 그들은 1928년에 아틀리에를 찾아갔고, Le Corbusier는 그들을 \"과거나 현재에 대한 선입견이 전혀 없는 고객들\"이라고 묘사했다.
대지는 높은 수림지대로 둘러싸여 둥근 지붕 형태를 하고 있는, 광대한 목장과 과수원으로 형성된 환상적인 농지였다.
필로티 위의 \"상자\" 계획안은 Savoye 부부를 흡족하게 했으나, 견적서 내역은 너무나 높은 수치로 나왔다. Le Corbusier는 그의 원판에 가장 근접한 그의 다섯 번째 계획안을 실현하기 위해 다른 방안을 모색하였다.
빌라의 건설은 1929년 4월에 착수되었다. 12월에 이 거대한 작품은 거의 완성되었고 1931년 7월에는 savoye 부부가 그들의 빌라에 거주할 수 있게 되었다. 방수, 난방의 결함은 1931년에서 1932년에 걸쳐 보수되어야 했다.
사보아주택은 코르뷔제의 근대건축 5원칙인 필로티, 옥상정원, 수평연속창, 자유로운 평면, 자유로운 입면 디자인을 가장 잘 살린 작품이다. 1층은 필로티로 만들고, 주실은 2층에 배치하여 일부는 선데크로 되어 있다. 또 램프와 계단을 타고 3층으로 가면 옥상정원이 있다.
▶Unite D\'habitation(유니테 다비타시옹)
주거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실현한 공동주택이다. 공동시설이 한 건축물 내의 중간층에 있으며, 옥상정원과 함께 다양한 공간 및 외부형태를 잘 조합하고 있다. 그의 유명한 인체를 기준으로 한 척도인 \"모듈러\"를 적용한 건축물이며 근대 건축역사에서 중요한 건축모임인 C.I.A.M의 회의가 개최되기도 했다. 이 아파트의 옥상은 기능을 가진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이 놓여 있는 정원으로 계획되어 있다.
▶롱샹 교회
르코르뷔제의 후반기 작품으로 20세기의 교회건축에 새로운 형태를 보여준 걸작이다.
이 건물의 지붕은 많이 굽어 있으며, 구조적으로는 이중 쉘로 되어 있다. 또한 경사진 두꺼운 벽에 나있는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은 좁은 실내를 다채롭게 하여 어두움을 느끼지 않게 할 뿐 아니라 널찍한 느낌을 준다.
롱샹교회의 5가지 특징은
① 형태의 방향성: 진입방향강조 지붕선
② 포용적인 공간 : 오목한 경사면이 예배실의 벽면을 향함.
③ 대비적인 성격
④ 구조체계 : 삼각형의 수직구조체계에 의해 구성된 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