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다. 그러나 이러한 낙관적인 시나리오만을 꿈꾸는 것은 마치 앉아서 우리의 운명을 기다리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렇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그저 수수방관한 채 모든 일이 잘 되기만을 기다리고 있을 것인가? 아니면 우리의 운명은 우리 스스로 개척 하겠다는 정신으로 한반도 평화의 당당한 주체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할 것인가? ‘우리는 약소국이고 백성들은 나랏일에 관여하기 힘들다’며 강대국과 정치권의 선의에 우리의 운명을 맡겨야 할 것인가? 아니면 위기를 기회로 삼아 다시는 이러한 위기가 반복되지 않도록 공고한 평화체제를 만들어나가는 주체로서의 역할을 모색해야 할것인가?
오늘날 한반도 위기의 성격은 무엇인지, 한반도의 운명을 가늠할 6자회담과 미국 대선이후의 한반도 정세는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에 대해 나름대로의 분석과 전망을 통한 답을 내놓으려고 시도 할 것이다. 물론 정확한 답은 -무책임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아무도 모른다”이다. 그러나 이는 한편으로 한반도의 운명이 대단히 불확실하지만 아직 결정된 것이 아니기에 우리의 의지와 역량에 따라 그것을 개척해나갈 수 있다는 희망의 근거를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모쪼록 희망의 근거를 길어 올리는게 되기를 바란다.
그렇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그저 수수방관한 채 모든 일이 잘 되기만을 기다리고 있을 것인가? 아니면 우리의 운명은 우리 스스로 개척 하겠다는 정신으로 한반도 평화의 당당한 주체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할 것인가? ‘우리는 약소국이고 백성들은 나랏일에 관여하기 힘들다’며 강대국과 정치권의 선의에 우리의 운명을 맡겨야 할 것인가? 아니면 위기를 기회로 삼아 다시는 이러한 위기가 반복되지 않도록 공고한 평화체제를 만들어나가는 주체로서의 역할을 모색해야 할것인가?
오늘날 한반도 위기의 성격은 무엇인지, 한반도의 운명을 가늠할 6자회담과 미국 대선이후의 한반도 정세는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에 대해 나름대로의 분석과 전망을 통한 답을 내놓으려고 시도 할 것이다. 물론 정확한 답은 -무책임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아무도 모른다”이다. 그러나 이는 한편으로 한반도의 운명이 대단히 불확실하지만 아직 결정된 것이 아니기에 우리의 의지와 역량에 따라 그것을 개척해나갈 수 있다는 희망의 근거를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모쪼록 희망의 근거를 길어 올리는게 되기를 바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