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내장재
1.개 요
2.실내건축재료의 분류
1)제조방식에 의한 분류
2)화학조성에 의한 분류
3)사용목적에 의한 분류
3.실내건축재료 계획
1)계획
2)전개
4.실내 공간의 특성
5.재료 특성
1)목재
2)석재
3)점토 소성제품
4)미장 재료
5)유리
6)핸디코트
6. 내장재 상세 분석
(1)벽장식
1) 벽장식재의 역사
2) 벽지 분류 방법
3) 벽장식재 시공
4) 벽장식바탕제
5) 벽장식재관리
6) 벽장식 신소재
(2)마감재
1)마감재에관해(목재)
2)코르크
3)등나무
4)마
5)직물
6)가죽
7)종이
(3)창문
1)창문장식의 이해
2)커튼
3)직물의 선택
4)창호의 기본(개구부의 기능과 성능)
5)창문 장식(창장식의 개요)
6)문의 여러 가지 스타일
7)개구부의 마무리(창문새시의 구조)
8)창호 철물의 개요
(4)바탕재
1) 바탕재의 역할
2)보드 합판류
3)몰탈 및 블록
4)강제바탕
5)단열재
1.개 요
2.실내건축재료의 분류
1)제조방식에 의한 분류
2)화학조성에 의한 분류
3)사용목적에 의한 분류
3.실내건축재료 계획
1)계획
2)전개
4.실내 공간의 특성
5.재료 특성
1)목재
2)석재
3)점토 소성제품
4)미장 재료
5)유리
6)핸디코트
6. 내장재 상세 분석
(1)벽장식
1) 벽장식재의 역사
2) 벽지 분류 방법
3) 벽장식재 시공
4) 벽장식바탕제
5) 벽장식재관리
6) 벽장식 신소재
(2)마감재
1)마감재에관해(목재)
2)코르크
3)등나무
4)마
5)직물
6)가죽
7)종이
(3)창문
1)창문장식의 이해
2)커튼
3)직물의 선택
4)창호의 기본(개구부의 기능과 성능)
5)창문 장식(창장식의 개요)
6)문의 여러 가지 스타일
7)개구부의 마무리(창문새시의 구조)
8)창호 철물의 개요
(4)바탕재
1) 바탕재의 역할
2)보드 합판류
3)몰탈 및 블록
4)강제바탕
5)단열재
본문내용
내장재
1.개 요
-재료(materials): 실체를 만드는데 필요한 원료
-실내건축재료: 실내 건축물의 실체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총칭
2.실내건축재료의 분류
1)제조방식에 의한 분류
①천연재료: 목재,석재,골재,점토재 등
②인공재료: 콘크리트 및 금속제품, 석유화학제품 등
2)화학조성에 의한 분류
①무기재료
-금속재료:철,알루미늄,아연,합금류 등
-비금속재료:석재,벽돌,시멘트,유리,콘크리트,타일 등
②유기재료
-천연재료:목재,아스팔트,섬유류 등
-합성수지:플라스틱재,도장재,접착제 등
3)사용목적에 의한 분류
①구조재료
내력부(기둥,보,벽체)구성하는 재료->목재,철재,석재,콘크리트
②수장재료
실내외 마감과 장식->타일,도료,유리,금속판,섬유판,석고보드,코르크판,합판
③차단재료
방수,방습,차음,단열 목적->아스팔트,유리섬유,암면
④방화 및 내화재료
연소방지,내화성능->방화셔터, 석면 시멘트판, 규산 칼슘판
3.실내건축재료 계획
1)계획
물리적,역학적,화학적 특성
고려=>사용목적,실의 용도 , 실의 성격,사용자 특성,기호 부합
질감,색채,가공성,시공성,
제성,안전성,보수성
2)전개
-실내계획의 이미지, 조건을 파악
-선택시:시공면적 大→小선택, 바꾸기 어려운 재료 먼저
4.실내 공간의 특성
①공간이 좁은 실내->밝은 색의 재료 사용
②천장이 낮은 공간->세로줄무늬를 사용하여 천장을 높게 보이도록 함
③창이 작거나 어두운 공간->광택, 반사율이 높은 재료 사용
④접촉빈도가 높은 장소->내마모성,표면경도가 높은 재료 사용
⑤내구성,산,알칼리에 약한 재료는 실내에만 사용
5.재료 특성
1)목재
장점: 강도 大, 열전도율 ↓,가공성 우수,외관 아름다움 보온,방한,방가성이 뛰어남,공법 자유로움
단점:가연성 재료,수축과 팽창,병충해,목재조직의 방향성 고려
목재 제품: 판재, 합판, 파티클보드, 집성재, 플로어링, 코르크판
WALNUT 흑호두나무
흑호두나무는 중간 정도의 무게, 경도, 강도, 강성도
충격저항성. 내구력이 강. 쉽게 가공이 되며 도장성과 조색처리가 매우 좋고 광택을 내기 쉬우며 접착성도 좋다.
목재의 뛰어난 목리, 재색 및 무늬로 인하여 아름다운 마감재면을 얻을 수 있다.
용도 - 제재목, 널판, 문, 수납장, 실내장식재 및 마루바닥
MAPLE, SOFT 연단풍나무
모든 연단풍나무들의 목재는 서로 비슷하며 비록 경단풍나무보다 25% 정도 약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같은 용도에 상용되고 동일한 도장성을 가지고 있다.
에나멜 마감과 갈색의 조색처리에 적당하다.
용도 - 제재목, 널판, 가구 및 수납장
OAK, WHITE 백참나무
무겁고 매우 단단하며 강함
심재의 도관구멍으로는 액체가 스며들 지 않기 때문에 새지 않는 통의 제작에 적합하다.
용도 - 건축내장재, 벽널판, 마루바닥, 건구류, 제재목, 소잡이, 상자 및 운송용기
OAK, RED 적참나무
도관이 매우 많고 크다새->새지않는 통의 제조에는 적합하지 않다.
목재는 무겁고 단단하며 변형이 잘 생기지 않고 높은 충격 저항성을 갖고 있다.
건조 중에는 수축이 많이 발생하며 심재의 부후에 대한 저항성은 낮다.
여러가지의 마감색조를 나타내기 위한 조색작업이 용이하다.
용도 - 건축내장재, 벽널판, 가구 마루바닥, 건구류, 상자, 운반용기, 관, 제재목, 손잡이, 팰릿, 농기 구, 선박 및 목재용기
-목재의 가공 제품
1.합판
2.집성목재
3.섬유판
4.파티클 보드(P.B)
5.코르크판
2)석재
장점: 내화·내구적, 외관 장중, 견고함
단점:비중 大, 가공성 나쁨
석재 제품
돌(자연석,석회석,대리석,화강암,석판)콘크리트,석고,벽돌타일(세라믹,도기,자기,모자이크,테라코타),테라초
자연석
<특징>
자연미.탁월한 내구성.내마모성.
★ 천연적 질감연출.
★ 자연스러운 유지관리.
★ 환경친화적.
화강암
장점:석질이 견고,큰판재를 생산할수 있음.
단점:내구성 약함 ,너무 단단하여 조각등에부적당
용도:화강암은 아치, 기둥, 바닥재 및 내
1.개 요
-재료(materials): 실체를 만드는데 필요한 원료
-실내건축재료: 실내 건축물의 실체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총칭
2.실내건축재료의 분류
1)제조방식에 의한 분류
①천연재료: 목재,석재,골재,점토재 등
②인공재료: 콘크리트 및 금속제품, 석유화학제품 등
2)화학조성에 의한 분류
①무기재료
-금속재료:철,알루미늄,아연,합금류 등
-비금속재료:석재,벽돌,시멘트,유리,콘크리트,타일 등
②유기재료
-천연재료:목재,아스팔트,섬유류 등
-합성수지:플라스틱재,도장재,접착제 등
3)사용목적에 의한 분류
①구조재료
내력부(기둥,보,벽체)구성하는 재료->목재,철재,석재,콘크리트
②수장재료
실내외 마감과 장식->타일,도료,유리,금속판,섬유판,석고보드,코르크판,합판
③차단재료
방수,방습,차음,단열 목적->아스팔트,유리섬유,암면
④방화 및 내화재료
연소방지,내화성능->방화셔터, 석면 시멘트판, 규산 칼슘판
3.실내건축재료 계획
1)계획
물리적,역학적,화학적 특성
고려=>사용목적,실의 용도 , 실의 성격,사용자 특성,기호 부합
질감,색채,가공성,시공성,
제성,안전성,보수성
2)전개
-실내계획의 이미지, 조건을 파악
-선택시:시공면적 大→小선택, 바꾸기 어려운 재료 먼저
4.실내 공간의 특성
①공간이 좁은 실내->밝은 색의 재료 사용
②천장이 낮은 공간->세로줄무늬를 사용하여 천장을 높게 보이도록 함
③창이 작거나 어두운 공간->광택, 반사율이 높은 재료 사용
④접촉빈도가 높은 장소->내마모성,표면경도가 높은 재료 사용
⑤내구성,산,알칼리에 약한 재료는 실내에만 사용
5.재료 특성
1)목재
장점: 강도 大, 열전도율 ↓,가공성 우수,외관 아름다움 보온,방한,방가성이 뛰어남,공법 자유로움
단점:가연성 재료,수축과 팽창,병충해,목재조직의 방향성 고려
목재 제품: 판재, 합판, 파티클보드, 집성재, 플로어링, 코르크판
WALNUT 흑호두나무
흑호두나무는 중간 정도의 무게, 경도, 강도, 강성도
충격저항성. 내구력이 강. 쉽게 가공이 되며 도장성과 조색처리가 매우 좋고 광택을 내기 쉬우며 접착성도 좋다.
목재의 뛰어난 목리, 재색 및 무늬로 인하여 아름다운 마감재면을 얻을 수 있다.
용도 - 제재목, 널판, 문, 수납장, 실내장식재 및 마루바닥
MAPLE, SOFT 연단풍나무
모든 연단풍나무들의 목재는 서로 비슷하며 비록 경단풍나무보다 25% 정도 약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같은 용도에 상용되고 동일한 도장성을 가지고 있다.
에나멜 마감과 갈색의 조색처리에 적당하다.
용도 - 제재목, 널판, 가구 및 수납장
OAK, WHITE 백참나무
무겁고 매우 단단하며 강함
심재의 도관구멍으로는 액체가 스며들 지 않기 때문에 새지 않는 통의 제작에 적합하다.
용도 - 건축내장재, 벽널판, 마루바닥, 건구류, 제재목, 소잡이, 상자 및 운송용기
OAK, RED 적참나무
도관이 매우 많고 크다새->새지않는 통의 제조에는 적합하지 않다.
목재는 무겁고 단단하며 변형이 잘 생기지 않고 높은 충격 저항성을 갖고 있다.
건조 중에는 수축이 많이 발생하며 심재의 부후에 대한 저항성은 낮다.
여러가지의 마감색조를 나타내기 위한 조색작업이 용이하다.
용도 - 건축내장재, 벽널판, 가구 마루바닥, 건구류, 상자, 운반용기, 관, 제재목, 손잡이, 팰릿, 농기 구, 선박 및 목재용기
-목재의 가공 제품
1.합판
2.집성목재
3.섬유판
4.파티클 보드(P.B)
5.코르크판
2)석재
장점: 내화·내구적, 외관 장중, 견고함
단점:비중 大, 가공성 나쁨
석재 제품
돌(자연석,석회석,대리석,화강암,석판)콘크리트,석고,벽돌타일(세라믹,도기,자기,모자이크,테라코타),테라초
자연석
<특징>
자연미.탁월한 내구성.내마모성.
★ 천연적 질감연출.
★ 자연스러운 유지관리.
★ 환경친화적.
화강암
장점:석질이 견고,큰판재를 생산할수 있음.
단점:내구성 약함 ,너무 단단하여 조각등에부적당
용도:화강암은 아치, 기둥, 바닥재 및 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