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신교육사회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학]신교육사회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등장배경

2. 사회학이론의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주제
4-1 교과지식
4-2 교사와 학생들의 상호작용(수업과정)

5. 신교육사회학의 의의 및 비판

본문내용

등교육의 종합화(계열구분이 없는 종합학교설립)로써 사회계층과 능력의 차이에 관계없이 모든 아동에게 같은 내용의 교육을 시키려는 정책
1976년 11+exam 철폐
계층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기능주의자들의 학교제도개선은 평등교육으로 이어지지 않음
구조적 개혁의 효력에 의문을 제기하고 교육과정개혁의 필요강조
-노동계층학생들의 학업실패원인을 학교과정(process)에서 찾음
-교육불평등에 대한 전략이 구조적 개혁에만 강조를 두고 학교 내에서의 교사-학생 상호작용, 학교에서 가르치는 지식 등 강조
D. Gorbutt-신교육사회학이라고 명명
신교육사회학의 방향을 제시한 사람은 M.F.D. Young- Knowledge and control(1971)
* 기능이론-지식의 객관성, 중립성
-학교는 사람을 다루는 동시에 지식을 다루는 사회기관
-사회적인 힘을 행사할 수 있는 사회집단은 무슨 지식이 학교에서 다루어져야 하는가를 정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떤 사회집단에 속한 아동에게 어떤 종류의 지식을 분배해야 하는가를 결정하기도 함
-영국에서 교육내용선정의 주요 원천은 과거의 지배적인 문화전통이며, 유일한 선택적 전통임
-어떤 의미의 경험들은 강조되기 위해 선택되나 그 밖의 의미와 경험들은 무시되어 학교지식으로부터 제외됨
-이같은 계속적인 선택과 제외의 반복을 통해 지배적 문화는 유일하게 의미있는 과거로 여겨지고 유일한 전통으로 보호됨
-거꾸로 유일한 전통밖에 있는 삶의 경험들은 교육적 가치가 없는 것으로 여겨져 교육내용으로 포함되지 않음
-이와 같은 유일한 전통의 정통성이 실제로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힘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들의 구체적인 힘의 행사와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점을 밝히려는 것.
무엇이 학교에서 다루어져야 할 지식이며, 누가 어떤 지식을 가르칠만하다고 규정하며, 누구에게 어떤 지식을 어떻게 분배하는가의 문제가 사회학적 검토의 대상으로 등장함으로서 신교육사회학이 전개됨
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는 지식의 사회성(지식과 사회적 힘과의 숨겨진 역학관계), 지식의 위계성, 지식의 권력성을 밝힘.
2. 사회학이론의 배경
□ T. P. Wilson ①규범적 접근(normative approach)-인간의 사회적 행위가 규칙에 의해 지배됨/일정한 상황 속에서 상호행위가 안정되게 이루어질 때 규칙은 개인에게 내면화되어 그 욕구성향을 형성하고 사회체제에 제도화됨으로서 역할기대를 규정하는 형태로 개인의 행위를 지배함
0 기능이론의 역할/맑스주의 사회학의 계급-인간은 사회의 산물(사회실재론)/수동적 인간관
②해석적 접근(interpretive approach)-행위자는 서로의 행동을 의미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그것을 해석 또는 상황정의하면서 상호작용행위를 함
0 신교육사회학 또는 해석적 접근-인간이 사회를 구성(construct)한다(사회명목론)/능동적 인간관(인간은 상징사용/상징성, 주체적인 의사결정/주체성, 의식성 가짐)→자신의 의미와 행위를 구성함
□ Mead/Blumer의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
① 사물이 인간에게 주는 의미에 근거하여 인간은 그 사물에 대해 행동한다
② 그 사물의 의미는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추출, 표출된다(학습되고 개정되고 유지, 정의된다)
③ 의미는 사물을 접한 사람의 해석과정을 통하여 취급되고 수정된다
□ P. Berger와 T. Luckmann의 지식사회학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
외면화 ↗ 사회현실(social reality) ↘ 객관화
주관적 의미 ← 사회구조
(subjective meaning) 내면화 (social structure)
① 사회는 인간의 산물
② 인간의 산물인 사회는 계속해서 그 창조자인 인간에게 작용
③ 인간은 사회의 산물
3. 연구방법
□ 능동적 인간-교사와 학생들이 수업, 학급, 학교라는 사회를 구성한다-인간의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을 분석하고 사회를 구성해가는 상호작용과정을 분석/학교현장의 교사와 학생들이 무엇을 어떻게 왜 가르치고 배우는가를 분석
□ interview/participant observation(참여관찰법)→Ethnography(文化記述誌)
□ 통계적(양적) 연구방법/질적(qualitative) 연구방법
4. 연구주제
4-1 교과지식
이데올로기와 미국 역사교과서
J. Anyon(1979). Ideology and U.S history textbooks. Harvard Educational Review, 49.
1978년에 발간된 17권의 미국 역사 교과서 내용 그 중에서도 특히 남북전쟁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의 경제사와 노동사 내용 분석(1865-1917년)
* 교육과정사회학(sociology of curriculum)
* 연구의 목적은 미국사 교과서 분석을 통해 객관적이라고 주장되고 있는 교과서 내용이 어떤 집단의 이익에 봉사하고 있는 지를 탐구하는 것
-이데올로기는 사회적 실재에 대한 설명과 해석으로서 그것이 비록 외양상으로는 객관성을 띠고 있다 할지라도 특정 정치경제집단의 사회적 우월성을 표현하는 명백히 편파적인 설명과 해석으로 정의됨
-이데올로기는 한 역사적 시기와 관련하여 특정 집단을 지지하는 태도와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사건 해석을 목표로 정보를 선정하고 조직함
-이러한 이데올로기적인 기술과 정의들은 한 개인의 세계관에 영향을 주며 호의적으로 표현된 집단의 권력행사를 용이하게 함
이데올로기적인 내용 선정은 어떤 사실의 제외, 또는 미묘한 구분이나 강조라는 형식을 띠게 됨
1. 경제발전
모든 교과서에서 이 시기에 철도, 통신, 산업의 확장, 새로운 발명, 그리고 값싸고 효율적인 소비재 생산에서의 기업가들의 기여 등의 내용으로 이루어짐
-> 경제집중, 노동자 문제 등은 간략하게 언급되고 해결책도 단지 특정 사회집단의 행위만을 지지하는 것들 뿐임
1) 기업독점과 트러스트를 문제시함-트러스트 반대운동과 법률의 효과를 과대평가함으로써 사실상 지속적인 경제집중을 호도하고 합리화함
-루즈벨트의 트러스트 분쇄법이 법정에서 편협하게 해석되거나 광범위하게 시행되지 못하였다는 언급은 몇 줄 뿐
-> 산업집중-독점, 회사소유, 트러스트- 이 법률에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12.20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66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