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사건의 배경과 의의 및 역사적 재조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주 4.3사건의 배경과 의의 및 역사적 재조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록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이다. 진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말했다간 죽을지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에 침묵했던 그들! 역사 앞에서 치룬 그들의 희생은 안타깝기 그지없다. 또한, 남한의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하여 봉기를 일으킨 제주도민에게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무장봉기를 일으킨 그들의 소원은 통일된 하나의 조국이었다. 그 이후 반세기가 더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통일의 과업은 완수되지 않았다. 그들의 희생 앞에서 분단된 이 현실에 대해 부끄러울 따름이다. 하지만 나는 언젠간 우리 대한민국이 남과 북이 하나 될 그 날! 통일이 올 것이라 믿는다. 그래야 이념 앞에서 무고히 죽은 4.3항쟁 영혼들의 넋을 조금이나마 달랠 수 있지 않을까?
마지막으로 바람이 있다면 현재 4.3사건에 대한 진상규명을 확실히 하여 정확한 사망자 수와 살아남은 할머니, 할아버지들의 명예를 회복시켜주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해서 역사를 바로 잡아 나간다면 우리나라는 조금 더 민주사회로, 시민사회로, 더 나은 대한민국으로 나아갈 수 있지 않나 생각 해 본다.
*참고문헌
조남현 {제주 4.3사건의 쟁점과 진실} (돌담 : 1993)
장두환 {무덤에서 살아나온 4.3‘수형자‘들} (역사비평사 : 2002)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12.13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67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