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이미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국의 이미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누가 ‘지구촌의 맹주’인가?
2.계발과 국제적 이미지
3. “약속된 땅’안의 ‘약속된 땅’이미지들
4.필리핀에서의 미국 텔레비전과 그 영향력
5.타이완과 멕시코의 미국인 고정관념
6.적이 친구가 되다:러시아 매체의 미국 이미지
7.만리장성 너머로 보다:중국에서의 미국 이미지
8.‘고상한 사람은 살 곳이 못 돼’:미국 도시의 매체 이미지

본문내용

1/3이 미국 산이었다. 미국은 남미의 수입 프로그램 중 약 3/4, 서유럽의 수입 프로그램 중 44%,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수입 프로그램 중 33%를 공급하였다.
미국 프로그램이 이렇게 전 세계적으로 확대된 상황에서 많은 외국 시청자들은 미국 문화와 미국인에 대한 유일한 정보원은 텔레비전일 가능성이 높다. 하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오락과 정보는 뒤섞여 나타나고 그에 따른 현실에 대한 우리들의 지식은 종종 허구적 드라마나 선택적인 뉴스의 스토리로부터 배우는데 기초한다.
모간(Morgan)은 1990년에 다양한 사회, 국가, 문화권에서 계발 패러다임이 타당하고 유용하다는 확실한 증거를 제공했다. 텔레비전의 공급확대는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그 범위가 늘어나고 있는데 그 확대의 정도는 산업혁명 전의 종교와 비교될 정도이다. 그와 동시에 ‘제3세계“의 많은 나라들은 자문화의 정체성 고수와 상호의존의 강화라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때때로 미국의 문화(매체 프로그램을 통한) 가 수입국의 문화와 상치되거나 갈등을 일으키게도 한다.
(1)강종근과 모간(Kang&Morgan,1988)의 한국 대학생들의 미국 프로그램 시청이 미국과 미국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여자 대학생 : 미국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한 여자들은 전통적 가치를 덜 존중하고 전통적 중매결혼을 싫어하며, 청바지나 로큰롤 음악을 더 즐기고 유교와 자신은 관계없다고 생각하는 경향
-남자 대학생 : 미국 텔레비전을 더 많이 볼수록, 미국에 대해 더 많은 적개심과 전통 문화의 보호 심리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결과 : 적어도 일부 정치적인 대학생 사이에서 미국 텔레비전은 수입 문화에 대한 거부감을 일으켰고 민족 문화 의식을 고양시키는 역효과 초래
(=>현옥생각 : 1988년도의 한국사회 상황이 반미감정이 고조되어 있던 상황이었는데 그 당시 시대 상황에 따른 어쩔 수 없는 결론은 아닐는지)
(2)반 투베르겐과 보이드(1986) 요르단내의 매체 사용과 미국 이미지 연구
-미국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원의 등급을 매기도록 하는 과정-세 가지 유형의 매체 사용자를 밝힘(==>매체 사용의 다양한 형태를 드러내 줌)
①오로지 대인관계에 의존해 미국과 미국인에 대한 정보형성
②미국 이미지와 인식을 미국과 요르단 대중매체를 통해 형성
③미국 이미지의 형성은 미국인 정보원에만 의존
->교육 정도가 높은 요르단 사람들 사이에서는 미국매체가 미국 이미지를 형성한 반면, 교육 수준이 낮은 요르단인들 사이에서는 대인 정보원이 미국이미지를 형성함
-연구자들의 결론: 한 사회 내에서 미국 매체가 얼마나 지배적이든 간에, 매체 내용의 효과가 중요한 때 사회의 문화적 전통은 그 효과를 완화하는 요소로서 생각되어져야만 한다.
(3)페인과 피크(1997) 아이슬란드에서 미국 문화의 제국주의 가설 연구
-세가지 질문
①미국 텔레비전 시청이 아이슬란드 사람들의 미국 태도에 미치는 영향
②미국 텔레비전 시청이 아이슬란드 사람들에게 미국 정치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가?
③미국 텔레비전 시청이 아이슬란드 사람들에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2.16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76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