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누가 ‘지구촌의 맹주’인가?
2.계발과 국제적 이미지
3. “약속된 땅’안의 ‘약속된 땅’이미지들
4.필리핀에서의 미국 텔레비전과 그 영향력
5.타이완과 멕시코의 미국인 고정관념
6.적이 친구가 되다:러시아 매체의 미국 이미지
7.만리장성 너머로 보다:중국에서의 미국 이미지
8.‘고상한 사람은 살 곳이 못 돼’:미국 도시의 매체 이미지
2.계발과 국제적 이미지
3. “약속된 땅’안의 ‘약속된 땅’이미지들
4.필리핀에서의 미국 텔레비전과 그 영향력
5.타이완과 멕시코의 미국인 고정관념
6.적이 친구가 되다:러시아 매체의 미국 이미지
7.만리장성 너머로 보다:중국에서의 미국 이미지
8.‘고상한 사람은 살 곳이 못 돼’:미국 도시의 매체 이미지
본문내용
1/3이 미국 산이었다. 미국은 남미의 수입 프로그램 중 약 3/4, 서유럽의 수입 프로그램 중 44%,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수입 프로그램 중 33%를 공급하였다.
미국 프로그램이 이렇게 전 세계적으로 확대된 상황에서 많은 외국 시청자들은 미국 문화와 미국인에 대한 유일한 정보원은 텔레비전일 가능성이 높다. 하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오락과 정보는 뒤섞여 나타나고 그에 따른 현실에 대한 우리들의 지식은 종종 허구적 드라마나 선택적인 뉴스의 스토리로부터 배우는데 기초한다.
모간(Morgan)은 1990년에 다양한 사회, 국가, 문화권에서 계발 패러다임이 타당하고 유용하다는 확실한 증거를 제공했다. 텔레비전의 공급확대는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그 범위가 늘어나고 있는데 그 확대의 정도는 산업혁명 전의 종교와 비교될 정도이다. 그와 동시에 ‘제3세계“의 많은 나라들은 자문화의 정체성 고수와 상호의존의 강화라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때때로 미국의 문화(매체 프로그램을 통한) 가 수입국의 문화와 상치되거나 갈등을 일으키게도 한다.
(1)강종근과 모간(Kang&Morgan,1988)의 한국 대학생들의 미국 프로그램 시청이 미국과 미국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여자 대학생 : 미국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한 여자들은 전통적 가치를 덜 존중하고 전통적 중매결혼을 싫어하며, 청바지나 로큰롤 음악을 더 즐기고 유교와 자신은 관계없다고 생각하는 경향
-남자 대학생 : 미국 텔레비전을 더 많이 볼수록, 미국에 대해 더 많은 적개심과 전통 문화의 보호 심리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결과 : 적어도 일부 정치적인 대학생 사이에서 미국 텔레비전은 수입 문화에 대한 거부감을 일으켰고 민족 문화 의식을 고양시키는 역효과 초래
(=>현옥생각 : 1988년도의 한국사회 상황이 반미감정이 고조되어 있던 상황이었는데 그 당시 시대 상황에 따른 어쩔 수 없는 결론은 아닐는지)
(2)반 투베르겐과 보이드(1986) 요르단내의 매체 사용과 미국 이미지 연구
-미국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원의 등급을 매기도록 하는 과정-세 가지 유형의 매체 사용자를 밝힘(==>매체 사용의 다양한 형태를 드러내 줌)
①오로지 대인관계에 의존해 미국과 미국인에 대한 정보형성
②미국 이미지와 인식을 미국과 요르단 대중매체를 통해 형성
③미국 이미지의 형성은 미국인 정보원에만 의존
->교육 정도가 높은 요르단 사람들 사이에서는 미국매체가 미국 이미지를 형성한 반면, 교육 수준이 낮은 요르단인들 사이에서는 대인 정보원이 미국이미지를 형성함
-연구자들의 결론: 한 사회 내에서 미국 매체가 얼마나 지배적이든 간에, 매체 내용의 효과가 중요한 때 사회의 문화적 전통은 그 효과를 완화하는 요소로서 생각되어져야만 한다.
(3)페인과 피크(1997) 아이슬란드에서 미국 문화의 제국주의 가설 연구
-세가지 질문
①미국 텔레비전 시청이 아이슬란드 사람들의 미국 태도에 미치는 영향
②미국 텔레비전 시청이 아이슬란드 사람들에게 미국 정치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가?
③미국 텔레비전 시청이 아이슬란드 사람들에
미국 프로그램이 이렇게 전 세계적으로 확대된 상황에서 많은 외국 시청자들은 미국 문화와 미국인에 대한 유일한 정보원은 텔레비전일 가능성이 높다. 하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오락과 정보는 뒤섞여 나타나고 그에 따른 현실에 대한 우리들의 지식은 종종 허구적 드라마나 선택적인 뉴스의 스토리로부터 배우는데 기초한다.
모간(Morgan)은 1990년에 다양한 사회, 국가, 문화권에서 계발 패러다임이 타당하고 유용하다는 확실한 증거를 제공했다. 텔레비전의 공급확대는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그 범위가 늘어나고 있는데 그 확대의 정도는 산업혁명 전의 종교와 비교될 정도이다. 그와 동시에 ‘제3세계“의 많은 나라들은 자문화의 정체성 고수와 상호의존의 강화라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때때로 미국의 문화(매체 프로그램을 통한) 가 수입국의 문화와 상치되거나 갈등을 일으키게도 한다.
(1)강종근과 모간(Kang&Morgan,1988)의 한국 대학생들의 미국 프로그램 시청이 미국과 미국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여자 대학생 : 미국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한 여자들은 전통적 가치를 덜 존중하고 전통적 중매결혼을 싫어하며, 청바지나 로큰롤 음악을 더 즐기고 유교와 자신은 관계없다고 생각하는 경향
-남자 대학생 : 미국 텔레비전을 더 많이 볼수록, 미국에 대해 더 많은 적개심과 전통 문화의 보호 심리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결과 : 적어도 일부 정치적인 대학생 사이에서 미국 텔레비전은 수입 문화에 대한 거부감을 일으켰고 민족 문화 의식을 고양시키는 역효과 초래
(=>현옥생각 : 1988년도의 한국사회 상황이 반미감정이 고조되어 있던 상황이었는데 그 당시 시대 상황에 따른 어쩔 수 없는 결론은 아닐는지)
(2)반 투베르겐과 보이드(1986) 요르단내의 매체 사용과 미국 이미지 연구
-미국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원의 등급을 매기도록 하는 과정-세 가지 유형의 매체 사용자를 밝힘(==>매체 사용의 다양한 형태를 드러내 줌)
①오로지 대인관계에 의존해 미국과 미국인에 대한 정보형성
②미국 이미지와 인식을 미국과 요르단 대중매체를 통해 형성
③미국 이미지의 형성은 미국인 정보원에만 의존
->교육 정도가 높은 요르단 사람들 사이에서는 미국매체가 미국 이미지를 형성한 반면, 교육 수준이 낮은 요르단인들 사이에서는 대인 정보원이 미국이미지를 형성함
-연구자들의 결론: 한 사회 내에서 미국 매체가 얼마나 지배적이든 간에, 매체 내용의 효과가 중요한 때 사회의 문화적 전통은 그 효과를 완화하는 요소로서 생각되어져야만 한다.
(3)페인과 피크(1997) 아이슬란드에서 미국 문화의 제국주의 가설 연구
-세가지 질문
①미국 텔레비전 시청이 아이슬란드 사람들의 미국 태도에 미치는 영향
②미국 텔레비전 시청이 아이슬란드 사람들에게 미국 정치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가?
③미국 텔레비전 시청이 아이슬란드 사람들에
추천자료
세계의 미술교육 - 독일, 미국, 한국
북한의 핵실험 결정 원인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외교정책에 의한 북한의 Group Dynamics를 중...
[마케팅] 현대자동차 소나타 미국 진출 분석
‘식객’과 ‘X-MEN’을 통한 한국만화와 미국만화의 비교, 분석
인쇄광고의 표현 방법에 대한 비교연구 - 미국 VS 한국
POP ART의 배경과 특징 및 미국과 영국의 팝아트
[외국진출][해외진출][국내진출]현대자동차 미국진출 사례, 태평양화장품 중국진출 사례, 가...
[점포의 가격할인 관리] 가격할인의 개념과 소비자반응, 미국 가격할인의 실행방식
제2차세계대전의 성격, 제2차세계대전의 전개과정, 제2차세계대전과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
[북리뷰/서평] 다운사이징 데모크라시 : 왜 미국 민주주의는 나빠졌는가 (Downsizing Democra...
세계의 역사 (공통) 2013년 한해 동안 미국에서 일어난 사건이나 현상을 선택하고, 보도자료...
삼성전자 스마트폰(갤럭시시리즈) 미국시장진출 전략분석과 삼성전자 기업분석과 나의의견
아프가니스탄 _ 아프가니스탄 내전의 배경 과 미국의 침공 이후 아프간의 모습
A+ 레포트) 중국과 미국 시장규모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