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의 설정
2. 개념의 명백화와 가설의 설정
3. 조사연구의 설계
4. 자료수집
5. 자료의 정리, 분석 및 해석
2. 개념의 명백화와 가설의 설정
3. 조사연구의 설계
4. 자료수집
5. 자료의 정리, 분석 및 해석
본문내용
확하지 못할 때 추가질문을 하여 충분하고 정확한 답을 캐어내는 것), 면접결과의 기록, 면접자에 의한 오차감소 전략, 면접의 종료기술 등이 필요하다. 앞의 여러 방법 중에서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지 간에 조사자의 주관적 편견을 배제하고 되도록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모든 조사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 이러한 청소년문제와 같은 사회문제는 모집단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면접이나 참여법보다는 질문지법과 기존문헌을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대검찰청이나 경찰정등의 기존의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가정환경과 청소년 문제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다.”라는 가설의 증명한다. 그리고, 모집단을 비행의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가정환경 등을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 수집한다.
5. 자료의 정리, 분석 및 해석
자료의 정리란 관찰, 면접, 질문서 등의 조사도구에 의해서 수집된 자료가 분석 및 해석에 들어가기 전에 행하는 편집, 예비적 계산, 분류화, 부호화 등의 준비단계를 말한다.
자료의 분석이란 자료의 통계적 분포를 정리하고, 변수간의 계량적 관계 분석을 하는 작업에 의한다. 그러나 사례조사에서는 질적 분석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특히 변수간의 계량적인 관계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에는 비모수검정, 검증, 일원변량분석, 다원변량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 다변인회귀분석, 원자분석 등이 있다.
자료의 해석이란 주요변수간의 관계를 시간적 전후관계에 따라 명백히 하고, 이들 주요변수에 작용하는 제3의 변수를 찾아내어 이를 이용하여 변수간의 관계를 정밀화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특히 통제변수를 도입하여 분석을 할 경우 무엇보다 조사자의 추리력과 판단력 등이 최대한으로 발휘되어야 한다.
⇒ 자료에 있어서 기존문헌의 최신화 문제와 응답자의 사생활 문제로 무응답자의 발생률등이 예상외로 높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분석에 있어서는 계량적으로 통계를 내어 비교 분석하면 되겠다.
※ 참고문헌
이국형. (1997). “청소년 비행의 원인과 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해연. (1994). “한국 청소년 비행에 관한 고찰”.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8, “청소년비행의 원인에 대한 일반적 고찰”, 사단법인 청소년 지도육성회 청소년 문제연구소
김순형, 1995, “가정환경과 청소년 비행”,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박용치, 1997,“현대조사방법론”, 경세원
⇒ 이러한 청소년문제와 같은 사회문제는 모집단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면접이나 참여법보다는 질문지법과 기존문헌을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대검찰청이나 경찰정등의 기존의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가정환경과 청소년 문제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다.”라는 가설의 증명한다. 그리고, 모집단을 비행의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가정환경 등을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 수집한다.
5. 자료의 정리, 분석 및 해석
자료의 정리란 관찰, 면접, 질문서 등의 조사도구에 의해서 수집된 자료가 분석 및 해석에 들어가기 전에 행하는 편집, 예비적 계산, 분류화, 부호화 등의 준비단계를 말한다.
자료의 분석이란 자료의 통계적 분포를 정리하고, 변수간의 계량적 관계 분석을 하는 작업에 의한다. 그러나 사례조사에서는 질적 분석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특히 변수간의 계량적인 관계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에는 비모수검정, 검증, 일원변량분석, 다원변량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 다변인회귀분석, 원자분석 등이 있다.
자료의 해석이란 주요변수간의 관계를 시간적 전후관계에 따라 명백히 하고, 이들 주요변수에 작용하는 제3의 변수를 찾아내어 이를 이용하여 변수간의 관계를 정밀화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특히 통제변수를 도입하여 분석을 할 경우 무엇보다 조사자의 추리력과 판단력 등이 최대한으로 발휘되어야 한다.
⇒ 자료에 있어서 기존문헌의 최신화 문제와 응답자의 사생활 문제로 무응답자의 발생률등이 예상외로 높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분석에 있어서는 계량적으로 통계를 내어 비교 분석하면 되겠다.
※ 참고문헌
이국형. (1997). “청소년 비행의 원인과 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해연. (1994). “한국 청소년 비행에 관한 고찰”.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8, “청소년비행의 원인에 대한 일반적 고찰”, 사단법인 청소년 지도육성회 청소년 문제연구소
김순형, 1995, “가정환경과 청소년 비행”,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박용치, 1997,“현대조사방법론”, 경세원
추천자료
이 만큼만 최소한 A이다.
아웃백의 경영전략
'한국사 그 끝나지 않는 의문' 을 읽고
장애인 복지론 장애인 대상 인터뷰
로메로의 삶과 관련하여..
TOMS슈즈 탐스슈즈 마케팅 성공전략분석
로마제국을 가다[독후감]
현실 치료의 상담 기법
[독후감] 한국사가 죽어야 나라가산다_ 이주한 저
결혼과 가족 - 영화 ‘퍼펙트 센스 (Perfect Sense)’
교수-학습방법 관하여
[전대와 근대의 충돌 독후감] 이광수의 ‘무정 (無情)’을 읽고 (이광수의 생애, 무정 줄거리, ...
[전대와 근대의 충돌] 이광수 - 『무정』을 읽고..
보고서 - 중국 현대사회 이해 - 심양에서의 한 학기를 보내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