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치매 예방과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 치매 예방과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치매란?

2. 치매예방을 위한 생활자세

3. 치매 진행의 7단계

4.치매노인의 심리

5. 치매노인을 대하는 방법

6. 치매노인의 수발

본문내용

음식을 잘게 썰어 목이 막히지 않도록 하고 말기에는 음식을 으깨거나 주스로 만 들어 주도록 한다.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먹도록 해야 한다.
음식의 냉온에 대한 감각이 부족하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치매노인이 음식을 넘기지 못할 때는 의사와 상담한다.
한번에 조금씩 먹도록 한다.
▶ 치매노인의 식사 거부
. 심리적인 경우가 많으므로 원인을 규명, 적절한 해결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 노인성 치매로 이식, 다식, 거식 등 불안정한 상황, 심한 우울 상태, 망상 등 의 식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의사의 지도를 받도록 한다.
. 음식을 입에 넣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 아랫입술을 스푼 등으로 가볍게 자극(가법 게 두 세번 톡톡 침)하며 입을 열도록 말을 건다.
.“맛있으니까 먹어봅시다”. “먹고 빨리 나아야죠”등 따뜻하고 부드럽게 말을 걸고 식사를 권한다.
. 마시지 않는 경우에는 함께 마시는 동작을 하면서 “꿀꺽”하고 말을 한다.
. 끈기 있게 상대방에게 맞추면서 눈을 떼지 않는 것이 요령이다.
. 치료약의 부작용에 의한 식욕부진도 있을수 있다.
▶ 치매노인의 식욕부진
. 식욕이 없어서 먹지 못하는 경우에는 간식을 너무 많이 했거나 심리적인 영향으로 소화 액의 분비가 감소하여 식욕부진이 된 경우로 볼 수 있다.
. 보살핌이 중요하다.
. 조리 시에 향신료, 유자, 산초, 생강 등의 향으로 식욕을 유발시키도록 한다.
. 맑은 장국에 생강즙을 약간 첨가하는 것도 입맛을 돋구는 방법이다. 구수한 맛도 이용한다.
▶ 연하곤란
. 작은 변화도 놓치지 않고 유의해야 한다.
. 먹이는 방법은 충분히 시간을(1시간 정도) 두고, 잘 씹어서 마시듯이 삼키게 한 다.
.“덥석 먹지 말고 천천히 드십시오.”와 같은 말을 걸면서 먹도록 한다.
. 의료진과 상담하여 단계별로 식사의 정도를 조절한다.
▶연하곤란예방을 위한 식품 선택
삼키기 쉬운 식품 :두부, 소면(먹기 쉬운 길이로 잘라서 공급)
삼키기 어려운 식품: 옥수수, 어묵, 건어물, 파인애플 등 섬유소가 많은 것
갈기에 적합하지 않은 식품
현미, 곤약, 유부, 지방질이 적은 육류, 생선알, 생선훈제, 문어, 해조류 단당 하게 익힌 알(국과 함께 믹서에 넣는 것이 좋다.)섬유소가 많은 야채(죽순, 고 비, 버섯, 단무지 등) 등
기타 적합하지 않는 식품: 탄산음료, 커피 홍차, 건과류, 사탕
3). 야간착란: 치매 환자의 24.2%
.▶원인:뇌의 병, 신체의 병, 약 부작용, 이사 등 환경변화, 노화로 인한 시력 감퇴
▶대응방법:
.방을 조금 밝게 한다.
.조용하고 부드럽게 말을 걸어 드린다.
.적절한 운동으로 쉽게 잠들게 한다.
4) 인물오인:21.4%
▶대응방법: 정정하기 보다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다.
5) 도난 망상 등 : 14.8%
▶대응방법:
.노인이 주장하는 것을 모두 받아 드린다.
.본인이 보는데서 찾는 것이 중요하다.
6) 배회:11%
▶대응방법:
.윗옷에 연락처를 써 둔다.
.함께나가서 산책한다.
7) 과식: 아직 밥이 않되었느냐 ? 하면
▶대응방법:
.기분을 다른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2.22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88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