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치매란?
2. 치매예방을 위한 생활자세
3. 치매 진행의 7단계
4.치매노인의 심리
5. 치매노인을 대하는 방법
6. 치매노인의 수발
2. 치매예방을 위한 생활자세
3. 치매 진행의 7단계
4.치매노인의 심리
5. 치매노인을 대하는 방법
6. 치매노인의 수발
본문내용
음식을 잘게 썰어 목이 막히지 않도록 하고 말기에는 음식을 으깨거나 주스로 만 들어 주도록 한다.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먹도록 해야 한다.
음식의 냉온에 대한 감각이 부족하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치매노인이 음식을 넘기지 못할 때는 의사와 상담한다.
한번에 조금씩 먹도록 한다.
▶ 치매노인의 식사 거부
. 심리적인 경우가 많으므로 원인을 규명, 적절한 해결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 노인성 치매로 이식, 다식, 거식 등 불안정한 상황, 심한 우울 상태, 망상 등 의 식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의사의 지도를 받도록 한다.
. 음식을 입에 넣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 아랫입술을 스푼 등으로 가볍게 자극(가법 게 두 세번 톡톡 침)하며 입을 열도록 말을 건다.
.“맛있으니까 먹어봅시다”. “먹고 빨리 나아야죠”등 따뜻하고 부드럽게 말을 걸고 식사를 권한다.
. 마시지 않는 경우에는 함께 마시는 동작을 하면서 “꿀꺽”하고 말을 한다.
. 끈기 있게 상대방에게 맞추면서 눈을 떼지 않는 것이 요령이다.
. 치료약의 부작용에 의한 식욕부진도 있을수 있다.
▶ 치매노인의 식욕부진
. 식욕이 없어서 먹지 못하는 경우에는 간식을 너무 많이 했거나 심리적인 영향으로 소화 액의 분비가 감소하여 식욕부진이 된 경우로 볼 수 있다.
. 보살핌이 중요하다.
. 조리 시에 향신료, 유자, 산초, 생강 등의 향으로 식욕을 유발시키도록 한다.
. 맑은 장국에 생강즙을 약간 첨가하는 것도 입맛을 돋구는 방법이다. 구수한 맛도 이용한다.
▶ 연하곤란
. 작은 변화도 놓치지 않고 유의해야 한다.
. 먹이는 방법은 충분히 시간을(1시간 정도) 두고, 잘 씹어서 마시듯이 삼키게 한 다.
.“덥석 먹지 말고 천천히 드십시오.”와 같은 말을 걸면서 먹도록 한다.
. 의료진과 상담하여 단계별로 식사의 정도를 조절한다.
▶연하곤란예방을 위한 식품 선택
삼키기 쉬운 식품 :두부, 소면(먹기 쉬운 길이로 잘라서 공급)
삼키기 어려운 식품: 옥수수, 어묵, 건어물, 파인애플 등 섬유소가 많은 것
갈기에 적합하지 않은 식품
현미, 곤약, 유부, 지방질이 적은 육류, 생선알, 생선훈제, 문어, 해조류 단당 하게 익힌 알(국과 함께 믹서에 넣는 것이 좋다.)섬유소가 많은 야채(죽순, 고 비, 버섯, 단무지 등) 등
기타 적합하지 않는 식품: 탄산음료, 커피 홍차, 건과류, 사탕
3). 야간착란: 치매 환자의 24.2%
.▶원인:뇌의 병, 신체의 병, 약 부작용, 이사 등 환경변화, 노화로 인한 시력 감퇴
▶대응방법:
.방을 조금 밝게 한다.
.조용하고 부드럽게 말을 걸어 드린다.
.적절한 운동으로 쉽게 잠들게 한다.
4) 인물오인:21.4%
▶대응방법: 정정하기 보다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다.
5) 도난 망상 등 : 14.8%
▶대응방법:
.노인이 주장하는 것을 모두 받아 드린다.
.본인이 보는데서 찾는 것이 중요하다.
6) 배회:11%
▶대응방법:
.윗옷에 연락처를 써 둔다.
.함께나가서 산책한다.
7) 과식: 아직 밥이 않되었느냐 ? 하면
▶대응방법:
.기분을 다른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먹도록 해야 한다.
음식의 냉온에 대한 감각이 부족하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치매노인이 음식을 넘기지 못할 때는 의사와 상담한다.
한번에 조금씩 먹도록 한다.
▶ 치매노인의 식사 거부
. 심리적인 경우가 많으므로 원인을 규명, 적절한 해결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 노인성 치매로 이식, 다식, 거식 등 불안정한 상황, 심한 우울 상태, 망상 등 의 식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의사의 지도를 받도록 한다.
. 음식을 입에 넣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 아랫입술을 스푼 등으로 가볍게 자극(가법 게 두 세번 톡톡 침)하며 입을 열도록 말을 건다.
.“맛있으니까 먹어봅시다”. “먹고 빨리 나아야죠”등 따뜻하고 부드럽게 말을 걸고 식사를 권한다.
. 마시지 않는 경우에는 함께 마시는 동작을 하면서 “꿀꺽”하고 말을 한다.
. 끈기 있게 상대방에게 맞추면서 눈을 떼지 않는 것이 요령이다.
. 치료약의 부작용에 의한 식욕부진도 있을수 있다.
▶ 치매노인의 식욕부진
. 식욕이 없어서 먹지 못하는 경우에는 간식을 너무 많이 했거나 심리적인 영향으로 소화 액의 분비가 감소하여 식욕부진이 된 경우로 볼 수 있다.
. 보살핌이 중요하다.
. 조리 시에 향신료, 유자, 산초, 생강 등의 향으로 식욕을 유발시키도록 한다.
. 맑은 장국에 생강즙을 약간 첨가하는 것도 입맛을 돋구는 방법이다. 구수한 맛도 이용한다.
▶ 연하곤란
. 작은 변화도 놓치지 않고 유의해야 한다.
. 먹이는 방법은 충분히 시간을(1시간 정도) 두고, 잘 씹어서 마시듯이 삼키게 한 다.
.“덥석 먹지 말고 천천히 드십시오.”와 같은 말을 걸면서 먹도록 한다.
. 의료진과 상담하여 단계별로 식사의 정도를 조절한다.
▶연하곤란예방을 위한 식품 선택
삼키기 쉬운 식품 :두부, 소면(먹기 쉬운 길이로 잘라서 공급)
삼키기 어려운 식품: 옥수수, 어묵, 건어물, 파인애플 등 섬유소가 많은 것
갈기에 적합하지 않은 식품
현미, 곤약, 유부, 지방질이 적은 육류, 생선알, 생선훈제, 문어, 해조류 단당 하게 익힌 알(국과 함께 믹서에 넣는 것이 좋다.)섬유소가 많은 야채(죽순, 고 비, 버섯, 단무지 등) 등
기타 적합하지 않는 식품: 탄산음료, 커피 홍차, 건과류, 사탕
3). 야간착란: 치매 환자의 24.2%
.▶원인:뇌의 병, 신체의 병, 약 부작용, 이사 등 환경변화, 노화로 인한 시력 감퇴
▶대응방법:
.방을 조금 밝게 한다.
.조용하고 부드럽게 말을 걸어 드린다.
.적절한 운동으로 쉽게 잠들게 한다.
4) 인물오인:21.4%
▶대응방법: 정정하기 보다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다.
5) 도난 망상 등 : 14.8%
▶대응방법:
.노인이 주장하는 것을 모두 받아 드린다.
.본인이 보는데서 찾는 것이 중요하다.
6) 배회:11%
▶대응방법:
.윗옷에 연락처를 써 둔다.
.함께나가서 산책한다.
7) 과식: 아직 밥이 않되었느냐 ? 하면
▶대응방법:
.기분을 다른
추천자료
천주교사회복지(가톨릭교회사회복지)의 원리, 천주교사회복지(가톨릭교회사회복지)의 전개과...
천주교사회복지(가톨릭교회사회복지)의 개념, 천주교사회복지(가톨릭교회사회복지)의 원칙과 ...
사회복지법의 실행과정에서 구현하려는 권리의 핵심은 각 사회복지법상 대상자가 향유하는 사...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이해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개념,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분류,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의 동기와 가치를 논하고, 사회복지의 개념을 설명하세요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
사회복지사가 전문직인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논하고 전문직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을 기술...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웨일과 갬블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
사회복지정책의 정의와 기능 및 형성과정 (사회복지의 정의, 사회복지의 기능과 제도, 사회복...
사회복지(社會福祉 / social welfare,)의 정의와 기능 및 전망과 과제 ( 사회복지의 정의, 사...
사회복지의 개념과 목적 및 해결해야 할 과제 (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의 목적, 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정의, 구성, 구성원칙, 주요 기...
사회복지시설의 역사적 변천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현대사회복지 시설의 동향에 대해 논하시오...
사회복지현장의 인권문제와 사회복지대책(사회복지개론, 인권, 인권보장, 사회복지실천과인권...
사회복지학의 정체성(사회복지의전문성, 사회과학과사회복지학, 사회복지학의발전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