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학 정리 자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리학 정리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명제

명제의 종류

삼단논법

양도논법

선언 삼단논법에서 반드시 지켜져야 할 것

양도논법이 오류를 범하고 있는 이유

양도논법에서 벗어나는 법

Prisoner`s dilemma(죄수의 딜레마)

애매와 모호

단어와 개념

문장과 명제

논증

귀납논리

논증분석

정언(定言)명제

개념의 내포와 외연

정언명제의 주연관계

대당 사각형

일상적 문장을 정언명제로 바꿀때 주의할 점.

일상적 문장을 정언명제로...

삼단논법

본문내용

. 반대로 ㉠명제가 거짓이면 ㉡명제는 반드시 참. 모든 사람이 죽는 것이 아니라면, 죽지 않는 사람이 있다는 뜻이므로...
2) ㉠어떤 남자도 여자가 아니다 ↔ ㉡약간의 남자는 여자이다.
* ㉠명제가 참이면 ㉡명제는 반드시 거짓. 어떤 남자도 여자가 아닌데, 남자 중 일부 가 여자일 수 없다. 반대로 ㉠명제가 거짓이면 ㉡명제는 반드시 참. ㉠명제가 거짓 이면 일부의 남자는 여자이거나 모든 남자가 여자라는 뜻이므로, ㉡명제는 참.
②반대 대당(A-E) : 한 쪽이 참일 경우 나머지 한쪽은 반드시 거짓. 한쪽이 거짓일 경우 나머지 한쪽은 참이 될 수도 있고, 거짓이 될 수도 있음.
ex)1) ㉠모든 사람은 죽는다 ↔ ㉡어떠한 사람도 죽지 않는다.
* ㉠명제가 참이면 ㉡명제는 반드시 거짓. 모든 사람은 반드시 죽는데, 사람이 죽지 않는 다는 말은 거짓.반대로 ㉠명제가 거짓일 경우 ㉡명제는 2가지 가능성이 존재 (어떠한 사람도 죽지 않는 경우,일부는 죽고, 일부는 죽지 않는 경우)
2) ㉠어떤 남자도 여자가 아니다 ↔ ㉡모든 남자는 여자이다.
* ㉠명제가 참이면 ㉡명제는 반드시 거짓. 어떤 남자도 여자가 아닌데 모든 남자가 여자일 수 없다. 반대로 ㉠명제가 거짓이면 ㉡명제는 참 or 거짓. ㉠명제가 거짓이 면 ㉡명제는 두가지 가능성(모든 남자가 여자이다,일부의 남자는 여자이고 일부는 아님)존재.
③소 반대 대당(I-O) : 한 쪽이 참일 경우 나머지 한 쪽은 참 또는 거짓임. 한 쪽이 거짓 일 경우 나머지 한쪽은 반드시 참
ex)1) ㉠약간의 학생은 대학생이다 ↔ ㉡약간의 학생은 대학생이 아니다.
* ㉠명제가 참일 경우 ㉡명제는 2가지 가능성 존재(모든 학생이 대학생일 경우,일부 는 대학생, 일부는 아님). ㉠명제가 거짓일 경우 ㉡명제는 반드시 참. ㉠명제가 거 짓이라면 어떠한 학생도 대학생이 아니라는 뜻이므로, 약간의 학생은 모두 대학생 이 아니다.
2) ㉠약간의 여학생은 기혼녀이다. ↔ ㉡약간의 여학생은 기혼녀가 아니다.
* ㉠명제가 참이면 ㉡명제는 참 or 거짓. ㉠명제가 참이면 ㉡명제는 두가지 가능성 존재(모든 여학생이 기혼녀이다or일부 여학생은 기혼녀 일부는 아님). 반대로 ㉠명 제가 거짓이면 ㉡명제는 반드시 참. ㉠명제가 거짓이면 어떠한 여학생도 기혼녀가 아니라는 뜻이므로, 약간의 여학생은 기혼녀가 아니다.
④대소 대당(A-I,E-O) : 한 쪽이 참일 경우, 나머지 한쪽은 반드시 참. 한 쪽이 거짓일 경 우 나머지 한쪽은 참 또는 거짓.
ex)1) ㉠모든 사람은 죽는다. ↔ ㉡약간의 사람은 죽는다.
* ㉠명제가 참일 경우 ㉡명제는 반드시 참. 모든 사람이 죽으므로 약간의 사람은 당 연히 죽는다. ㉠명제가 거짓일 경우 ㉡명제는 두가지 가능성 존재(어떠한 사람도 죽지 않는 경우. 일부는 죽고 일부는 죽지 않는 경우)
2) ㉠어떤 남자도 여자가 아니다. ↔ ㉡ 약간의 남자는 여자가 아니다.
* ㉠명제가 참이면 ㉡명제는 반드시 거짓. 어떤 남자도 여자가 아니므로 약간의 남자 는 당연히 여자가 아니다. 반대로 ㉠명제가 거짓이면 ㉡명제는 참 or 거짓. ㉠명제 가 거짓이라면 두가지 가능성 존재(모든 남자가 여자이다. 일부 남자는 여자이고 일부는 아님)
◈일상적 문장을 정언명제로 바꿀때 주의할 점.
①All, Some이 아닌 ‘단칭’은 전칭으로 간주한다
②빈개념이 ‘긍정’‘부정’을 반드시 나타내야 한다(‘~이다’,‘~아니다’)
◈일상적 문장을 정언명제로...
●약간의 군인은 얼굴이 거무스레하다. --> 약간의 군인은 얼굴이 거무스레한 사람이다.
●많은 가전제품은 기계가 아니다. -->약간의 가전제품은 기계가 아니다.
●거의 모든 책의 표지는 두껍다. --> 약간의 책은 표지가 두꺼운 책이다.
★현권이의 친구만 생일파티에 초대되었다.
--> ①현권이의 모든 친구는 현권이의 생일파티에 초대된 사람이다(X)
②생일파티에 초대된 모든 사람은 현권의 친구인 사람이다.(O)
※이같이 ‘~만’ 의 형태로 나타나는 명제를 ‘배제 명제’라 한다. 이같은 문장을 정언명제 로 바꿀때에는 문장의 주개념과 빈개념의 위치를 바꾸어야 한다.
★용감한 자만이 미인을 차지한다. --> 미인을 차지한 모든 사람은 용감한 사람이다.
●이 교실의 학생들 중 대부분은 결혼을 안했다. --> 이 교실의 약간의 학생은 결혼한 학생이 아니다.
◈삼단논법
①명제가 대부분 3개. 대전제, 소전제, 결론 으로 이루어짐.
②분석시에는 결론을 우선적으로 찾아야 한다.
③결론의 빈개념이 들어있는 전제는 ‘대전제’이다.
④결론의 주개념이 들어있는 전제는 ‘소전제’이다.
⑤결론에서는 나오지 않지만 전제에 나오는 개념은 ‘매개념’이다
⑥A,E,I,O 명제는 각각 대전제,소전제,결론이 가능하다. 여기서 매개념의 위치에 따른 형태 4가지를 포함해 이론상 가능한 삼단논법의 수는 모두 4X4X4X4=256 가지 이다.
⑦허나 타당성 규칙에 따라, 타당한 삼단논법의 수는 24가지이다.
●타당성 규칙(대규칙)
㉠전제에서 부주연된 개념이 결과에서 주연되면 안된다(주연 법칙).
㉡매개념은 둘다 부주연 되면 안된다.
●매개념 M의 위치 형태
① M is P
S is M
S is P -> 1격
② P is M
S is M
S is P -> 2격
③ M is P
M is S
S is P -> 3격
④ P is M
M is S
S is P -> 4격
ex)1) 대전제 :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전제 :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결 론 :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결론의 주개념:소크라테스, 빈개념:죽는 것, 매개념:사람)
대전제 = A명제, 소전제 = A명제, 결론 = A명제, 매개념의 위치 = 1격
∴ AAA-1 (논리적구조표현방법)
2) 대전제 : 모든 개는 동물이다.
소전제 : 모든 사람은 동물이다.
결 론 : 모든 사람은 개다.
∴ 매개념 ‘동물’이 둘 다 부주연 되어있다. 즉 타당한 논리형식이 아니다.
3) 배제적 진술의 삼단논법
대전제 : 미녀를 차지한 모든이는 용감한 자이다.
소전제 : 전두환은 용감한 사람이다.
결 론 : 전두환은 미녀를 차지할 것이다.
(결론의 주개념:전두환 빈개념:미녀를 차지할 것 매개념:용감한 자)
∴ AAA-2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5.12.25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95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