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션. 치매용구. 간호용품.
02-521-8384
40.치매관련서적
최근에는 전문가가 아니고 일반 치매가족을 위한 치매 관련 서적이 20여종이 시중에 나와 있다. 이러한 자료를 충분히 활용하여야 한다.
41.보건복지부 `치매노인 간호요령` 책자 무료 보급.
보건복지부는 2000.1.25일부터 전국 보건소 치매상담센터를 통하여 치매노인 가족에게 `치매노인 간호요령` 안내책자를 무료로 보급할 계획이다. 이번에 제작하여 보급하는 안내서는 치매노인의 특성과 치매노인에게 일어날 수 있는 위험증상과 대처요령, 식사. 목욕. 용변 등 일상생활과 관련된 수발요령 등을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어 치매노인을 모시는 가족의 간호 및 일상생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42.간병인 의뢰
종로 시니어클럽 케어복지사업단 내리사랑
서울종로구연건동 32 /전화 02-747-5501
비용 12시간 : 35,000 원 24시간 : 50,000 원
기타 기본서비스, 가사지원서비스, 말벗도움
43.독거노인 주치의 맺기 운동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의료보험카드가 있어도 본인이나 자식들이 부담금을 내지 못해 정지됐거나, 거동이 불편하여 병원이나 보건소 이용조차 힘든 독거노인을 우선으로 전국 14개 도시에서 전화상담사업과 사회복지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사회복지법인 한국생명의전화를 통해 지역의 사회복지기관과의 연결망을 구축하여 참여하시는 선생님의 인근지역에 있는 복지관에 연결하여 독거노인을 의뢰한다.
서울시 성동구 금호동 1가 481-5호 신세계 오피스텔 4층 405호
TEL 02-6212-8885
<프로그램관련 자원>
44.원예치료
원예치료는 인간이 흙을 만지고 나무와 더불어 살아갈 때 몸과 마음이 건강해진다는, 소박하지만 보편적인 믿음에서 시작된 분야다. 서구에서는 40여 년 전부터 치매나 정신질환을 앓는 이들을 치료하는데 활용됐지만, 국내에는 지난 1997년에야 비로소 도입됐다.
현재 전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원예치료사는 300여명. 그 중 90%가 여성이다. 주로 병원의 정신과 병동이나 노인 요양시설, 특수교육 시설 등지에서 일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트레스가 심한 일반 직장인이나 학생, 주부 등을 위한 강좌도 곳곳에 생겨 원예치료사의 활동 범위가 더욱 넓어졌다.
45.치료레크리에이션
치료 레크리에이션(recreational therapy )이란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 행동을 바람직하게 변화시키고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레크레이션 서비스를 활용하는 의도적인 개입과정이다(채준안, 1995 : 23). 치료의 목적은 원래의 기능과 환경상태로 회복하거나, 보존하거나, 최대한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며 노인이 가능한 나머지 삶을 사는데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마음속에서의 모든 간호를 필요로 한다.
46.작업치료
이 요법은 도입이 용이하고, 그 내용에 작업적, 일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서 치매 노인에게 적합한 것인 동시에 또한 일반 노인에 대한 치매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ex)공 칠하기
47.음악치료
알쯔하이머 치매의 경우에는 음악활동이 증상을 완화시키며 안정감을 줄 수 있으므로 효과가 크다. 불안, 우울 등으로 느끼는 무기력과 공허감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회복하도록 도와준다.
<인터넷 자조모임 및 동호회>
48.치매가족모임-ALZHEIMER SOCIETY OF KOREA (KAS)
http://cafe.daum.net/alzsociety
49.찔레꽃 며느리
http://cafe.daum.net/babyah
50.치매노인을 사랑하는 모임
http://cafe.daum.net/chinosamo
<기타>
51.노인종합복지카드
치매노인이나 독거노인의 병력이나 신원정보가 담겨 있고 위치파악시스템(GPS) 기능을 갖춘 ‘노인종합복지카드’가 이르면 2006년에 보급된다.
서울시가 새로 선보일 노인복지카드는 4개 시립병원과 25개 보건소 등의 의료시스템과 연계돼 이들 병원을 이용하는 노인의 의료 서비스 제공에 활용되며 장기적으로는 원격 응급조치가 가능한 ‘원격 응급의료 화상시스템’ 등도 구축된다.
시는 우선 위급상황을 사전 예방하거나 신속 대응할 수 있도록 치매노인 4만9천여명과 독거노인 2만9천2백여명 등에게 위치인식 칩이나 GPS 수신기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52.신원확인 팔찌 사업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는 국비 보조를 받아 전국 각 구·군 보건소 치매상담신고센터에 등록된 치매노인들이 보건소를 통해 팔찌를 주문할 경우 신청 후 1개월 내 신청인 이름, 연락처, 주민등록번호, 연고자 이름 등이 새겨진 팔찌를 우송해 준다. 팔찌가 필요한 경우 치매노인 보호자가 각 보건소 치매상담센터로 신청하면 보건소 단위별로 신청서를 모아 매월 1일,16일 두 차례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로 우편이나 e-메일로 신청, 무료 제작해 준다.
53.뜸사랑 봉사
1987년부터 전한국불교 포교사협회, 대한불교 법사회, 조계종 포교원 등의 포교사로서 군포교와 간병인 봉사활동 중 2004년부터 경기/전라지역 리, 동 노인 회관 중심으로 중풍 치매 예방 뜸과 요통치료(70~80% 완치 노하우)에 무료 봉사활동 중에 있음.
54.실버실
치매 예방기금 마련을 위한 ‘실버실’을 ‘크리스마스실’처럼 제작, 판매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실과 달리 우표로 제작돼 실생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55.시립은평병원, 11.8(화) 무료 치매·우울증 검사 및 강좌 실시
정신과 전문 병원인 서울시립은평병원에서는 지역사회 정신건강 증진사업의 일환으로『어르신 대상 무료 기초건강검진 및 치매·우울증 검사, 강좌』를 실시한다.
이 행사는 서울시내 거주 65세 이상 어르신 중 우선예약자 100명을 대상으로 시립은평병원 6층 대강당에서 2005. 11. 8(화) 09:30부터 12:00 까지 실시한다. 행사 내용은 기초건강검진(혈액검사 : 신장기능, 소변검사 : 간기능, 당뇨유무, 콜레스테롤 수치) 후 정확한 검사결과를 위해 전날 밤10시 이후 금식하고 오신 어르신들에게 다과를 제공한 뒤 이어서 의료진과 1:1 면담을 통해 치매·우울증 검사를 받을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노인정신과 전문의가 진행하는 치매예방 강좌에도 참여할 수 있다.
02-521-8384
40.치매관련서적
최근에는 전문가가 아니고 일반 치매가족을 위한 치매 관련 서적이 20여종이 시중에 나와 있다. 이러한 자료를 충분히 활용하여야 한다.
41.보건복지부 `치매노인 간호요령` 책자 무료 보급.
보건복지부는 2000.1.25일부터 전국 보건소 치매상담센터를 통하여 치매노인 가족에게 `치매노인 간호요령` 안내책자를 무료로 보급할 계획이다. 이번에 제작하여 보급하는 안내서는 치매노인의 특성과 치매노인에게 일어날 수 있는 위험증상과 대처요령, 식사. 목욕. 용변 등 일상생활과 관련된 수발요령 등을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어 치매노인을 모시는 가족의 간호 및 일상생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42.간병인 의뢰
종로 시니어클럽 케어복지사업단 내리사랑
서울종로구연건동 32 /전화 02-747-5501
비용 12시간 : 35,000 원 24시간 : 50,000 원
기타 기본서비스, 가사지원서비스, 말벗도움
43.독거노인 주치의 맺기 운동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의료보험카드가 있어도 본인이나 자식들이 부담금을 내지 못해 정지됐거나, 거동이 불편하여 병원이나 보건소 이용조차 힘든 독거노인을 우선으로 전국 14개 도시에서 전화상담사업과 사회복지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사회복지법인 한국생명의전화를 통해 지역의 사회복지기관과의 연결망을 구축하여 참여하시는 선생님의 인근지역에 있는 복지관에 연결하여 독거노인을 의뢰한다.
서울시 성동구 금호동 1가 481-5호 신세계 오피스텔 4층 405호
TEL 02-6212-8885
<프로그램관련 자원>
44.원예치료
원예치료는 인간이 흙을 만지고 나무와 더불어 살아갈 때 몸과 마음이 건강해진다는, 소박하지만 보편적인 믿음에서 시작된 분야다. 서구에서는 40여 년 전부터 치매나 정신질환을 앓는 이들을 치료하는데 활용됐지만, 국내에는 지난 1997년에야 비로소 도입됐다.
현재 전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원예치료사는 300여명. 그 중 90%가 여성이다. 주로 병원의 정신과 병동이나 노인 요양시설, 특수교육 시설 등지에서 일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트레스가 심한 일반 직장인이나 학생, 주부 등을 위한 강좌도 곳곳에 생겨 원예치료사의 활동 범위가 더욱 넓어졌다.
45.치료레크리에이션
치료 레크리에이션(recreational therapy )이란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 행동을 바람직하게 변화시키고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레크레이션 서비스를 활용하는 의도적인 개입과정이다(채준안, 1995 : 23). 치료의 목적은 원래의 기능과 환경상태로 회복하거나, 보존하거나, 최대한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며 노인이 가능한 나머지 삶을 사는데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마음속에서의 모든 간호를 필요로 한다.
46.작업치료
이 요법은 도입이 용이하고, 그 내용에 작업적, 일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서 치매 노인에게 적합한 것인 동시에 또한 일반 노인에 대한 치매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ex)공 칠하기
47.음악치료
알쯔하이머 치매의 경우에는 음악활동이 증상을 완화시키며 안정감을 줄 수 있으므로 효과가 크다. 불안, 우울 등으로 느끼는 무기력과 공허감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회복하도록 도와준다.
<인터넷 자조모임 및 동호회>
48.치매가족모임-ALZHEIMER SOCIETY OF KOREA (KAS)
http://cafe.daum.net/alzsociety
49.찔레꽃 며느리
http://cafe.daum.net/babyah
50.치매노인을 사랑하는 모임
http://cafe.daum.net/chinosamo
<기타>
51.노인종합복지카드
치매노인이나 독거노인의 병력이나 신원정보가 담겨 있고 위치파악시스템(GPS) 기능을 갖춘 ‘노인종합복지카드’가 이르면 2006년에 보급된다.
서울시가 새로 선보일 노인복지카드는 4개 시립병원과 25개 보건소 등의 의료시스템과 연계돼 이들 병원을 이용하는 노인의 의료 서비스 제공에 활용되며 장기적으로는 원격 응급조치가 가능한 ‘원격 응급의료 화상시스템’ 등도 구축된다.
시는 우선 위급상황을 사전 예방하거나 신속 대응할 수 있도록 치매노인 4만9천여명과 독거노인 2만9천2백여명 등에게 위치인식 칩이나 GPS 수신기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52.신원확인 팔찌 사업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는 국비 보조를 받아 전국 각 구·군 보건소 치매상담신고센터에 등록된 치매노인들이 보건소를 통해 팔찌를 주문할 경우 신청 후 1개월 내 신청인 이름, 연락처, 주민등록번호, 연고자 이름 등이 새겨진 팔찌를 우송해 준다. 팔찌가 필요한 경우 치매노인 보호자가 각 보건소 치매상담센터로 신청하면 보건소 단위별로 신청서를 모아 매월 1일,16일 두 차례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로 우편이나 e-메일로 신청, 무료 제작해 준다.
53.뜸사랑 봉사
1987년부터 전한국불교 포교사협회, 대한불교 법사회, 조계종 포교원 등의 포교사로서 군포교와 간병인 봉사활동 중 2004년부터 경기/전라지역 리, 동 노인 회관 중심으로 중풍 치매 예방 뜸과 요통치료(70~80% 완치 노하우)에 무료 봉사활동 중에 있음.
54.실버실
치매 예방기금 마련을 위한 ‘실버실’을 ‘크리스마스실’처럼 제작, 판매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실과 달리 우표로 제작돼 실생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55.시립은평병원, 11.8(화) 무료 치매·우울증 검사 및 강좌 실시
정신과 전문 병원인 서울시립은평병원에서는 지역사회 정신건강 증진사업의 일환으로『어르신 대상 무료 기초건강검진 및 치매·우울증 검사, 강좌』를 실시한다.
이 행사는 서울시내 거주 65세 이상 어르신 중 우선예약자 100명을 대상으로 시립은평병원 6층 대강당에서 2005. 11. 8(화) 09:30부터 12:00 까지 실시한다. 행사 내용은 기초건강검진(혈액검사 : 신장기능, 소변검사 : 간기능, 당뇨유무, 콜레스테롤 수치) 후 정확한 검사결과를 위해 전날 밤10시 이후 금식하고 오신 어르신들에게 다과를 제공한 뒤 이어서 의료진과 1:1 면담을 통해 치매·우울증 검사를 받을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노인정신과 전문의가 진행하는 치매예방 강좌에도 참여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