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도고무나무
관음죽
소철
군자란
알로카시아
디펜바키아
몬스테라
신고니움
마란타
렉스 베고니아
문주란
아지안텀
박쥐란
산세베리아
아스파라거스 플루모서스
호야
아프리카 바이올렛
관음죽
소철
군자란
알로카시아
디펜바키아
몬스테라
신고니움
마란타
렉스 베고니아
문주란
아지안텀
박쥐란
산세베리아
아스파라거스 플루모서스
호야
아프리카 바이올렛
본문내용
제에는 스미치온 1000배액 혹은 아카루 1000배액을 살포한다.
5. 분 류 : 관엽식물 (천남성과)
1. 이 름 : 몬스테라
2. 원산지 :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3. 특 징 :
다년생의 덩굴성식물로서 다른 식물에 부착하여 생육한다. 키가 7~8m나 되는 대형종으로서 잎자루의 길이는 30~50cm, 잎의 크기는 길이, 폭 모두가 60~90cm 정도이다.
잎이 작을 때는 가장자리가 둥근 잎이지만 생장하면 깊게 파여지며 잎맥 사이에 장타원 또는 마름모꼴 모양으로 되고 다육질이어며 암록색으로 변한다. 뿌리는 줄기에서 굵고 길게 자라 나오기 때문에 전신란이라고 한다.
4. 재배법 :
5. 분 류 : 관엽식물 (천남성과)
광 선
여름에는 반그늘에 두고 겨울에는 약광선을 쪼이도록 한다.
온 도
월동온도는 5˚C 이상 필요하다. 겨울에는 실내의 화분 흙이 얼지 않도록 주의한다.
물주기
여름에는 매일 충분히 주어 약간 축축하게 해 둔다. 겨울에는 약간 물을 적게 주도록 한다.
용 토
부엽토 4, 밭흙 4, 모래 2의 비율로 섞은 것을 준다.
번 식
번식은 삽목으로 번식시킨다. 줄기를 2마디 정도의 길이로 자르고 자른 곳을 수태로 싸서 모래 속에 꽂아 넣는다. 삽목을 하는 시기는 4~5월이 가장 좋다.
관 리
식물이 커지면 해고재에 부착시켜 실내장식용으로 할 수가 있고 절엽으로 이용한다.
1. 이 름 : 신고니움
2. 원산지 : 자마이카
3. 특 징 :
줄기는 굵기가 지름 6mm 정도의 녹색 덩굴로서 잎자루가 길고 잎은 3매엽이다. 3매가 나란히 나온 가운데 잎은 길이 15cm, 폭 5cm 정도로서 광택있는 농록색이다. 잎의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으로 구비쳐 있다. 좌우 2매의 잎은 작고 길이 10cm, 폭 4cm이며 잎모양은 어느 것이나 타원형이다. 줄기는 잘 신장하고 줄기마디에 공기뿌리가 나온다.
4. 재배법 :
광 선
여름철의 강한 직사광선은 피하고 겨울에는 약한 햇볕에 잘 쬐어 준다.
온 도
월동온도는 15˚C 이상으로 해 준다.
물주기
물주기는 분에 넣은 수태가 마르지 않을 정도로 물을 준다.
용 토
용토는 수태단식용 심기로 해서 헤고재에 부착시키거나 걸이분에 심어 놓는다.
비 료
비료는 알비료로는 깻묵, 추비로는 액비를 1개월에 2~3회 준다.
번 식
삽목으로 번식시킨다.
5. 분 류 : 관엽식물 (천남성과)
1. 이 름 : 마란타
2. 원산지 : 브라질, 기니아
3. 특 징 :
키가 30Cm 정도의 왜성종이다. 잎은 길이 10cm 정도로서 계란형, 잎의 표면은 담록색, 뒷면은 보라색이다. 잎맥을 따라 보라색 얼룩이 비스듬히 들어있다. 땅속에 덩이줄기가 있고줄기는 옆으로 뻗어간다.
4. 재배법 :
광 선
여름의 강한 직사광성을 쪼이면 잎뎀을 일으키는 수가 있다. 겨울에는 햇변을 쪼이게 하는 것이 좋고 색깔이 아름다워진다. 봄과 가을에 밝은 그늘에 둔다.
온 도
20~30˚C가 적온이다. 고온에서 생육이 잘 되며, 겨울에도 10˚C 만 되면 생장한다.
물주기
건조에는 약하므로 여름에는 아침 저녁 2회 물주기를 하지만 과습하게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용 토
부엽토 5, 모래 5의 비율로 섞은 것이거나 수태단용으로 심는다.
비 료
고온시의 생육기에는 깻묵의 알비료를 준다.
번 식
분주로 번식시킨다.
5월 경에 한포기에 5매 정도의 잎을 붙인 채로 분주한다. 너무 잘게 쪼개면 나중의 생육이 좋지 않다.
관 리
깨끗이 관리해서 병충해의 피해를 받지 않도록 관리한다.
5. 분 류 : 관엽식물 (갈울금과)
1. 이 름 : 렉스 베고니아
2. 원산지 : 인도 앗삼지망
3. 특 징 :
근경종의 대표적 품종으로 ‘범의 귀’를 대형으로한 느낌이며 색채나 모양이 아름다워 베고니아 중 관엽식물의 대표종이다. 근경 즉 뿌리줄기는 땅을 포복하며 전 그루에 거칠은 털이 있고 근경에서 잎이며 꽃대가 나온다. 잎은 커서 길이 20~30cm, 폭 15~20cm 정도로서 20~30cm의 잎자루가 있다.
4. 재배법 :
광 선
한여름의 직사광선을 받으면 잎색이 나빠지므로 반드시 피하도록 한다. 반대로 10~5월 경에는 광선이 약해지므로 잘 쬐이도록 한다.
온 도
보통 15˚C 이상이 되면 아름답게 생육한다. 월동에는 70˚C이상이 필요하다.
물주기
베고니아는 고온다습에 적합하므로 습기는 많게 한다. 여름에는 1일 2회, 겨울에는 실내온도가 15˚C만 된다면 1일 1회, 온도가 낮을 경우는 2~3일에 1회씩 준다. 건조를 막기 위해 분무기로 잎에 물을 뿌려 준다.
용 토
밭흙 3, 모래 3, 부엽토 4의 비율로 혼합한 용토를 쓰도록 한다.
비 료
알비료로는 깻묵을, 추비는 액비를 쓴다. 액비는 3~10월경에 걸쳐 10일에 1회 정도의 비율로 준다. 액비를 줄 때 잎에 뿌리지 않도록 한다.
번 식
잎꽂이, 줄기꽂이, 실생으로 번식시킨다.
관 리
병충해에는 특별한 것은 없으나, 응애, 깍지벌레가 붙는 수가 있다. 응애의 구제에는 켈센 1000배액을, 깍지벌레의 구제에는 스미치온 1000배액을 살포한다.
5. 분 류 : 관엽식물 (추해당과)
1. 이 름 : 문주란
2. 원산지 : 제주도, 일본 남부
3. 특 징 :
남쪽 지방의 해안지대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로서 재배가 간단하다. 더구나 월동에는 서리막이만으로도 충분한 튼튼한 식물이다. 다음의 종류가 있다.
4. 재배법 :
광 선
4계절을 통하여 직사광선에 잘 쬐어준다. 특히 여름에는 햇빛을 받는 쪽이 이 식물은 강건하게 된다.
온 도
내한력이 있으므로 겨울에는 서리막이를 하는 정도로 월동 하지만 얼지 않도록 조심한다. 분심기의 경우는 실내에 넣는 것만으로도 된다.
물주기
건조기에는 강하므로 너무 습하지 않게 한다. 화분에 심었을 경우에는 봄~여름의 생육기에는 매일 1회씩 충분히 관수한다.
용 토
이 식물은 원래 모래땅에서 생육하고 있으므로 배수가 잘 되는 용토라면 된다.
비 료
계분, 골분과 깻묵을 섞은 것을 알비료로 해서 준다. 추비료는 액비를 4~9월의 생육기에 10일에 1회의 비율로 준다.
번 식
실생과 분주로 번식시킨다.
관 리
겨울에는 분심기, 여름에는 화단심기를 하는 것도 하나의 즐기는 방법이 된다. 분심기의 경우, 뿌리가 막혀지면 잎
5. 분 류 : 관엽식물 (천남성과)
1. 이 름 : 몬스테라
2. 원산지 :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3. 특 징 :
다년생의 덩굴성식물로서 다른 식물에 부착하여 생육한다. 키가 7~8m나 되는 대형종으로서 잎자루의 길이는 30~50cm, 잎의 크기는 길이, 폭 모두가 60~90cm 정도이다.
잎이 작을 때는 가장자리가 둥근 잎이지만 생장하면 깊게 파여지며 잎맥 사이에 장타원 또는 마름모꼴 모양으로 되고 다육질이어며 암록색으로 변한다. 뿌리는 줄기에서 굵고 길게 자라 나오기 때문에 전신란이라고 한다.
4. 재배법 :
5. 분 류 : 관엽식물 (천남성과)
광 선
여름에는 반그늘에 두고 겨울에는 약광선을 쪼이도록 한다.
온 도
월동온도는 5˚C 이상 필요하다. 겨울에는 실내의 화분 흙이 얼지 않도록 주의한다.
물주기
여름에는 매일 충분히 주어 약간 축축하게 해 둔다. 겨울에는 약간 물을 적게 주도록 한다.
용 토
부엽토 4, 밭흙 4, 모래 2의 비율로 섞은 것을 준다.
번 식
번식은 삽목으로 번식시킨다. 줄기를 2마디 정도의 길이로 자르고 자른 곳을 수태로 싸서 모래 속에 꽂아 넣는다. 삽목을 하는 시기는 4~5월이 가장 좋다.
관 리
식물이 커지면 해고재에 부착시켜 실내장식용으로 할 수가 있고 절엽으로 이용한다.
1. 이 름 : 신고니움
2. 원산지 : 자마이카
3. 특 징 :
줄기는 굵기가 지름 6mm 정도의 녹색 덩굴로서 잎자루가 길고 잎은 3매엽이다. 3매가 나란히 나온 가운데 잎은 길이 15cm, 폭 5cm 정도로서 광택있는 농록색이다. 잎의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으로 구비쳐 있다. 좌우 2매의 잎은 작고 길이 10cm, 폭 4cm이며 잎모양은 어느 것이나 타원형이다. 줄기는 잘 신장하고 줄기마디에 공기뿌리가 나온다.
4. 재배법 :
광 선
여름철의 강한 직사광선은 피하고 겨울에는 약한 햇볕에 잘 쬐어 준다.
온 도
월동온도는 15˚C 이상으로 해 준다.
물주기
물주기는 분에 넣은 수태가 마르지 않을 정도로 물을 준다.
용 토
용토는 수태단식용 심기로 해서 헤고재에 부착시키거나 걸이분에 심어 놓는다.
비 료
비료는 알비료로는 깻묵, 추비로는 액비를 1개월에 2~3회 준다.
번 식
삽목으로 번식시킨다.
5. 분 류 : 관엽식물 (천남성과)
1. 이 름 : 마란타
2. 원산지 : 브라질, 기니아
3. 특 징 :
키가 30Cm 정도의 왜성종이다. 잎은 길이 10cm 정도로서 계란형, 잎의 표면은 담록색, 뒷면은 보라색이다. 잎맥을 따라 보라색 얼룩이 비스듬히 들어있다. 땅속에 덩이줄기가 있고줄기는 옆으로 뻗어간다.
4. 재배법 :
광 선
여름의 강한 직사광성을 쪼이면 잎뎀을 일으키는 수가 있다. 겨울에는 햇변을 쪼이게 하는 것이 좋고 색깔이 아름다워진다. 봄과 가을에 밝은 그늘에 둔다.
온 도
20~30˚C가 적온이다. 고온에서 생육이 잘 되며, 겨울에도 10˚C 만 되면 생장한다.
물주기
건조에는 약하므로 여름에는 아침 저녁 2회 물주기를 하지만 과습하게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용 토
부엽토 5, 모래 5의 비율로 섞은 것이거나 수태단용으로 심는다.
비 료
고온시의 생육기에는 깻묵의 알비료를 준다.
번 식
분주로 번식시킨다.
5월 경에 한포기에 5매 정도의 잎을 붙인 채로 분주한다. 너무 잘게 쪼개면 나중의 생육이 좋지 않다.
관 리
깨끗이 관리해서 병충해의 피해를 받지 않도록 관리한다.
5. 분 류 : 관엽식물 (갈울금과)
1. 이 름 : 렉스 베고니아
2. 원산지 : 인도 앗삼지망
3. 특 징 :
근경종의 대표적 품종으로 ‘범의 귀’를 대형으로한 느낌이며 색채나 모양이 아름다워 베고니아 중 관엽식물의 대표종이다. 근경 즉 뿌리줄기는 땅을 포복하며 전 그루에 거칠은 털이 있고 근경에서 잎이며 꽃대가 나온다. 잎은 커서 길이 20~30cm, 폭 15~20cm 정도로서 20~30cm의 잎자루가 있다.
4. 재배법 :
광 선
한여름의 직사광선을 받으면 잎색이 나빠지므로 반드시 피하도록 한다. 반대로 10~5월 경에는 광선이 약해지므로 잘 쬐이도록 한다.
온 도
보통 15˚C 이상이 되면 아름답게 생육한다. 월동에는 70˚C이상이 필요하다.
물주기
베고니아는 고온다습에 적합하므로 습기는 많게 한다. 여름에는 1일 2회, 겨울에는 실내온도가 15˚C만 된다면 1일 1회, 온도가 낮을 경우는 2~3일에 1회씩 준다. 건조를 막기 위해 분무기로 잎에 물을 뿌려 준다.
용 토
밭흙 3, 모래 3, 부엽토 4의 비율로 혼합한 용토를 쓰도록 한다.
비 료
알비료로는 깻묵을, 추비는 액비를 쓴다. 액비는 3~10월경에 걸쳐 10일에 1회 정도의 비율로 준다. 액비를 줄 때 잎에 뿌리지 않도록 한다.
번 식
잎꽂이, 줄기꽂이, 실생으로 번식시킨다.
관 리
병충해에는 특별한 것은 없으나, 응애, 깍지벌레가 붙는 수가 있다. 응애의 구제에는 켈센 1000배액을, 깍지벌레의 구제에는 스미치온 1000배액을 살포한다.
5. 분 류 : 관엽식물 (추해당과)
1. 이 름 : 문주란
2. 원산지 : 제주도, 일본 남부
3. 특 징 :
남쪽 지방의 해안지대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로서 재배가 간단하다. 더구나 월동에는 서리막이만으로도 충분한 튼튼한 식물이다. 다음의 종류가 있다.
4. 재배법 :
광 선
4계절을 통하여 직사광선에 잘 쬐어준다. 특히 여름에는 햇빛을 받는 쪽이 이 식물은 강건하게 된다.
온 도
내한력이 있으므로 겨울에는 서리막이를 하는 정도로 월동 하지만 얼지 않도록 조심한다. 분심기의 경우는 실내에 넣는 것만으로도 된다.
물주기
건조기에는 강하므로 너무 습하지 않게 한다. 화분에 심었을 경우에는 봄~여름의 생육기에는 매일 1회씩 충분히 관수한다.
용 토
이 식물은 원래 모래땅에서 생육하고 있으므로 배수가 잘 되는 용토라면 된다.
비 료
계분, 골분과 깻묵을 섞은 것을 알비료로 해서 준다. 추비료는 액비를 4~9월의 생육기에 10일에 1회의 비율로 준다.
번 식
실생과 분주로 번식시킨다.
관 리
겨울에는 분심기, 여름에는 화단심기를 하는 것도 하나의 즐기는 방법이 된다. 분심기의 경우, 뿌리가 막혀지면 잎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