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간호력(Nursing History)
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3. 대상자의 간호과정(Nursing process for this Case)
4. 투약(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5. 진단적 검사결과
7. 참고 문헌
결론
본론
1. 간호력(Nursing History)
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3. 대상자의 간호과정(Nursing process for this Case)
4. 투약(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5. 진단적 검사결과
7. 참고 문헌
결론
본문내용
제
효 능/효 과
류마티양, 관절염, 근육통, 신경통, 외상 후수술 후 동통, 두통, 치통, 이통, 월경통
금기/신중투여
소화성궤양, 본제과민증자, 임부 / 소화성궤양, 기왕력자
부 작 용
소화기계 부작용으로 위장출혈, 소화성 계양 및 천공이 나타남
그 외 구역, 현기증, 졸음, 두통, 식은땀, 한기, 다행증
adikan
성분/분류 : amikacin sulfate/항생제
효 능/효 과
폐혈증, 균혈증, 호흡기, 골 및 관절, 중추 신경계, 피부 및 연조직의 염증, 복막염, 화상 및 수술 후 감염증, 심한 복합감염 및 재발성 요로 감염증 질환에 사용
용 법/용 량
근주 : 1일 15mg/1kg을 2-3회 분할 투여
정주 : 용량은 동일하나 500mg을 멸균 생리식염수 20ml 또는 5%포도당액에 희석하여 30-60분간 주사
금기/신중투여
본제 또는 다른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물질 및 바시트라신 과민증 기왕력자 /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물질에 의한 난청자 또는 그 외 난청자 및 가족력자, 간/신장애, 신생아/미숙아, 경구섭취 불량, 비경구영양, 고령자, 전신상태불량, 비경구적 폴리믹신/보툴리누스 투여자, 내이/중이질환, 중증신부전, 파킨슨병
부 작 용
쇽, 발진, 가려움증, 발열, 이명, 이통, 현기, 난청, 급성신부전증, 부종, 단백뇨, 혈뇨, GOTGPTALP상승, 백혈구 감소, 호산구 증가, 설사, 구역, 구토, 비타민 K 결핍증상, 비타민 B군 결핍증상, 주사부위 동통, 입술의 마비감
cefotiam
성분/분류 : cefotiam hydrochloride/3세대 항생제
효 능/효 과
패혈증, 수술후 창상, 화상후 감염, 피하농양, 용종, 종기, 종기증, 골수염, 화농성 관절염, 편도염(편도주위염, 편도주위농양), 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감염시), 폐렴, 폐농양, 농흉, 담관염, 담낭염, 복막염, 신우신염, 방광염, 요도염, 전립선염, 수막염, 자궁내감염, 골반사강염, 자궁주위조직염, 자궁부속기염, 바토린선염, 중이염, 부비동염
용 법/용 량
성인 : 1일 0.5-2g을 2-4회 분할 정주 또는 근주
금기/신중투여
본제 쇽 기왕력자,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과민자, 저체중출생아, 신생아, 영/유아, 소아(근주), 리도카인 등의 아닐리드계 국소마취제과민반응 기왕력자(근육주사에 한함.) / 본제 또는 세펨계 항생물질에 과민증 기왕력자, 페니실린계 항생물질에 과민증 기왕력자, 본인이나 가족이 알러지 체질인 자, 중증 신장애, 경구섭취 불량 환자, 비경구 영양환자, 고령자, 전신상태 나쁜 환자.
부 작 용
쇽, 불쾌감, 어지러움, 발진, 두드러기, 홍반, 가려움, 림프절 종창, 관절통, 독성 표피괴사용해, 빈혈, 과립구 감소, 적혈구 감소, 호산구 증가, 혈소판 감소, 범혈구 감소, 용혈성 빈혈, 황달, 급성 신부전, 위막성 대장염, 복통, 빈번한 설사, 발열, 기침, 호흡곤란, 간질성 폐렴, 경련, 구내염, 칸디다증, 비타민 K 결핍증상, 비타민 B군 결핍증상, 어지러움, 두통, 권태감, 마비감
histal
성분/분류 : trimebutine maleate 외/소화성 궤양용제
효능/효과
소화성궤양에 따른 다른 증상의 개선, 위산 과다, 속쓰림, 위부불쾌감, 위부팽만감, 식체, 구역, 구토, 위통, 신트림, 소화불량
용법/용량
성인 1회 2정, 1일 3회
신중투여
본제로 인한 알러지 기왕력자, 다른 약물을 투여받고 있는 한자, 신간장애, 의사의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부 작 용
발진, 가려움, 졸음, 현훈, 권태감, 두통, 변비, 입마름, 심계항진 등
renormal
dried aluminium hydroxide gel 외/제산제
효능/효과
위산과다, 속쓰림, 위부불쾌감, 위부 팽만감, 식체, 구역, 구토, 위통, 신트림
용법/용량
성인 1회 3정, 1일 3회
신중투여
신장애, 타 약물 투여자
부 작 용
변비, 설사
4. 투약(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5. 진단적 검사결과
X-ray
Lt. #2,3,4 fingers AP
1월 3일(op전)
왼손에 3,4번째 손가락에 amputation되었음
1월 4일(op후)
왼손의 2,3번째 손가락에 핀이 박혀 있음.
chest PA
특별한 이상 소견 없음.
immunoserology
HBsAg
0.90/N(S/N)
검사결과 정상
HBsAb
6.1/N(mIU/ml)
HCVAb
Negative
HIV Ab
Negative
urinalysis
Clucose
1+
Hematology
RBC
4.14(M/uL)
정상범위보다 낮게 나왔으나 특별한 위험 요인 없음.
Hb
12.8(g/dL)
PLT
134(IS/uL)
chemistry
검사 결과 정상
cogulation
검사 결과 정상
Blood bank
ABO 혈구형
O형
RH+ O형
ABO 혈청형
O형
RH
RH+
7. 참고 문헌
성인 간호학 하 Ⅱ 서문자 외 2000년 수문사
간호과정론 김매자 외 1992년 서울대학교 출판부
임상 및 진단검사와 간호편람 오송자 외 1997년 청구문화사
임상간호 메뉴얼 Sigma Theta Tau Lambda 1999년 현문사
Ⅲ 결론
한마음 병원 무궁화 병동을 실습하면서 대상자에게 많은 간호를 적용하지 못하였지만 amputation 대상자의 절망적이고 신체상의 장애 등 심리적인 부분이 많이 작용하여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았으며 지금까지 봐왔던 대상자들과 다르게 접근해야 함을 알 수 있었고 대상자에게 적용해야할 간호 및 중재 또한 신체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대상자가 겪고 있는 심리적인 문제에 접근하고 간호와 중제를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던 것 같았습니다.
대상자는 손가락 amputation으로 인하여 입원하셨으며 그로 인하여 나타나는 통증에 대한 문제를 간호 중재 하였으며, amputation된 신체에 대하여 부정적인 감정이 너무 큰 부분을 차지하고 계셨으며 그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문제를 사정하고 중재하고 그 외 자가간호 결핍과 수술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감염의 위험성과 음식 섭취가 부적절하여 나타날 수 있는 영양결핍에 대하여 중재를 하였으며 위와 같은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중재를 하였습니다.
효 능/효 과
류마티양, 관절염, 근육통, 신경통, 외상 후수술 후 동통, 두통, 치통, 이통, 월경통
금기/신중투여
소화성궤양, 본제과민증자, 임부 / 소화성궤양, 기왕력자
부 작 용
소화기계 부작용으로 위장출혈, 소화성 계양 및 천공이 나타남
그 외 구역, 현기증, 졸음, 두통, 식은땀, 한기, 다행증
adikan
성분/분류 : amikacin sulfate/항생제
효 능/효 과
폐혈증, 균혈증, 호흡기, 골 및 관절, 중추 신경계, 피부 및 연조직의 염증, 복막염, 화상 및 수술 후 감염증, 심한 복합감염 및 재발성 요로 감염증 질환에 사용
용 법/용 량
근주 : 1일 15mg/1kg을 2-3회 분할 투여
정주 : 용량은 동일하나 500mg을 멸균 생리식염수 20ml 또는 5%포도당액에 희석하여 30-60분간 주사
금기/신중투여
본제 또는 다른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물질 및 바시트라신 과민증 기왕력자 /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물질에 의한 난청자 또는 그 외 난청자 및 가족력자, 간/신장애, 신생아/미숙아, 경구섭취 불량, 비경구영양, 고령자, 전신상태불량, 비경구적 폴리믹신/보툴리누스 투여자, 내이/중이질환, 중증신부전, 파킨슨병
부 작 용
쇽, 발진, 가려움증, 발열, 이명, 이통, 현기, 난청, 급성신부전증, 부종, 단백뇨, 혈뇨, GOTGPTALP상승, 백혈구 감소, 호산구 증가, 설사, 구역, 구토, 비타민 K 결핍증상, 비타민 B군 결핍증상, 주사부위 동통, 입술의 마비감
cefotiam
성분/분류 : cefotiam hydrochloride/3세대 항생제
효 능/효 과
패혈증, 수술후 창상, 화상후 감염, 피하농양, 용종, 종기, 종기증, 골수염, 화농성 관절염, 편도염(편도주위염, 편도주위농양), 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감염시), 폐렴, 폐농양, 농흉, 담관염, 담낭염, 복막염, 신우신염, 방광염, 요도염, 전립선염, 수막염, 자궁내감염, 골반사강염, 자궁주위조직염, 자궁부속기염, 바토린선염, 중이염, 부비동염
용 법/용 량
성인 : 1일 0.5-2g을 2-4회 분할 정주 또는 근주
금기/신중투여
본제 쇽 기왕력자,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과민자, 저체중출생아, 신생아, 영/유아, 소아(근주), 리도카인 등의 아닐리드계 국소마취제과민반응 기왕력자(근육주사에 한함.) / 본제 또는 세펨계 항생물질에 과민증 기왕력자, 페니실린계 항생물질에 과민증 기왕력자, 본인이나 가족이 알러지 체질인 자, 중증 신장애, 경구섭취 불량 환자, 비경구 영양환자, 고령자, 전신상태 나쁜 환자.
부 작 용
쇽, 불쾌감, 어지러움, 발진, 두드러기, 홍반, 가려움, 림프절 종창, 관절통, 독성 표피괴사용해, 빈혈, 과립구 감소, 적혈구 감소, 호산구 증가, 혈소판 감소, 범혈구 감소, 용혈성 빈혈, 황달, 급성 신부전, 위막성 대장염, 복통, 빈번한 설사, 발열, 기침, 호흡곤란, 간질성 폐렴, 경련, 구내염, 칸디다증, 비타민 K 결핍증상, 비타민 B군 결핍증상, 어지러움, 두통, 권태감, 마비감
histal
성분/분류 : trimebutine maleate 외/소화성 궤양용제
효능/효과
소화성궤양에 따른 다른 증상의 개선, 위산 과다, 속쓰림, 위부불쾌감, 위부팽만감, 식체, 구역, 구토, 위통, 신트림, 소화불량
용법/용량
성인 1회 2정, 1일 3회
신중투여
본제로 인한 알러지 기왕력자, 다른 약물을 투여받고 있는 한자, 신간장애, 의사의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부 작 용
발진, 가려움, 졸음, 현훈, 권태감, 두통, 변비, 입마름, 심계항진 등
renormal
dried aluminium hydroxide gel 외/제산제
효능/효과
위산과다, 속쓰림, 위부불쾌감, 위부 팽만감, 식체, 구역, 구토, 위통, 신트림
용법/용량
성인 1회 3정, 1일 3회
신중투여
신장애, 타 약물 투여자
부 작 용
변비, 설사
4. 투약(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5. 진단적 검사결과
X-ray
Lt. #2,3,4 fingers AP
1월 3일(op전)
왼손에 3,4번째 손가락에 amputation되었음
1월 4일(op후)
왼손의 2,3번째 손가락에 핀이 박혀 있음.
chest PA
특별한 이상 소견 없음.
immunoserology
HBsAg
0.90/N(S/N)
검사결과 정상
HBsAb
6.1/N(mIU/ml)
HCVAb
Negative
HIV Ab
Negative
urinalysis
Clucose
1+
Hematology
RBC
4.14(M/uL)
정상범위보다 낮게 나왔으나 특별한 위험 요인 없음.
Hb
12.8(g/dL)
PLT
134(IS/uL)
chemistry
검사 결과 정상
cogulation
검사 결과 정상
Blood bank
ABO 혈구형
O형
RH+ O형
ABO 혈청형
O형
RH
RH+
7. 참고 문헌
성인 간호학 하 Ⅱ 서문자 외 2000년 수문사
간호과정론 김매자 외 1992년 서울대학교 출판부
임상 및 진단검사와 간호편람 오송자 외 1997년 청구문화사
임상간호 메뉴얼 Sigma Theta Tau Lambda 1999년 현문사
Ⅲ 결론
한마음 병원 무궁화 병동을 실습하면서 대상자에게 많은 간호를 적용하지 못하였지만 amputation 대상자의 절망적이고 신체상의 장애 등 심리적인 부분이 많이 작용하여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았으며 지금까지 봐왔던 대상자들과 다르게 접근해야 함을 알 수 있었고 대상자에게 적용해야할 간호 및 중재 또한 신체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대상자가 겪고 있는 심리적인 문제에 접근하고 간호와 중제를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던 것 같았습니다.
대상자는 손가락 amputation으로 인하여 입원하셨으며 그로 인하여 나타나는 통증에 대한 문제를 간호 중재 하였으며, amputation된 신체에 대하여 부정적인 감정이 너무 큰 부분을 차지하고 계셨으며 그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문제를 사정하고 중재하고 그 외 자가간호 결핍과 수술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감염의 위험성과 음식 섭취가 부적절하여 나타날 수 있는 영양결핍에 대하여 중재를 하였으며 위와 같은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중재를 하였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