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묵자의 생애와 시대배경
2.묵자의 겸애사상
3.묵자의 사회상
4.묵자의 경제사상
5.묵자의 정치사상
6.맺음말
2.묵자의 겸애사상
3.묵자의 사회상
4.묵자의 경제사상
5.묵자의 정치사상
6.맺음말
본문내용
의존하지 않는 세력(-가령 상업적 세력)이 사회의 중심적 세력이 될 수 있어야 하는데, 그것은 불가능한 것이었습니다. 나아가 상업문명이 과연 바람직한가 하는 문제가 제기됩니다. 중국은 상업문명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문명, 타락한 문명으로 규정짓는 선택을 하였습니다. 그것은 유가사상에 의하여 이루어졌습니다. 상업은 철저하게 억제되었고 상인계급은 최하층의 계급으로 규정되었던 것입니다. 묵가(墨家)의 운명도 그러하였습니다. 묵가는 한때 대단한 세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묵자의 또 하나의 중요한 사상이었던 평화사상을 실천하는 묵자의 추종자들은 군대를 편성하여 평화를 위한 방어전에 자원하여 참가하기도 하였습니다. 묵가학파는 기원전 3세기 경에 소멸하였으며 그 소멸한 이유는 명백하지 않습니다. 다만 서구 근대사상과 동일한 사상이 농업사회에 실현될 수는 없었던 것은 명백합니다. 묵가는 탄압받았고 그의 사상은 매몰되었고 그의 사상을 적은 책은 뜻이 통하게 읽힐 수가 없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묵가의 사상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2,000여년을 기다려야 하였던 것입니다. 서구 근대사회에 이르러서야 그의 사상은 서구인들에 의하여 (그와는 관계없이) 현실에 실현되었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