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 <형태론> 총정리 완벽 서브노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문법] <형태론> 총정리 완벽 서브노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7차 교육과정(문법)

* 중등 국어 기출문제

1. 단어의 형성
1. 1. 형태소와 단어

2. 단어 형성법
(1) 파생어 형성
(2) 합성어 형성

2 품사
2.1. 체언 : 명사, 대명사, 수사
(1) 명사(名詞)
(2) 대명사
(3) 수사
2.2 관계언 : 조사
(1) 격조사
(2) 접속조사
(3) 보조사

3. 용언(用言) :동사 형용사
(1)동사, 형용사

4. 수식언: 관형사, 부사

5. 독립언: 감탄사

본문내용

용하는 용언을 조사하여 유형별로 정리하여 보자.
① 어간이 바뀌는 경우
갈 래
내용(조건)
용 례
규칙 활용 예
‘ㅅ’불규칙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탈락
잇+어→이어, 짓+어→지어, 낫다→나아
벗어, 씻어
‘ㄷ’불규칙
‘ㄷ’이 모음 어미 앞에서 ‘ㄹ’로 변함
걷(步)+어→걸어, 묻(問)+어→물어
묻(埋)어, 얻어
‘ㅂ’불규칙
‘ㅂ’이 모음 어미 앞에서 ‘오/우’로 변함
눕+어→누워, 줍+어→주워, 돕+아→도와
잡아, 뽑아
‘르’불규칙
‘르’가 모음 어미 앞에서 ‘ㄹㄹ’형태로 변함
흐르+어→흘러, 이르+어→일러,나르다
따라, 치러
‘우’불규칙
‘우’가 모음 어미 앞에서 탈락
퍼(푸+어)
주어, 누어
② 어미가 바뀌는 경우
갈 래
내용(조건)
용 례
규칙 활용 예
‘여’불규칙
‘하-’뒤에 오는 어미‘-아/-어’가 ‘-여’로 변함
공부하+어→공부하여
파+아→파
‘러’불규칙
어간이 ‘르’로 끝나는 일부 용언에서 어미‘-어’가 ‘러’로 변함
이르(至)+어→이르러, 누르(黃)+어→누르러
치르+어→치러
‘너라’불규칙
명령형 어미인 ‘-거라’가 ‘-너라’로 변함
오+거라→오너라
가거라, 있거라
‘오’불규칙
‘달-/다-’의 명령형 어미가 ‘오’로 변함
다+아→다오
주어라
③ 어간과 어미가 바뀌는 경우
갈 래
내용(조건)
용 례
규칙 활용 예
‘ㅎ’불규칙
‘ㅎ’으로 끝나는 어간에 ‘-아/-어’가 오면 어간의 일부인 ‘ㅎ’이 없어지고 어미도 변함
파랗+아→파래
좋+아서→좋아서
4. 수식언: 관형사, 부사
(1) 관형사
1) 관형사의 개념: 체언 앞에서 그 체언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어떠하다고 꾸며 주는 말을 관형사라 하는데, \'어떤 무엇이\'의 \'어떤\'에 해당하는 말이다.
2) 관형사의 성격
① 관형사는 체언 앞에서 그 체언을 꾸며 준다.
② 관형사는 체언 중 주로 명사를 꾸며 준다.
③ 관형사는 체언 중 수사와 결합할 수 없다.
④ 관형사는 문장 안에서 관형어로만 쓰인다.
⑤ 관형사가 나란히 놓일 때는 뒤의 것을 꾸미는 것처럼 보이나, 궁극적으로 뒤따르는 명사를 꾸민다.
⑥ 관형사는 불변어이다.
⑦ 관형사는 조사와 결합할 수 없다.
예) 새 옷, *새가 옷, 새를 옷
3) 관형사의 종류
① 성상 관형사
성상 관형사는 체언의 성질이나 상태가 ‘어떠하다’고 꾸며 주는 구실을 한다.
고유어
시, 헌, 첫, 옛, 외딴, 거짓, 윗, 오른
한자어
雜, 生, 新, 超, 異, 今
성상 관형사는 고유어로 된 것과 한자어로 된 것이 있다. 한자어 관형사는 ‘雜誌, 生活, 新聞’ 등과 같이 단어 구성의 요소로도 쓰이는데, 이 때에는 관형사가 아니다.
② 지시 관형사
지시 관형사는 말하는 이가 주관적으로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 등을 가리키어 꾸며 주는 구실을 한다.
예) 이 운동은 마침내 국민들의 호응을 받았다.
지시 관형사는 발화 현장이나 문장 밖에 존재하는 대상을 가리킨다.
예) 틀림없이 조 아이의 소행일 거야. (발화 현장에 존재하는 아이 지칭)
다른 분들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문장 밖에 존재하는 사람 지칭)
‘요, 고, 조’는 ‘이, 그, 저’의 작은 말이다.
지시 관형사, 성상 관형사, 수 관형사가 함께 배열될 때에는, ‘지시 관형사+수 관형사+성상 관형사’의 순서에 따른다.
‘이, 그, 저’가 대명사로 쓰일 때에는 조사를 동반하는데, 비록 조사가 붙지 않았다 해도 내용상 ‘이것, 그것, 저것’으로 대치할 수 있으면 관형사가 아닌 대명사이다.
예) 이 가운데⇒이것 가운데
4) 수 관형사
수 관형사는 사물의 수나 양을 지시하여 꾸며 준다.
수 관형사는 대체로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 앞에 오지만, 자립 명사 앞에도 온다.
예) 잣나무 열 그루를 심었다.
모든 학생들이 즐거워했다.
수 관형사와 수사의 구별은 조사를 취할 수 있는가에 의하여 구별하는데, 조사를 취하면 수사이다.
예) 첫째 분이 나의 형이다. (수 관형사)
첫째로 남에게 친절하라. (수사)
수사가 명사 앞에 놓여 수 관형사가 될 때에는 형태가 같은 것이 보통이지만, 기본적 수 관형사는 형태를 달리하는 말이 많다.
예) 수사: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수 관형사: 한, 두, 세, 네, 닷, 엿
관형사의 종류관형사
의미
용례
비고
성상관형사
상태
온갖, 새, 헌, 헛, 순(純), 주(主), 정(正), 준(準), 대(大), 소(小)…
명사의 성질이나 상태를 꾸며주는 관형사
정도
오직(부사논란), 바로, 고작, 겨우, 진짜, 단지(但只), 유독(惟獨), 무려(無慮), 약(若) …
지시관형사
공간
이, 그, 저, 요, 고, 조, 이런, 그런, 저런, 다른[他], 뭇, 무슨, 아무…
다른(異):형용사
시간
옛, 올, 현(現), 신(新), 구(舊), 전(前), 후(後), 래(來)…
수관형사
양수
한, 두, 세(석, 서), 네(넉, 너), 다섯(닷), 엿, 일곱, 여덟, 아홉, 열, 열한, 열두, 열세(석, 서),… 스무, 스물한, 스물두…, 한두, 두세, 서너, 너댓(너덧), 두서너, 몇몇, 여러 …
서수
정수
첫, 첫째, 둘째, 셋째…, 제일(第一), 제이(第二), 제삼(第三)…
한째→첫째
양수 관형사 한이 서수관형사로 쓰일 때 변형되어 나타내는 보충법 현상
부정수
한두째, 두어째, 몇째, 여남은째 …,한두째, 두세째, 서너째, 너댓(너덧)째, 두서너째, 몇몇, 여러 …
한두 번째, 두어 번째…
(2) 부사
1) 부사의 개념: 주로 용언 앞에 놓여서 뒤에 오는 용언을 한정하여 그 의미를 더욱 분명히 해 주는 말을 부사라 한다.
2) 부사의 성격
① 부사는 어형이 고정된 불변어이다.
② 부사는 시제나 높임 표시를 못한다.
③ 부사는 격조사를 취하는 일은 없으나, 보조사를 취하는 일은 있다.
예) 올 겨울은 너무도 춥다. 참 빨리도 간다.
④ 때로는 성분 부사가 서술성을 가지기도 한다.
예) 자본도 없이 사업을 하려느냐? 그는 뛸 듯이 기뻐했다.
3) 부사의 종류
① 성분 부사: 문장의 성분을 꾸며 주는 부사
㉠ 성상 부사: 상태나 정도를 나타내면서 ‘어떻게’의 방식으로 다른 말을 꾸미는 부사
예) 상태: 빨리, 갑자기, 깊이, 많이, 펄쩍
정도: 매우, 퍽, 아주, 너무, 잘
㉡ 지시 부사: 발화 현장을 중심으로 장소나 시간

키워드

형태론,   문법,   단어,   품사,   용연,   낱말,   교육과정,   임용고사
  • 가격1,8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06.01.15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2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