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의 형태론적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사의 형태론적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시작하는 말

Ⅱ. 歌辭體의 發生
1. 高麗歌謠(俗謠와 景幾體歌)起源設
2. 時調 起源設 / 3. 漢詩懸吐 起源設
4. 樂章 起源設 / 5. 敎述民謠 起源設
6. 新羅歌謠(佛敎詩) 起源設
7. 綜合 장르 起源設

Ⅲ. 가사의 역사적 전개과정

Ⅳ. 가사의 기본 형태
1. 非聯詩型 / 2. 音步律 / 3. 音節律
4. 結句形式

Ⅴ. 고산 윤선도「漁父四時詞」에 대한 새로운 해석
1.「漁父四時詞」를 시조가 아닌, 가사로
보아야 한다.
2.「漁父四時詞」의 원전모색(原典摸索)
3.「漁父四時詞」에 대한 의견 정리

Ⅵ. 맺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발전하다가 다시 民謠와 巫歌 및 범패등의 영향으로 생성되었다“라고 하였고, 전일환은 가사는 민요적인 律調의 바탕위에 鄕歌, 高麗俗謠, 景幾體歌, 樂章時代를 거치면서, 中國의 漢詩, 辭賦 등의 영향아래 독창적 시형으로 형성되었다”라고 하였다.
이상의 綜合장르 起源設의 견해는, 기존의 주장들이 부분적 合理性이 있으나, 기왕의 여러 가지 설들은 전체로 보는 綜合的인 시각을 지니지 못하고 있으며, 어느 한 곳의 同質性을 들어 歌辭體의 淵源을 밝히고 있는데 반해서, 綜合設은 巨視的 안목이긴 하지만 명확한 주장이 없다는 反論이 있다.
이제까지 가사체의 발생에 대하여 검토한 바, 가사의 기원은 前代의 어느 특정한 詩歌의 단선적 영향이라기보다 4음보 선율과 민요적 율조의 바탕 위에서, 멀리 향가를 거쳐, 고려속요, 경기체가 등의 시형이 소멸되는 과정에서 가장 편의한 형식으로 발전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는 漢詩의 四言五言七言의 형식이 첨가되어 보편적이고 독특한 가사형식이 발생된 것으로 조심스럽게 이들의 주장에 동조해본다.
지금까지 가사체의 기원은 전대시가의 어느 외형상의 유사점을 들어 선입견적인 관점으로 논리적 전개를 시도했으나, 우리 가사문학은 어느 한 시형의 영향을 갑자기 받고 이루어진 장르라기보다 장구한 세월 동안 기본적인 율조를 바탕으로 우리 사상과 감정을 자유로이 표출할 수 있는, 산문문화를 지향한 사회적 욕구를 수용한 새로운 문학 형식으로 발전되었다는 綜合된 개념으로 파악할 수가 있다.
Ⅲ. 가사의 역사적 전개과정
가사는 그 역사적 전개 과정으로 볼 때, 분명하게 선을 그어 설명할 수 없지만, 대체로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그것은 조선 초기의 양반 가사가 중심이 되던 시기, 조선 후기의 평민 가사가 지배적이던 시기, 그리고 개화기 가사가 나타나고 전대 가사의 잔존이 이와 병행되는 시기가 그것이다.
조선 초기의 가사는 시조와 함께 양반 사대부들의 가창 문학으로 분명하게 자리하게 된다. 사대부들은 강호 생활의 즐거움(정극인 <상춘곡>, 송순 <면앙정가>, 정철 <성산별곡>)이나 유배 생활에서의 회한과 회귀 의지(정철의 양미인곡, 조위의 <만분가>), 백성 교화(이황 <도덕가>, 이이 <자경별곡>, 위백규 <권학가>) 등을 읊었고, 때로는 기행 가사(백광홍 <관서별곡>, 정철 <관동별곡>, 위백규 <금당별곡>), 전쟁 및 우국 가사(양사언 <남정가>, 박인로 <태평사>, 허전 <고공가>)도 썼다.
후기의 가사는 시대적 상황과 결부되어 현실주의적 사고와 평민 의식이 강하게 나타난다. 사회 모순의 폭로와 비판(<평민가>, <거창가>, <화전가>, <우부가>, 연정 및 신세 한탄(<규수상사곡>, <청춘과부곡>, <청상가>, <과부가>), 인생 무상과 취락(<화성곡>, <유산가>, <백구사>, <사시풍경가>), 소박한 꿈과 소망(<농부가>, <치산가>, <용가>, <명당가>)등을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다.
또 규방 가사에는 속박된 여성 생활의 면모와 고민이 잘 나타나 있다. (<계녀사>, <규행가>, <여탄가>, <상사몽>, <화전가>). 더불어, 양반 가사도 생활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는 방향으로 바뀌어 평민 가사와의 거리가 단축되었는데, 기행 가사나 유배 가사에서도 이런 경향을 찾을 수 있다.
개화기 가사는 시대와 결부된 사회 문제와 고민을 담고 있어서 전대 가사와 변별되는 문학사적 성격을 지닌다. (<애국가>, <동심가>, <자주독립가>, <애민가>). 그리고 침굉선사의 <귀산곡>같은 불교 가사, 정약전권상학이총억 등의 <십계명가>와 같은 천주교 가사, 최제우의「용담유사」(<용담가>외 9편)와 같은 동학가사도 나왔다.
Ⅳ. 가사의 기본 형태
가사문학의 기본 형태로는 주로 非聯詩型, 音步律, 音節律, 結句形式 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가사는 짧은 시조 같은 단가 형식으로는 복잡한 정서를 표현하기가 부족하였는지, 34조 또는 44조로 연속되는 가사가 발생하게 되었다. 강문선 외, (문학자습서: 지학사, 2001), p.266.
대체로 볼 때 가사의 형식은 34조나 44조, 또는 3434조나 4444조의 音數律이란 견해와 4음보의 연속이란 견해, 그리고 가사의 縱行은 시조의 종장 형식을 취한다는 주장이 대부분이다. 류연석, 남도문화연구 제3집(순천대, 1990), p11.
따라서 가사의 형식상 특징을 고찰하는 먼저 이러한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1. 非聯詩型
먼저 歌辭의 형태에 대한 여러 문제를 고찰하기에 앞서서 그 기본 형태를 살펴보아야 하겠다.
한국 歌辭의 기본 형태를 연시형과 비연시형으로 분류해 볼 때, 고려 시대의 정형시인 별곡이나 속요와 조선조 초기의 악장이 연시형이라면, 신라 시대의 향가나 조선조 시대의 시조와 같이 歌辭는 비연시형에 속한다고 보겠다.10) 류연석, 앞의 책, p.460.
다같은 非聯時이면서도 鄕歌나 時調는 詩行이 제한되어 있지마는, 歌辭에 있어서는 詩行의 제한을 받지 않고 詩想에 따라 얼마든지 길게 지을 수 있는 장편성을 띠고 있는 詩型이 라 하겠다.
하지만 ‘일동장유가’ 나 ‘북천가’ 와 같은 작품은 시행이 수 백행이나 되고, 산문성을 띠고 있어서, 이것이 과연 歌辭로 볼 수 있느냐하는 문제가 제기될 정도로 방대한 작품도 창작되었다.
정리해보자면 비연시형이란 무제한으로 연속된 자유로운 형식으로, 가사는 비연시로되 시행에는 제한이 없고, 평시조와 같이 일률적으로 4음보격으로 되어 있고, 주로 3434조와 3444의 음절률로 되어 있다.
2. 音步律
음보라는 것은 시에 있어서 운율을 이루는 기본 단위인데, 하나의 강음절(强音節)을 중심으로 그것에 어울리는 약음절(弱音節)이 한 음보를 이루지만, 우리나라 시의 경우 대체로 휴지(休止)의 주기라고 할 수 있는 3음절이나 4음절이 한 음보를 이룬다.
우리의 전통시가 형태를 구성하고 있는 율격은 字數에 의한 음절률에서 보다는 음보율에서 찾고자 한 노력이 의의가 있다.
우리 시가의 시행은 크게 나누어 3음보와 4음보의 이중으로 볼 수 있는데, 이중에 고려가요, 민요 등이 3음보의 형태를 취하고 있고, 시조가사잡가민요창가 등에는 4음보가 나타난다.
紅塵에/ 묻힌 분네/ 이내 生涯/ 어떠한고//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1.17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6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