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피면담자의 학교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의 방법
2.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의 인식도
3. 문제점과 그 원인
Ⅲ. 결론
Ⅱ. 본론
1. 피면담자의 학교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의 방법
2.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의 인식도
3. 문제점과 그 원인
Ⅲ. 결론
본문내용
를 늘리고 교육과정도 교사의 재량으로 다룰 수 있는 시간이 늘려지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 물론, 이것만으로도 해결이 완벽히 가능하다고는 볼 수 없지만 어느정도는 일시적인 해결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부터라도 조금씩 해나가야 하지 않을까.
3.수행평가 문제점과 해결방안
① 진짜 수행을, 즉 과정을 평가하는 것이 되려면 같은 수준 속에서 경쟁해야 한다. 수행평가의 결과에 있어서 잘하는 애가 원래 실력 때문에 점수를 잘 받고 못하는 애가 열심히 노력했는데도 점수를 낮게 받는다면 (물론 실력의 차이가 있으므로 당연한 점수의 차이겠지만) 못하는 학생은 자신이 열심히 해왔던 것에 대한 좌절감과 실망감을 겪게 될 것이고 또한, 이것은 다음에 그 학생이 다른 수행평가나 과제를 하는데 있어서 처음부터 포기하게 만들어 버리는 교육실패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교육상황에 있어서 수준별 학습 상황으로 바꾸어 학생의 수준에 맞는 수행평가가 이루어지게 해야한다.
또한, 학생들의 수준을 아무리 고려해서 수행평가를 실시한다고 하여도 잘하는 학생에게 수행평가의 수준이 너무 낮으면 그 학생은 수행평가의 수준을 경시하여, 너무 쉬워서 수행평가에 대한 참여를 적극적으로 하지 않게 되어 그 수행평가를 같이 하는 다른 학생들에게 까지 영향을 미쳐, 수행평가의 분위기나 신뢰도를 흐릴 우려가 있으며, 못하는 학생에게 수행평가의 수준이 너무 높으면 학생은 처음부터 해보지도 않고 포기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에서도 수준별 학습상황이 이루어져,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수행평가가 이루어지게 해야한다.
② 내가 조사한 사례는 중학교 1학년 학생이다. 중학교 1학년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걸맞는 수행평가가 이루어 져야 한다. 즉, 이 학생의 경우 갓 중학교에 들어왔을때는, 1학기동안 수행평가 방식에 잘 적응을 하지 못했다고 한다.
선생님: 아 그럼 혹시 이런분위기.. 막 수행평가 볼때 미리 준비해가는게 점수에 많이 들어가니까 다들 열심히 하구 그러는게.. 초등학교랑은 조금 틀리니?
학생 : 네.. 초등학교때랑은 좀 달라요
선생님: 어떻게 달라?
학생 : 초등학교때는 그냥 별 부담없이 했는데 막 중학교올라오니까 그게아니라 분위기도 쫌 다르구
선생님: 어떤식으로? 경쟁?
학생 : 네 그런분위기요 그래서 막 열심히해야되구 다들 열심히하니까...
선생님: 그럼 처음에 막 중학교 들어갔을때는 이런분위기에 적응이 잘
3.수행평가 문제점과 해결방안
① 진짜 수행을, 즉 과정을 평가하는 것이 되려면 같은 수준 속에서 경쟁해야 한다. 수행평가의 결과에 있어서 잘하는 애가 원래 실력 때문에 점수를 잘 받고 못하는 애가 열심히 노력했는데도 점수를 낮게 받는다면 (물론 실력의 차이가 있으므로 당연한 점수의 차이겠지만) 못하는 학생은 자신이 열심히 해왔던 것에 대한 좌절감과 실망감을 겪게 될 것이고 또한, 이것은 다음에 그 학생이 다른 수행평가나 과제를 하는데 있어서 처음부터 포기하게 만들어 버리는 교육실패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교육상황에 있어서 수준별 학습 상황으로 바꾸어 학생의 수준에 맞는 수행평가가 이루어지게 해야한다.
또한, 학생들의 수준을 아무리 고려해서 수행평가를 실시한다고 하여도 잘하는 학생에게 수행평가의 수준이 너무 낮으면 그 학생은 수행평가의 수준을 경시하여, 너무 쉬워서 수행평가에 대한 참여를 적극적으로 하지 않게 되어 그 수행평가를 같이 하는 다른 학생들에게 까지 영향을 미쳐, 수행평가의 분위기나 신뢰도를 흐릴 우려가 있으며, 못하는 학생에게 수행평가의 수준이 너무 높으면 학생은 처음부터 해보지도 않고 포기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에서도 수준별 학습상황이 이루어져,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수행평가가 이루어지게 해야한다.
② 내가 조사한 사례는 중학교 1학년 학생이다. 중학교 1학년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걸맞는 수행평가가 이루어 져야 한다. 즉, 이 학생의 경우 갓 중학교에 들어왔을때는, 1학기동안 수행평가 방식에 잘 적응을 하지 못했다고 한다.
선생님: 아 그럼 혹시 이런분위기.. 막 수행평가 볼때 미리 준비해가는게 점수에 많이 들어가니까 다들 열심히 하구 그러는게.. 초등학교랑은 조금 틀리니?
학생 : 네.. 초등학교때랑은 좀 달라요
선생님: 어떻게 달라?
학생 : 초등학교때는 그냥 별 부담없이 했는데 막 중학교올라오니까 그게아니라 분위기도 쫌 다르구
선생님: 어떤식으로? 경쟁?
학생 : 네 그런분위기요 그래서 막 열심히해야되구 다들 열심히하니까...
선생님: 그럼 처음에 막 중학교 들어갔을때는 이런분위기에 적응이 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