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는 것은 고전소설이 갖는 美學的 특성으로서만 해명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는 고전소설의 여러 형식적인 특성 중에서도 이야기의 환상적인 국면을 주안점 으로 삼았던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비현실적인 이야기 속에서 환상적인 국면은 주인공과 수용층의 경이감을 형식상의 특성으로 한다. 또한 환상적인 이야기의 독 서는 줄거리를 따라 읽어 나가는 순진한 독서행위 속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이지 해 석의 문제는 아니다. 여기에 더해서 환상적 이야기는 알레고리나 시적인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는 해석상의 특성을 갖고 있다.
<최치원>은 『태평통제』에 실려 있다. 최치원이 초현관에 놀러갔다가 요절하여 죽은 장씨의 두 딸을 만나 시를 주고 받고 사랑을 나누다 헤어진 하루 밤의 일을 서술한 이야기이다. 혼사에 불만을 품고 요절한 두 여인과 현실에 살고 있는 인간 사이의 사랑을 그린 특이한 내용, 그들의 연애 감정을 묘사하는 아름다운 문장과 시, 이런 것들이 『수이전』의 여러 작품 중에서도 특히 이 이야기를 돋보이게 하는 요소이다. 『수이전』일문 가운데 소설의 개념 및 발생 문제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주목받고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최치원과 두 원귀의 만남이라는 환상적 神異談을 내부이야기로 하는 구성방식을 취하고 있다. 역사적 인물인 최치원의 행적을 내부이야기의 앞뒤에 배치하여 도입종결액자로 처리하는 방식을 통해 인물과 시대적 배경을 구체화시킴으로써 작품의 현실적 의미를 드러내고 있다. 주인공들의 만남을 통해 제시되는 작중인물의 내적 갈등과 고뇌는 외부로 드러난 것 이상의 심각성을 띠고 있으며, 그것이 주로 대화나 詩辭의 교환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독특한 서정소설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또한 최치원전이 우리문학사에 주는 의의는 최치원전이 설화가 아닌 소설로 보았을 때 우리나리의 최초 소설 발생을 금오신화가 아닌 최치원전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는 알아야 한다. 그마만큼 최치원전에 대한 연구는 우리 고전소설사에 차지하는 비중과 의미가 중요하다. 아울러 최치원은 실제 인물 최치원의 傳記가 아닌, 그를 모델로 하여 창작된 傳奇文學으로 허구성이 돋보이는 소설이며, 다분히 전형적인 전기소설의 형태를 지닌 소설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최치원전은 <금오신화>가 규정한 견해에 모두 부합함으로 훌륭한 전기 소설로 간주되어야 하고, 종래에 가졌던 시각에서 새로운 시각과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그러나 이 논의를 통해 한국 고전소설의 비현실성 속에는 중요한 美學的 價値, 즉, 환상성이 깃들어 있음을 드러내는 것만으로 고전의 美學이 현대에로 계승접맥될 수 있을 것임을 가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현대에서 비현실적이라고 느낄 사건에 대해 주목함으로써 현대소설이 지향할 사실과 虛構 사이의 中間路를 찾아내는데 一助가 되리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Ⅳ. 참고문헌
김기동(1992),『이조시대 소설론』,이우출판사.
김현양 외 공역(1996), 『수이전 열문』, 박이정.
김성용(1998),「한국 고전소설의 환상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정석(1987), 「전기문학 <최치원>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방정요(1994), 홍상훈 역, 『중국소설비평사략』, 을유문화사.
소인호(1998),『한국 전기문학 연구』,국학원자료원
이상택(1981), 『한국 고전소설의 탐구』, 중앙출판인쇄.
이헌홍
토도로프(1996), 『루소론 환상문학 서설』, 한국문화사.
방정요(1994), 홍상훈 역, 『중국소설비평사략』, 을유문화사.
캐스린 흄(2000), 한창엽 역,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로즈메리 잭슨(2001), 서강여성문학연구회 역,『환상성:전복의 문학』, 문학동네
<최치원>은 『태평통제』에 실려 있다. 최치원이 초현관에 놀러갔다가 요절하여 죽은 장씨의 두 딸을 만나 시를 주고 받고 사랑을 나누다 헤어진 하루 밤의 일을 서술한 이야기이다. 혼사에 불만을 품고 요절한 두 여인과 현실에 살고 있는 인간 사이의 사랑을 그린 특이한 내용, 그들의 연애 감정을 묘사하는 아름다운 문장과 시, 이런 것들이 『수이전』의 여러 작품 중에서도 특히 이 이야기를 돋보이게 하는 요소이다. 『수이전』일문 가운데 소설의 개념 및 발생 문제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주목받고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최치원과 두 원귀의 만남이라는 환상적 神異談을 내부이야기로 하는 구성방식을 취하고 있다. 역사적 인물인 최치원의 행적을 내부이야기의 앞뒤에 배치하여 도입종결액자로 처리하는 방식을 통해 인물과 시대적 배경을 구체화시킴으로써 작품의 현실적 의미를 드러내고 있다. 주인공들의 만남을 통해 제시되는 작중인물의 내적 갈등과 고뇌는 외부로 드러난 것 이상의 심각성을 띠고 있으며, 그것이 주로 대화나 詩辭의 교환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독특한 서정소설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또한 최치원전이 우리문학사에 주는 의의는 최치원전이 설화가 아닌 소설로 보았을 때 우리나리의 최초 소설 발생을 금오신화가 아닌 최치원전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는 알아야 한다. 그마만큼 최치원전에 대한 연구는 우리 고전소설사에 차지하는 비중과 의미가 중요하다. 아울러 최치원은 실제 인물 최치원의 傳記가 아닌, 그를 모델로 하여 창작된 傳奇文學으로 허구성이 돋보이는 소설이며, 다분히 전형적인 전기소설의 형태를 지닌 소설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최치원전은 <금오신화>가 규정한 견해에 모두 부합함으로 훌륭한 전기 소설로 간주되어야 하고, 종래에 가졌던 시각에서 새로운 시각과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그러나 이 논의를 통해 한국 고전소설의 비현실성 속에는 중요한 美學的 價値, 즉, 환상성이 깃들어 있음을 드러내는 것만으로 고전의 美學이 현대에로 계승접맥될 수 있을 것임을 가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현대에서 비현실적이라고 느낄 사건에 대해 주목함으로써 현대소설이 지향할 사실과 虛構 사이의 中間路를 찾아내는데 一助가 되리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Ⅳ. 참고문헌
김기동(1992),『이조시대 소설론』,이우출판사.
김현양 외 공역(1996), 『수이전 열문』, 박이정.
김성용(1998),「한국 고전소설의 환상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정석(1987), 「전기문학 <최치원>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방정요(1994), 홍상훈 역, 『중국소설비평사략』, 을유문화사.
소인호(1998),『한국 전기문학 연구』,국학원자료원
이상택(1981), 『한국 고전소설의 탐구』, 중앙출판인쇄.
이헌홍
토도로프(1996), 『루소론 환상문학 서설』, 한국문화사.
방정요(1994), 홍상훈 역, 『중국소설비평사략』, 을유문화사.
캐스린 흄(2000), 한창엽 역,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로즈메리 잭슨(2001), 서강여성문학연구회 역,『환상성:전복의 문학』, 문학동네
키워드
추천자료
원자력 발전 (원자력발전 원전사고)
조선전기 문학, 조선후기 문학의 이해
[발전][전기발전][발전(전기발전) 이론][발전(전기발전) 고안][원자력발전][태양광발전][열병...
조선전기 방외인문학-김시습
[전기문지도][전기문수업][전기문학습][전기문교육]전기문의 유형, 전기문의 사례, 전기문지...
한국전력, 해외원전 최초 수출 성공 - UAE원전사업수주.PPT자료
연료의 종류, 연료와 연료분사장치, 연료와 연료공동구매, 연료의 장단점, 연료와 보일러연료...
2013년 2학기 환경보건윤리및정책 중간시험과제물 D형(후쿠시마원전사고 후 한국원전정책)
[생명과환경] 1.원자력발전의 대안에 대해서 생각해보시오 (원전, 원자력발전의 개요 및 현황...
[원자력발전소 위험성과 원전사고 대책방안] 원자력의 개념(정의), 원자력 발전소 현황, 원전...
탈원전에 대한 찬반의견 [탈원전,원자력발전소,원전,탈원전 찬성,탈원전 반대]
독일의 원전 폐쇄정책
정부의 원자력발전 장기적 포기에 대해 원자력발전으로 생산한 전기의 생산비용이 다른 전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