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문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장애인의 개념

2.장애인 문제

3.해결방향

<사례>

본문내용

회고했다.
하지만 서울대에 합격한 김씨는 `서울대생+장애인=일반인'이 되고 싶었던 소망과 달리 `서울대생+장애인=잘난 장애인'으로 사람들에게 인식됐고 결국 `장애인'의 정체성을 벗어나지 못했다.
김씨의 대학생활도 결코 만만하지 않았다. 넓은 관악캠퍼스는 오르막길과 계단으로 가득 차 있었고 낯선 이들에게 `짐짝'처럼 들려 다니기 일쑤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자퇴하거나 휴학하는 동기 장애학생이 하나 둘씩 늘어갔다. 학교 관계자는 이를 보고 "장애학생의 대인관계 능력이 부족하다"고 낙인찍었다.
김씨는 "청각장애 학생에게 교수님의 강의는 팬터마임에 불과하고 지체장애 학생에게는 춤추고 노래하는 오리엔테이션이 `뻘쭘한' 행사였을 뿐"이라며 "이런 환경을 극복하고 서울대를 졸업하기까지 당사자가 겪을 고통스런 경험에 대해서는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김씨는 장애문제를 이슈화하기 위해 1인 시위도 나서고 동료와 함께 학생식당 앞에서 마이크를 들고 장애학생의 실상에 대해 알리는 `선전활동'도 나섰다.
이 같은 노력의 결실로 법대 건물에 엘리베이터가 생겨나고 장애학생지원센터도 만들어졌다.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문자통역 서비스도 시작됐다. 조금씩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김씨는 "장애를 가진 사람은 무엇이든 잘하는 `슈퍼장애인'과 자신의 장애를 긍정하고 그 권리를 요구하는 `파워장애인' 사이에서 정체성을 고민하게 된다."며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아무리 장애를 `극복'하려 해도 나는 걸을 수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씨는 "이 `장애인의 딜레마' 속에 우리 사회의 딜레마가 있다"고 강조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1.2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5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