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HGDP의 정의 및 배경
2. SNPs과 DNA칩
3. PCR기법 및 응용
4. 약리유전체학
5. 생명공학의 미래 그리고 윤리
♣ 결 론
♣ 참고문헌
2. SNPs과 DNA칩
3. PCR기법 및 응용
4. 약리유전체학
5. 생명공학의 미래 그리고 윤리
♣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더 잘 적응하도록 살 수 있다.
- 환자의 다양성을 만드는 유전적 원인을 밝혀서 중요한 질병들을 더잘 이해하여 새로운 치료법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간암에 관여하는 유전자>
3) 간암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분석 개발연구
; 한국인에서 발생하는 간암은 B형 간염 바이러스 (HBV)에 의한 것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데, 환자마다 간암으로의 진행 정도와 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환자의 단일염기다형성(SNP)을 분석하여 간암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질병 기전의 이해와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간의 IL10유전자의 특정 Haplotype을 가진 환자가 HBV 감염 후 간암으로 빠르게 진행됨을 발견되었다.
특히, 변이를 갖고 있는 사람은 HBV에 노출되어도 간염에 걸리지 않는 것으로 보아 TNFa가 HBV 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TGFb1은 간암환자의 예후와 상관관계가 깊고, 반면에 변이된 IL10의 양이 많은 사람은 간염에서 간암으로의 진행이 빠른 것으로 보아, IL10을 이용한 간암 진행 억제법 개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5. 생명공학의 미래 그리고 윤리
1) 인간다형성프로젝트의 토대
; 인간다형성프로젝트는 분석생화학, 생물정보학, 분석기기들의 개발과 개선을 토대로 하고 있다. 즉 다시 말하면 인간다형성프로젝트는 새로운 학문의 발전과 기술의 발달을 부가가치적으로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2) 유전체 연구의 미래
; 유전체 연구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는데 아무도 의의를 달지 않는다. 아래의 그림외에도 인간의 식량문제를 해결해주며, 식량문제외의 의학의 발달,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나 효소세제의 개발, 에타놀 에너지의 생산, 바이오폴리머의 생산등의 환경문제에도 해답을 줄 수 있을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 아 래 -
3) NIH 가이드 라인
; 1976년 아실로마 국제회의에서 유전자재조합 연구의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1976년에 NIH 가이드라인이 발표되었다. NIH란 National Institues of Health(미국 국립보건연구원)의 약자로서 사람의 건강에 관계되는 모든 문제를 포괄적으로 연구하는 연구기관으로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 연구비를 지원하면서 생명과학에 관한 연구도 병행하는 미국 제 1의 생명과학 연구소이다. NHI 가이드 라인대부분유전자 연구로부터 우연히 만들어질 수 있는 생명체를 우려하여 연구에 사용하는 재료를 다룰 때 주의해야할 사항 등이다.
4) 인간복제에 대한 UN의 대응
; 유엔의 교육과학 문화기구인 유네스코는 1998년 전체회의를 갖고 인간지놈 연구와 응용에 대한 인류최초의 윤리기준을 담은 인간 지놈과 인권보호에 관한 국제선언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 선언의 주요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인간의 유전자는 인류의 유산이다.
둘째 유전적인 특성을 근거로 그 누구도 인권, 기본적 자유, 인가의 존엄성을 차별받지 않는다.
셋째 연구목적으로 이용되는 개인의 유전정보는 비밀이 지켜져야 한다.
넷째 인간의 존엄성을 파괴하는 인간복제는 허용될 수 없으며, 어떤 연구나 응용도 인간의 존엄성에 우선할 수 없다.
다섯째 인간 유전자의 연구는 개인이나 인류 전체의 건강증진이나 유익한 목적으로 이용되어야 한다.
이 선언은 법률적 구속력은 없지만 각 나라들은 이 선언을 기초로 하여 국내법률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선언은 인간복제 및 휴먼 지놈 프로젝트가 주게 될지도 모를 악영향에 대하여 미리 경고하고 있으며, 그 위험성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하는데 더 큰 뜻이 있다고 하겠다.
5) 생명윤리위원회
- 미국의 클린턴 대통령이 설치. 대통령의 직속기구.
생명윤리위원회 내용
- 첫째. 인간복제의 연구비 지원의 중단
- 둘째 앞으로 5년간 인간복제의 관련 연구 지원 중단
; 5년간 유보시킨점에서 우리는 이러한 결정이 생명공학과 생명복제가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는 의학의 발전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21세기 산업에 생명과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최근 각 나락에서는 인간복제에 대한 연구 규제에 대한 입장을 확실이 하지 못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결 론.
- HGDP의 궁극적 목적은 보다 인간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을 저해하는 것이야말로 다른 의미로서 인간 존엄성을 해치는 것은 아닐까?
참고문헌
문헌자료
- 유전학의 이해
13.3 중합효소연쇄반응, 379p. SNPs
저자: Robert H. Tamarin 출판: 라이프사이언스
- 유전3 (기능유전체학)
제 5장 유전체프로젝트 이후, 유전체다양성 연구와
기능유전체학의 전망
저자: 한국유전학회 출판: 월드사이언스
- 누가 인간복제를 두려워 하는가?
2장 복제기술의 현실과 전망
저자: 그레고리 E. 펜스 출판: 양문디자인
- 생명코드 AGCT (유전자가 세상을 바꾼다.)
124p. DNA가 여는 미래
저자: 과학동아 편집부 출판: 아카데미 서적
- 그림으로 펼쳐지는 생명현상의 분자기전
3장 질병과 유전자
저자: 정혜영 출판: 월드사이언스
- 生命과의 대화
3.부모 닮은 자식 (유전)
저자: 이우성 출판: 서경대학교 출판부
- 21세기 생활의 지혜 밀레니엄 과학 밀레니엄 기술
154p ~ 159p 유전자지도,증폭,진단,치료,칩
저자: 김경제 외 5명 출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유전자 조작과 현대윤리
제11장 유전자 재조합과 현대윤리
저자: 정상진 출판: 탐구당
인터넷 자료
// 21cqenome.kribb.re.kr (인간유전체 기능 연구 사업단)
// www.snp-genetics.com
http//www.snp-genetics.com/epi/epi-snps.htm.
// biohackers.net/wiki/SNP
// www.drugsnp.com/snpdb/dbstart.html
// briz. Postech.ac.kr/info/review/58.htm
// science.empas.com
// web.kribb.re.kr(생명공학 연구원)
뉴스와이어(서울)- 2005/5/26
kbs 사이언스21 맞춤의약
- 환자의 다양성을 만드는 유전적 원인을 밝혀서 중요한 질병들을 더잘 이해하여 새로운 치료법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간암에 관여하는 유전자>
3) 간암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분석 개발연구
; 한국인에서 발생하는 간암은 B형 간염 바이러스 (HBV)에 의한 것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데, 환자마다 간암으로의 진행 정도와 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환자의 단일염기다형성(SNP)을 분석하여 간암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질병 기전의 이해와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간의 IL10유전자의 특정 Haplotype을 가진 환자가 HBV 감염 후 간암으로 빠르게 진행됨을 발견되었다.
특히, 변이를 갖고 있는 사람은 HBV에 노출되어도 간염에 걸리지 않는 것으로 보아 TNFa가 HBV 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TGFb1은 간암환자의 예후와 상관관계가 깊고, 반면에 변이된 IL10의 양이 많은 사람은 간염에서 간암으로의 진행이 빠른 것으로 보아, IL10을 이용한 간암 진행 억제법 개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5. 생명공학의 미래 그리고 윤리
1) 인간다형성프로젝트의 토대
; 인간다형성프로젝트는 분석생화학, 생물정보학, 분석기기들의 개발과 개선을 토대로 하고 있다. 즉 다시 말하면 인간다형성프로젝트는 새로운 학문의 발전과 기술의 발달을 부가가치적으로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2) 유전체 연구의 미래
; 유전체 연구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는데 아무도 의의를 달지 않는다. 아래의 그림외에도 인간의 식량문제를 해결해주며, 식량문제외의 의학의 발달,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나 효소세제의 개발, 에타놀 에너지의 생산, 바이오폴리머의 생산등의 환경문제에도 해답을 줄 수 있을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 아 래 -
3) NIH 가이드 라인
; 1976년 아실로마 국제회의에서 유전자재조합 연구의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1976년에 NIH 가이드라인이 발표되었다. NIH란 National Institues of Health(미국 국립보건연구원)의 약자로서 사람의 건강에 관계되는 모든 문제를 포괄적으로 연구하는 연구기관으로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 연구비를 지원하면서 생명과학에 관한 연구도 병행하는 미국 제 1의 생명과학 연구소이다. NHI 가이드 라인대부분유전자 연구로부터 우연히 만들어질 수 있는 생명체를 우려하여 연구에 사용하는 재료를 다룰 때 주의해야할 사항 등이다.
4) 인간복제에 대한 UN의 대응
; 유엔의 교육과학 문화기구인 유네스코는 1998년 전체회의를 갖고 인간지놈 연구와 응용에 대한 인류최초의 윤리기준을 담은 인간 지놈과 인권보호에 관한 국제선언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 선언의 주요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인간의 유전자는 인류의 유산이다.
둘째 유전적인 특성을 근거로 그 누구도 인권, 기본적 자유, 인가의 존엄성을 차별받지 않는다.
셋째 연구목적으로 이용되는 개인의 유전정보는 비밀이 지켜져야 한다.
넷째 인간의 존엄성을 파괴하는 인간복제는 허용될 수 없으며, 어떤 연구나 응용도 인간의 존엄성에 우선할 수 없다.
다섯째 인간 유전자의 연구는 개인이나 인류 전체의 건강증진이나 유익한 목적으로 이용되어야 한다.
이 선언은 법률적 구속력은 없지만 각 나라들은 이 선언을 기초로 하여 국내법률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선언은 인간복제 및 휴먼 지놈 프로젝트가 주게 될지도 모를 악영향에 대하여 미리 경고하고 있으며, 그 위험성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하는데 더 큰 뜻이 있다고 하겠다.
5) 생명윤리위원회
- 미국의 클린턴 대통령이 설치. 대통령의 직속기구.
생명윤리위원회 내용
- 첫째. 인간복제의 연구비 지원의 중단
- 둘째 앞으로 5년간 인간복제의 관련 연구 지원 중단
; 5년간 유보시킨점에서 우리는 이러한 결정이 생명공학과 생명복제가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는 의학의 발전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21세기 산업에 생명과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최근 각 나락에서는 인간복제에 대한 연구 규제에 대한 입장을 확실이 하지 못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결 론.
- HGDP의 궁극적 목적은 보다 인간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을 저해하는 것이야말로 다른 의미로서 인간 존엄성을 해치는 것은 아닐까?
참고문헌
문헌자료
- 유전학의 이해
13.3 중합효소연쇄반응, 379p. SNPs
저자: Robert H. Tamarin 출판: 라이프사이언스
- 유전3 (기능유전체학)
제 5장 유전체프로젝트 이후, 유전체다양성 연구와
기능유전체학의 전망
저자: 한국유전학회 출판: 월드사이언스
- 누가 인간복제를 두려워 하는가?
2장 복제기술의 현실과 전망
저자: 그레고리 E. 펜스 출판: 양문디자인
- 생명코드 AGCT (유전자가 세상을 바꾼다.)
124p. DNA가 여는 미래
저자: 과학동아 편집부 출판: 아카데미 서적
- 그림으로 펼쳐지는 생명현상의 분자기전
3장 질병과 유전자
저자: 정혜영 출판: 월드사이언스
- 生命과의 대화
3.부모 닮은 자식 (유전)
저자: 이우성 출판: 서경대학교 출판부
- 21세기 생활의 지혜 밀레니엄 과학 밀레니엄 기술
154p ~ 159p 유전자지도,증폭,진단,치료,칩
저자: 김경제 외 5명 출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유전자 조작과 현대윤리
제11장 유전자 재조합과 현대윤리
저자: 정상진 출판: 탐구당
인터넷 자료
// 21cqenome.kribb.re.kr (인간유전체 기능 연구 사업단)
// www.snp-genetics.com
http//www.snp-genetics.com/epi/epi-snps.htm.
// biohackers.net/wiki/SNP
// www.drugsnp.com/snpdb/dbstart.html
// briz. Postech.ac.kr/info/review/58.htm
// science.empas.com
// web.kribb.re.kr(생명공학 연구원)
뉴스와이어(서울)- 2005/5/26
kbs 사이언스21 맞춤의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