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적 개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소개
1. 개입의 정의
2. 심리치료는 도움이 되는가?
3. 어떤 문제들이 변화하기 쉬운가?

Ⅱ. 다양한 치료의 공통적인 특징들
1. 전문가의 역할.
2. 감정의 표출/카타르시스.
3. 관계/치료적 동맹.
4. 불안의 감소/긴장의 해제.
5. 해석/통찰.
6. 능력/숙련됨 형성하기.
7. 비특정적 요인들.

Ⅲ. 특수한 치료적 변인들의 본질
1. 환자 또는 내담자
2. 치료자

Ⅳ. 임상적 개입의 과정
1. 최초 접촉
2. 평가
3. 치료 목표
4. 치료 수단
5. 종결, 평가 그리고 Follow-up

Ⅴ. 심리치료 연구
1. 심리치료 연구에서의 논쟁들
2. 비교 연구들
3. 과정 연구
4. 최근의 경향들

Ⅵ. 몇 가지 일반적 결론들

본문내용

- 그 목록들은 시기상조이고 그러한 출판 전에 보다 많은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음
- “경험적으로 타당한”이라는 용어는 그 목록에서 다른 개입은 쓸모 없고 해로운 것이라고 오 해하게 함
- EVTs는 외적 타당도가 부족한데 그 이유는 그들이 일반적으로 연구 실험실 밖에서 실시하는 심리치료를 대표하지 않기 때문임
- 이러한 규격화된 EVTs는 치료자와 환자 변수 둘 다의 중요성을 무시하고(“one size fits all" 을 가정), 다른 것들 이상으로 하나의 처치 형태가 우세할 수 없다는 것을 제안하는 증거를 무시함
4) Barlow, Chambless와 다른 사람들은 EVTs 출판이 시기상조였다는 것에 동의하지 않음
- 그들은 이러한 목록들에서 치료의 유효성이 충분히 지지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함
- 두 번째, 다수가 “경험적으로 지지되는 것”이 이러한 치료에 대해 보다 나은 서술자일지도 모른다는 Garfield의 의견에 동의한다; 그러나, 보다 혼란스럽게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 문에 용어의 변경은 하지 않음
- “통상적인 치료(therapy-as-usual)"의 유효성은 충분히 연구되어지지 않았으나, 우리는 평균 적으로 EVTs 중 하나를 받은 환자들은 통제 집단에서 보다 유의있게 정상적으로 기능한다 는 것을 알고 있음
- 비록 직관에 호소하는 것이지만, 임상적 결과에서 환자와 치료자 변수들의 중요성에 관한 Garfield(1996)의 진술은 경험적으로 입증된 것이 아니라, 가설을 세우는 것처럼 보일 것임
5) 지침화된 처치(Manualized Treatment).
- 뜨겁게 논의되는 쟁점은 지침에 기초한 처치가 임상 실제에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임
- 일부 사람들은 지침에 기초한 처치를 임상가의 임상적 판단을 “훼손시키기"고, 다양한 문제들 을 가진 환자들에게 맞춰지지 않고,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치료자를 무시한다고 비판함
- Wilson(1998)은 지침에 기초한 처치가 주어진 평판보다 임상적으로 유용하다는 것을 지적.
심리 검사와 임상적 판단 문헌들은, 임상적 판단과 임상적 예언은 한계가 있고, 주어진 문제 에 대해 치료자가 개입하는 방법을 정하는 경험적으로 지지되어진 지침화된 처치에 의해 보다 뛰어나게 되는 것 같다고 제안함
공발된 심리적 문제들에 관해서는 지침에 기초한 처치가 통상적인 치료보다 열등하다는 견 해를 지지하는 자료는 없음
Wilson(1998)은 지침에 기초한 처치가 실제로 임상적 혁신을 촉진하는데 그 이유는 지침에 기초한 처치가 “첫 번째 선택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환자들을 식별하는 것을 돕기 때문이라고 논의함
Wilson(1998)은 치료의 다른 형태들처럼, 지침에 기초한 처치가 임상적 기술과 긍정적인 치 료적 동맹을 요구한다고 지적함
- 마지막으로, 지침에 기초한 처치를 터득한 임상가들은 관리보호 회사들에 대해 훨씬 더 흥미 있어 할 것인데, 그 이유는 이러한 치료들이 효과가 있고 능률적이라고 인정되었기 때문임
Ⅵ. 몇 가지 일반적 결론들
- 몇 십년 전에 심리 치료에 대해 J. D. Frank(1979)가 내린 결론은 또한 지금의 견해를 나타내 보임
① 대체로 모든 형태의 심리치료가 비계획적이거나 비공식적인 도움보다는 보다는 어느 정도 다소 효과적이다.
② 하나의 치료 형태는 전형적으로 모든 조건에 대해 다른 것보다 더 효과적으로 보이지는 않 는다.
③ 초기 개선을 보이는 내담자들은 그것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④ 내담자, 치료자 그리고 그들 상호작용의 특징은 치료적 기법보다 더 중요하다.
- 이 마지막 부분은 중요하지만 모두가 이러한 결론에 동의하는 것은 아님
Telch(1981)로 치료적 기법이 보다 강한 영향력을 지닐수록, 치료자나 내담자 특성이 덜 중요 해 진다고 주장함
Lazarus(1980)는 또는 특정한 문제에 특정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논한다. 그러나, 동시에, 그는 다양한 비특정의 요소들이 개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이야기함
- 아마도 가장 안전한 과정은 양면 공격(two-front assault)을 실행하는 것임
신중한 연구는 우리가 주어진 문제에 대해 최선의 치료가 무엇인지 예언하는 것을 돕도록 설 계되어져야 함
일반적인 심리적 문제들에 대해 경험적으로 지지되는 처치 목록들은 계속 갱신되어지고 확충 되어져야 함
- 그러나, 최종 분석에서, 치료자 역량은 인종, 계급, 또는 성에 따라 단순한 환자와 치료자의 조 화보다는 결정적일 것임
- 치료의 전체 과정은 복잡하고 상호관련이 있어서, 연구가 치료의 어떤 요소가 내담자 변화와 관련되는지 또는 그것이 부족한지 보여주는 것은 어려움
아마도 가장 현실적인 제안은 많은 임상 심리학자들이 단순히 결과 연구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는 것임
표 11-1 변화시킬 수 있는 것과 변화시킬 수 없는 것
문제/상황
변화가능성
공황 장애
치료할 수 있음
특정 공포증
거의 치료할 수 있음
성기능 곤란
현저한 경감 가능
사회 공포증
중간 정도의 경감 가능
광장 공포증
중간 정도의 경감 가능
우울증
중간 정도의 경감 가능
강박 장애
중간 정도/경도의 경감 가능
분노
경도/중간 정도의 경감 가능
일상적 불안
경도/중간 정도의 경감 가능
알콜 중독
경도의 경감 가능
과체중
일시적 변화만 가능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최저의 경감
출처: Seligman(1994)에서 개작. 허가 하에 사용.
표 11-2 긍정적인 결과와 관련되는 심리치료의 공통 요인들
지지 요인
학습 요인
행동 요인
카타르시스
충고
행동 규제
치료자와의 동일시
정서적 경험
인지적 숙련(mastery)
고립의 완화
문제시되는 경험에 대한 동화
공포에 직면하는 것을 격려
긍정적인 관계
개인의 효과성에 대한 기대를 변화시키기
숙련 노력(mastery efforts)
안심
인지적 학습
모델링
긴장의 해제
교정적인 정서적 경험
실습(pratice)
구조
내적 참조틀에 대한 탐색
현실 검증
치료적 동맹
피드백
성공 경험
치료자/내담자의 적극적인 참여
통찰
모험에 도전하기
치료자의 전문성
이성
훈습
치료자의 온정, 존중, 공감, 수용, 순수함
신뢰
출처 : Lambert and Bergin(1994)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2.04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1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