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가구의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전통가구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용어의 정의

2. 가구양식의 형성배경

3. 가구의 재료와 짜임새

4. 가구의 변천과정

5. 사랑과 안방가구

6. 부엌과 사당용

7. 전통가구 양식의 변화

본문내용

하였다. 조선시대의 한 학자는 사방탁자의 시렁 위에는 서권(書卷), 화축(畵軸), 화병(花甁), 취우(翠羽), 호(壺), 향로, 다완(茶椀)등 문방기구를 늘어놓는 문방의 총 책임자로서 서실의 사치스런 완상물이라 극찬하였다. 이와 같은 사방탁자의 양식은 중국의 장탁자에서 영향을 받았으나 층널과 기둥으로만 이루어진 쾌적한 비례의 사방탁자는 한국에만 있는 일품이다.
9) 각게수리약장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여닫이 문안에 여러개의 설합이 설치된 일종의 금고이다. 각게수리 양식은 중국의 백안주(百眼廚)라는 가구에서 영향 받았고 명칭은 일본의 かけすずり 에서 온 것이다. 부유한 가정의 안방과 사랑방에서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해 쓰였으며 또한 약장으로도 사용되었다.
6. 부엌과 사당용
부엌 용품으로는 소반과 곡물을 담았던 뒤주, 그릇을 보관하던 찬장, 찬탁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장유유서남녀유별 등 유교의 영향으로 같은 상에서 겸상을 하는 예가 극히 드물며 대부분 외상을 받았다. 독상이므로 소반의 크기가 작은 것이 특징이며 각 가정마다 여러 구의 소반을 비치하였다. 특히 벼슬을 하거나 학문이 뛰어난 사대부의 집에는 항상 식객이 끊이지를 않으므로 수십 구의 소반이 비치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수요로 소반은 각 지역마다 제작되어 지방적 특색이 강하였다. 대표적인 소반은 나주반(羅州盤), 통영반(統營盤), 해주반(海州盤)이다. 나주반은 전으로 판의 아구를 물리는 방법으로 제작되어 소방의 반면이 휘거나 뒤틀리지 않아 4인 겸상 등의 큰상으로도 제작되었다. 통영반은 문목(文木)으로 만들어 황칠을 하거나 재개를 박아 아름답게 장식하였다. 해주반은 판각에 조각을하여 만든 화려한 소반으로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 한옥에 있어서 부엌은 반 지하층에 있어 부엌에서 안방 또는 사랑방 등으로 음식상을 안전하게 나르기 위해 소반에는 그릇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이 있다.
뒤주는 쌀이나 잡곡을 담아두는 궤의 일종이다. 지역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제작되었으나 밤섬 뒤주가 가장 유명하다.
찬장은 주로 식기를 담아 두는 장으로서 예전에 여름에는 자기를, 겨울에는 유기를 사용하였으므로 무거운 식기를 보관하기 위해 기둥과 쇠목은 두껍고 튼튼 하게 제작된 특징이 있다.
사당에는 제상과 교의(交椅), 향상(香床)을 위시하여 고인의 유품을 보관하기 위한 궤를 비치하였다. 사당이 없는 가정에서는 대청에 시렁을 매어 제구를 두었으며 대청에서 제사를 지냈다. 제구 중 진설탁자는 제사음식을 잠시 얹어 두는 대로서 2~3층으로 되어 있으며 각층의 높이가 동일한 것이 특징이다. 제상과 교의는 과거 우리나라에서도 입식생활을 하였음을 나타내는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7. 전통가구 양식의 변화
개화기에는 서양 문물이 유입되어 점차 양복을 착용하면서 장과 장문의 크기가 큰 의걸이장이 유행하였다. 특히 화류를 얇게 켜서 화장재로 사용하고 자개로 무늬를 박고, 영국으로부터 수입한 거울을 부착한 의걸이장이 상류 계층에 유행하였다. 또 신흥 귀족층과 부유층을 중심으로 중국에서 수입한 화류 의자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2.05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3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