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질의 이해화 간호과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질의 이해화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간질의 원인

2. 병태생리

3. 진단 검사

4.임상적 분류 / 증상

5.치료

간호 과정

본문내용

Sabril), 조니사마이드 (Zonisamide), 라모트리진(Lamotrigine), 토피라메이트(topiramate), 옥스카바제핀(Oxcarbazepine), 가바펜틴(Gabapentine) 등의 신약이 많이 나오고 있어 간질치료의 지평을 더욱 넓혀 주고 있다. 이렇게 많은 종류의 항경련제 중에서 보통 환자의 간질 유형과 나이, 비용, 그리고 부작용 등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처방에 따라 치료하게 된다. 대부분의 간질의 경우 보통 약물 치료에 잘 반응하여 한가지의 약물로 잘 조절되는 경우가 전체의 2/3 정도 되고 나머지 20-25% 정도는 여러 가지 약을 병용 투여해야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나머지 10% 남짓의 환자의 경우는 어떤 약을 써도 간질이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다
2)비약물적 치료
①심리학 적 및 정신과 치료
②생체되먹이 치료법
③미주신경 자극법
3)외과적 치료
-간질환자의 약 20~30%에서 효과가 있다
-선택 기준
①정확한 발작 형태에 대한 진단과 비간질성 경련 환자의 배제를 칠요로 한다.
②적합한 항경련제 투여에 의한 적절한 혈중 농도하에서 발작 조절이 요구되며, 만약의 실패요인을 확인한다.
③난치성 발작의 상태보다도 더 나빠질 기능적 장애를 고려하여 수술할 부위를 정확히 평가한다.
④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환자를 평가하여 약물 히료에 의해서 난치성임을 확인한다.
간호 과정
1.대상자 정보
-나이 : 35세
-이름 : 황○○ (불상)
- 내원 시 119에 실려서온 대상자는 버스 정류장 옆에 쓰러져 있는 것을 지나가는 사람이 신고해서 응급실로 내원 하였다. 구급차를 타고 오는 동안에 간질 발작 등의 징후가 보이지 않아 실신(syncope)로 여겨졌으나, 내원 5분 후 발작을 일으켰고 6시 14분 경 약 13분 정도의 발작이 있었다.
-혈압: 150/ 137 -맥박:108회/분 -호흡: 28회/분 -체온: 36.0℃
-진단명 : seizure
-기타 대상자의 과거력등에 대해서는 환자가 연고지가 없어 확인할 수 없었다.
2. 객관적 자료
-응급검사 : pH : 7.287 mmHg
pCO2 : 63.8mmHg
pO2 : 85.3mmHg
Na : 148mmol /L
CK : 293 U/L
Mg2.4mg/ dl
-간질 발작시 V/S : 150/100 - 130- 32 - 37.8
3. 치료 약물
- diazepam.
-적응증
신경증에서의 불안긴장, 마취전 투약, 알코올 금단증상, 경련 발작 또는 간질 중첩상태. 검사전 투약(불안긴장 경감): 내시경검사, 심율동전환.
-용법/용량
성인: 불안긴장: 중증인 경우 5-10mg, 경증 또는 중등도의 경우 2-5mg을 정주 또는 근주. 필요시 3-4시간 반복 투여. 최대 8시간 이내에 30mg. 골격근 경련의 완화보조제: 5-10mg 정주 또는 근주. 필요시 3-4시간 반복 투여. 경련발작 또는 간질중첩상태의 치료보조제: 초회량 5-10mg 정주. 필요시 10-15분간 간격으로 최대 30mg까지 천천히 정주. 마취전 투약: 수술전 10mg 근주. 알코올 금단증상: 초회량 10mg 정주 또는 근주. 필요시 3-4시간후 5-10mg 반복 투여. 내시경 검사: 10mg 또는 그 이하의 양을 정주. 필요시 20mg까지 증량. 정주할수 없으면 검사 30분전 5-10mg 천천히 근주. 심율동전환: 5-10분전 5-15mg 천천히 정주. 소아: 불안긴장: 0.04-0.2mg/kg 정주 또는 근주. 필요시 2-4시간마다 반복 투여. 최대 8시간 이내에 0.6mg/kg. 경련발작 또는 간질중첩상태의 치료보조제: 1개월 이상 영아와 5세 미만의 유아 0.2-0.5mg을 2-5분 간격으로 최대 5mg까지 천천히 정주. 5세 이상의 유소아 1mg을 2-5분 간격으로 최대 10mg이 될 때까지 천천히 정주. 필요시 2-4시간마다 반복 투여. 파상풍에서의 경련 완화: 1개월 이상의 영아와 5세 미만의 유아 1-2mg 천천히 정주 또는 근주. 5세 이상의 유소아 5-10mg 천천히 정주 또는 근주, 필요시 3-4시간마다 반복 투여.
-금기
급성 협우각형 녹내장, 중증 근무력증, 본제 또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 과민증자, 중증의 호흡부전, 수면무호흡증후군, 알코올 또는 약물의존성 환자, 근육주사 금기: 미숙아, 신생아, 영아, 유아, 소아, 주사 금기: 쇽, 혼수, 바이탈 사인이 나쁜 급성 알코올중독 환자, 신생아, 미숙아.
4. 간호과정
1) 경련 발작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 / 기도유지
*목표 : -대상자의 호흡수와 맥박이 정상범위에 있다.
-대상자가 청색증을 보이지 않는다.
-대상자의 SaO2가 정상 범위에 있다.
*대상자 특성 : -호흡의 수가 7회/분 이하를 나타낸다.
-SaO2가 37~50%을 나타낸다.
-환자의 얼굴에서 청색증이 나타난다.
-호흡이 규칙적이지 않고, 숨을 쉬었다 멈추었다 한다
-환자의 혀가 안으로 말려 기도를 막고 있다.
-호흡시 비정상적인 잡음이 난다.(입에서 새는 듯한 소리)
-대상자가 경련을 하면서 구토 증상이 보임
-몸이 축축하다.
-ABGA : pH : 7.287 mmHg
pCO2 : 63.8mmHg
pO2 : 85.3mmHg
*간호계획 : -지속적으로 대상자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피부색의 변화를 사정한다.
- O2 5l/분을 준다.
-경련하는 동안 대상자의 목을 옆으로 돌려준다,
- 혀로 인해 호흡을 곤란하게 되므로 air way나 설압자를 꼭 입안에 넣어
혀를 깨물거나 혀로 인해 호흡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필요시 intubation을 시행한다.
-경련발생시기와 지속시간을 기록한다.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필요시 항경련제를 투여하고 부작용및 독성을 관찰한다.
*평가 : 대상자의 호흡수가 7회 이하로 떨어지고, SaO2가 50%이하로 떨어지는 검사 결과가 지속되다가 intubation을 시행하고 Diazepam을 사용하면서 정상적인 호흡, 기도 유지의 양상을 나타냈으나 경련은 다시 나타났다.
2)경련과 관련된 잠재적 손상
*목표 : 경련으로 인하여 신체 외부의 손상이 없다.
*관찰된 자료 : -대상자가 경련 시 움직임이 커 낙상의 위험이 있다.
-대상자가 경련시 혀를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2.12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7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