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성의 상품화
1) 성의 상품화
2) 성의 상품화 현상
3) 성의 상품화
㉠ 직접적 성 상품화
< 미스코리아 대회 >
㉡ 간접적 성상품화
< 대중매체 속의 성 상품화 >
<성상품화의 예인 음란물에 대해 >
a. 음란물이란?
b.음란물의 특징
c.음란물의 피해
4) 성의 상품화의 원인
5)성의 상품화가 끼치는 영향
2. 성상품화에 관련된 뉴스
3.여성의 상품화 vs 남성 상품화
1) 성의 상품화
2) 성의 상품화 현상
3) 성의 상품화
㉠ 직접적 성 상품화
< 미스코리아 대회 >
㉡ 간접적 성상품화
< 대중매체 속의 성 상품화 >
<성상품화의 예인 음란물에 대해 >
a. 음란물이란?
b.음란물의 특징
c.음란물의 피해
4) 성의 상품화의 원인
5)성의 상품화가 끼치는 영향
2. 성상품화에 관련된 뉴스
3.여성의 상품화 vs 남성 상품화
본문내용
내용... 그런데 그 프로를 내 보내고 김형곤 쇼가 징계를 먹고 사과 방송을 하고 그 코너를 없애야 했다.왜 그래야했을까? 왜 그녀들의 삶을 숨겨야만 하는 걸까요? 아마 제 생각에 김형곤 쇼에 징계를 내린 높은 방송관계자들이야말로 그런 룸사롱의 가장 주 단골일 거라고 생각한다. 그럼 그런 문화를 나만 누려야 하는데 다른 사람들도 알게 되는게 두려웠나?? 그 모든 태도들은 우리가 성을 숨기고 왜곡된 곳에서 추구하며 부부간의 성만을 "정상적"이다고 정의하는 사회적 통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그 사회적 통념은 사회적 실제와는 유리된 것이다. 사회적 실제의 일 단초가 드러났을 때 사회적 통념의 유지를 통해 이익을 얻는 사람들은 불쾌해 하겠고 아마 그 때 징계는 그런 불쾌함의 표시였겠다.이러한 사회적 이데올로기와 실제의 어긋남 가운데 "우리는 룸사롱에 가지말자"는 것도 소극적 차원에서 하나의 도덕적 실천일 수 있지만 그것은 현 사회에 아무런 반향을 불러일으킬 수 없다고 봅다. 오히려 룸사롱의 문화를 공론의 장에 올리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성과 매춘을 밝은 곳으로 끌어내 와서 올바로 제도화하고 또 그 시장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의 시민권과 인권을 보장해 주는 일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합다. 해서 군대식의 남성중심 문화가 룸사롱 안에서 팽배하면서 여성을 경시하는 태도가 사라지고 매춘 여성들이 비굴함이나 자기비하가 아니라 당당한 자신의 노동의 댓가, 소유 자본의 댓가로 생활을 하고 부를 축적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줘야 한다. 그렇게 되면 룸사롱의 비용도 그렇게 터무니 없이 비싸지 않을 거고 서민들을 위한 다양한 수준의 성상품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남성 성의 상품화를 통해 여성이 성적 욕구를 추구할 수 있는 여러가지 기회도 마련되야 하고, 마찬가지로 그러한 상품도 밝은 곳에서 논의되고 개발되어야 한다.그러니까 성의 상품화를 밝은 곳으로 끌어내야 하고, 그 상품의 생산과 소비에 남녀가 평등한 주체가 되어야 한다.
성의 상품화
1.성의 상품화
1) 성의 상품화
2) 성의 상품화 현상
3) 성의 상품화
㉠ 직접적 성 상품화
< 미스코리아 대회 >
㉡ 간접적 성상품화
< 대중매체 속의 성 상품화 >
<성상품화의 예인 음란물에 대해 >
a. 음란물이란?
b.음란물의 특징
c.음란물의 피해
4) 성의 상품화의 원인
5)성의 상품화가 끼치는 영향
2. 성상품화에 관련된 뉴스
3.여성의 상품화 vs 남성 상품화
성의 상품화
1.성의 상품화
1) 성의 상품화
2) 성의 상품화 현상
3) 성의 상품화
㉠ 직접적 성 상품화
< 미스코리아 대회 >
㉡ 간접적 성상품화
< 대중매체 속의 성 상품화 >
<성상품화의 예인 음란물에 대해 >
a. 음란물이란?
b.음란물의 특징
c.음란물의 피해
4) 성의 상품화의 원인
5)성의 상품화가 끼치는 영향
2. 성상품화에 관련된 뉴스
3.여성의 상품화 vs 남성 상품화
소개글